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동원, "해양경찰관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8 (18): 99-126, 2016
2 이영남, "한국의 관광경찰제도의 발전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311-334, 2013
3 조현빈, "한국 관광경찰의 업무범위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337-356, 2016
4 황성원,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이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7 (7): 151-174, 2008
5 양재헌, "일선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6 문화체육관광부, "인사동ㆍ명동ㆍ이태원에 관광경찰 뜬다"
7 신현기, "우리나라 관광경찰제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제언" 치안정책연구소 28 (28): 245-279, 2014
8 정창훈,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노영, "민원행정서비스에서 여성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10 김종우, "다차원적 정서노동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1 (2011): 1-12, 2011
1 이동원, "해양경찰관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8 (18): 99-126, 2016
2 이영남, "한국의 관광경찰제도의 발전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311-334, 2013
3 조현빈, "한국 관광경찰의 업무범위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337-356, 2016
4 황성원,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이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7 (7): 151-174, 2008
5 양재헌, "일선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6 문화체육관광부, "인사동ㆍ명동ㆍ이태원에 관광경찰 뜬다"
7 신현기, "우리나라 관광경찰제의 현황과 미래지향적 제언" 치안정책연구소 28 (28): 245-279, 2014
8 정창훈, "서울특별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노영, "민원행정서비스에서 여성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10 김종우, "다차원적 정서노동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1 (2011): 1-12, 2011
11 박한호, "국내 관광경찰 도입에 따른 지역사회 주도형 관광경찰 활동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6 (16): 75-100, 2014
12 이연택, "관광경찰제도의 정책집행영향요인 연구" 관광연구소 26 (26): 25-49, 2014
13 이연택, "관광경찰제도에 대한 정책PR, 정책이해, 정책지지 간의 관계구조 분석" 관광경영학회 18 (18): 189-212, 2014
14 박억종, "관광경찰제 도입에 따른 관광경찰의 실무적인 역할에 관한 연구" 6 (6): 24-38, 2013
15 김종오, "관광경찰의 출범과 조직진단 및 해체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23-145, 2014
16 경찰청, "관광경찰 출범 1주년, 행복한 한국관광 기초 다져"
17 김진동, "공무원의 직무관여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18 경찰청, "경찰청, 대한민국 관광진흥 위해 관광경찰대 발대한다"
19 김상호, "경찰조직문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경찰서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20 유재창,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지방경찰청의 경비경찰과 의무경찰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찰대학 14 (14): 105-137, 2014
21 이병동, "경찰의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2 임재강, "경찰관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1-24, 2014
23 박병두, "경찰공무원의 피로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24 김구,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J-지방청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2 (22): 497-523, 2012
25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26 김상호,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및 조직 동일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11 (11): 5-36, 2009
27 임창희, "감정노동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유머와 유머선호도의 조절효과" 한국인사조직학회 17 (17): 1-36, 2009
28 양내윤,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29 이환정, "감정노동 실태 및 정책대응방안 연구" 149-158, 2013
30 Guy, M. E., "Women's Jobs, Men's Jobs: Sex Segregation and Emotional Labour" 64 (64): 289-298, 2004
31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 99-113, 1981
32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33 Lodhal, T. M.,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olvement" 49 (49): 24-33, 1965
34 Freudenberger, H. J., "Staff Burnout Syndrome" 30 (30): 159-165, 1974
35 Maslach, C., "Social Psychology of Health and Illness" Hillsdale 1982
36 Adelmann, P. K., "Organizational factors for job stres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1-381, 1995
37 Meier, K. J., "Gender and Emotional Labor in Public Organizations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Link to Performance" 66 (66): 899-909, 2006
38 Adelmann, P. K., "Facial efference and the experience of emotion" 40 (40): 249-280, 1989
39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 18-115, 1993
40 Hochschild, A.,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85 (85): 551-575, 1979
41 Allen, N. J.,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1 (1): 61-89, 1991
42 박선우, "'감정 노동' 연구의 이론적, 경험 연구, 실증 연구 리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