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으로 살아가기 = Beginning director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4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ife of novice principal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recognizing difficulties and prospects in administering the institu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consequently contrib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ife of novice principal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recognizing difficulties and prospects in administering the institu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the pre-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s well as to operation of such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include novice principles with an experiences ranging from 1 to 3years and data were collected for 9 month period from Mqarch 24 to December 22, 2016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phone interviews, researcher’ journals and so 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backgrounds of becoming the direct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classified as ‘promotion type’, ‘employment type’, ‘starting-up type’, ‘taking over type’, and ‘succeeding type’. The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stitutes, were as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management are still difficult’, ‘the relationship is difficult’, ‘I am definitely in lower power position’, and ‘I am professionals but I cannot do everything perfectly.’ The hopes that they felt were ‘the place makes people’, and ‘I expect the time in which I become experienced director beyond nov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이 직무초기에 겪는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여 초임유아교육기관장의 사전경험과 원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희망을 알아봄으로써 초임 유...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이 직무초기에 겪는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여 초임유아교육기관장의 사전경험과 원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희망을 알아봄으로써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의 삶을 이해하고 나아가 유아교육기관장의 사전 직무교육과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을 1년 미만에서 3년 동안 운영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장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6년 3월 24일부터 12월 22일까지 9개월에 걸쳐 심층 개별 면담, 전화면담, 연구자 저널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이 된 배경은 ‘진급형’, ‘취업형’, ‘개업형’, ‘인수형’, ‘승계형’ 이며, 원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행정과 재정... 아직도 힘들긴 마찬가지예요’, ‘관계가 어려워요’, ‘을중의 을이라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전문가 맞죠. 하지만 원장업무에 대한 박사는 아녜요’가 있었다. 초임 유아교육기관장이 느끼는 희망은 ‘자리가 사람을 만들었어요’, ‘초임 그 너머를 기대해요’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종환, "흔들리며 피는 꽃" 문학동네 2012

      2 정은경, "파랑새 어린이집 원장의 삶과 일에서 나타난 원장의 리더십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3-193, 2008

      3 이재은, "초임 유치원 교사에게 멘토링의 의미와 초임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한 조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57-377, 2013

      4 이은주,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2017

      5 이진옥,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97-320, 2011

      6 김정화,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생애사를 통해본 유아교육자의 삶"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숙자, "유치원 초임교사 소모임에서 나타난교사 발달 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97-423, 2008

      8 조혜진,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71-494, 2012

      9 윤선경,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01-122, 2014

      10 서석원,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77-207, 2012

      1 도종환, "흔들리며 피는 꽃" 문학동네 2012

      2 정은경, "파랑새 어린이집 원장의 삶과 일에서 나타난 원장의 리더십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3-193, 2008

      3 이재은, "초임 유치원 교사에게 멘토링의 의미와 초임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한 조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57-377, 2013

      4 이은주,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2017

      5 이진옥,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97-320, 2011

      6 김정화,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생애사를 통해본 유아교육자의 삶"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5

      7 김숙자, "유치원 초임교사 소모임에서 나타난교사 발달 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97-423, 2008

      8 조혜진,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71-494, 2012

      9 윤선경, "유아교육기관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01-122, 2014

      10 서석원,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77-207, 2012

      11 조운주,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인식한 리더십의 특성 및 갈등" 한국육아지원학회 6 (6): 5-27, 2011

      12 조혜진,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를 위한 멘토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31-352, 2011

      13 이승은,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주관적 이해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21-446, 2012

      14 차미영, "위탁운영 직장보육시설 시설장이 개원 및 개원초기 운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 6 (6): 17-37, 2010

      15 박윤자, "위탁 어린이집 임용원장의 어려움과 대처하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51-177, 2013

      16 김정원, "영유아교육기관장의 행복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85-105, 2014

      17 오채선, "어린이집 초임원장의 내러티브: 리더십 형성하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35-461, 2012

      18 임해진,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비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9 한미경, "어린이집 원장의 교직경험 이야기"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69-191, 2009

      20 조혜진, "어린이집 신규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직무교육과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99-220, 2013

      21 이대균, "사립유치원 원장의 고충과 보람, 그리고 희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7-203, 2008

      22 윤혜란, "부설유치원장들의 삶과 경험의 의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53-76, 2011

      23 문은영, "보육시설 초임교사 입문교육의 운영에 따른 초임교사 교직적응" 4 (4): 67-91, 2012

      24 이종연, "보육교사의 희망과 영성 및 격려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31-252, 2016

      25 박수경,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의 매개효과와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7

      26 차영숙,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관리의 어려움과 해결을 위한 노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23-47, 2011

      27 정덕희, "민간보육시설장의 시설운영상의 어려움에 대한 이야기" 9 (9): 197-218, 2005

      28 김숙미, "기관 유형별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수행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6 (6): 1-18, 2014

      29 권경숙, "국공립어린이집 초기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원장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91-215, 2012

      30 김윤경,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과정에서 느끼는 원장들의 고충과 보람"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45-71, 2013

      31 이용남,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장학의 실태와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2009 (2009): 381-381, 2009

      32 이지영,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다면적 겸직 업무수행의 의미"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45-67, 2016

      33 강모숙,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 운영의 어려움과 극복"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34 Katz, 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eachers" 73 (73): 50-54, 1972

      35 Burden, P. R., "Implication of teacher career development :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rofessors" 4 (4): 21-25, 1982

      36 Aubrey, C., "How do they manage?-An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leadership" 41 (41): 5-29, 2013

      37 Muijs, D., "How do they manage?-A review of the research on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2 (2): 157-169, 2004

      38 Billman, J., "Child care program directors : What skills do they need? Results of a statewide survey" 23 (23): 63-70,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