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학급 운영 실태 및 인식 분석 = Analysi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lass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1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lass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G-do was administered, the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indings, it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to reinforce support for the class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Second, the methods to enhance the preparation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and the consideration of mea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should be developed. Third, various evaluations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diagnosis/evalu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used in planning of IEP. Fourth, the methods to improve the sociality and the instructions for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variously reeducated. Fifth, the special education dut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mutual cooperations must be developed among them. Sixth, the supports for appropriate treatment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lass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G-do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lass management in special school.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15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G-do was administered, the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eriv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indings, it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to reinforce support for the class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Second, the methods to enhance the preparation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and the consideration of mea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should be developed. Third, various evaluations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diagnosis/evaluation method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used in planning of IEP. Fourth, the methods to improve the sociality and the instructions for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variously reeducated. Fifth, the special education dut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mutual cooperations must be developed among them. Sixth, the supports for appropriate treatments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eir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1 : 3-29, 2000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4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5 김병하, "특수교육 교사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6 박주희, "특수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서성덕,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이유훈, "특수(통합)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9 김현진,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16, 2009

      10 김순희,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이유훈,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1 : 3-29, 2000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4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01-227, 2012

      5 김병하, "특수교육 교사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6

      6 박주희, "특수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서성덕,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이유훈, "특수(통합)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9 김현진,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16, 2009

      10 김순희,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이유훈,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3 (13): 91-116, 2006

      12 조인수,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81-106, 2007

      13 이원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87-110, 2009

      14 권택환, "초등학교 통합학급 운영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257-278, 2009

      15 전혜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직전문성이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이미숙,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11-338, 2012

      17 최세민, "중학교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실태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83-302, 2007

      18 이상훈, "중학교 특수학급 운영에 대한 고찰 : 경기도를 중심으로. 정서" 25 (25): 331-353, 2009

      19 김주홍,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33-454, 2007

      20 이윤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55-286, 2011

      21 강민주,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11-333, 2012

      22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3~'17)(안)" 교육부 2013

      23 김경옥,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3-124, 2012

      24 김성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21, 2008

      25 권기욱, "교직실무" 도서출판 보현사 2010

      26 방명애,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49-173, 2005

      27 김정삼,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22, 2011

      28 윤광보, "개별화교육계획에 의한 교육과정 개별화 방안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87-408, 2008

      29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30 교육부, "2013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