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1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 30일부터 5월 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1년 4월 30일부터 5월 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5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AMOS 23.0으로 모형적합도, 변인 간 영향관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모형은 실증 데이터를 타당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무형식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재창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직무재창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열의는 무형식학습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 및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형식학습,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열의가 제고될 수 있도록 조직차원의 관리방안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성과 경영환경에 따라 각 자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영향관계가 직무재창조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후속연구로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30 to Ma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30 to May 7, 2021, and 451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sed SPSS 23.0 and descriptive statistics which uses AMOS 23.0 to analyze model fit, inter-variable influenc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important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dequately explained the empirical data. Secon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Thir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job enthusias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fth, job enthusia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job crafting and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mote job re-creation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 to enhance informal learn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thusiasm.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tha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at kind of change the relationships resulted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mpany make on job craf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자,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선진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2 김하얀, "호텔종사원의 관계갈등이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관광경영학회 23 (23): 285-307, 2019

      3 황보배, "해수욕장 이용객의 코로나19 예방조치와 안전교육 및 안전행동의 구조적 관계" 국방안보연구소 5 (5): 73-82, 2021

      4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5 김주희, "한국 서비스업 직장인의 긍정심리자본과 도전정신이 창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6 곽상현, "초기 경력자의 일터 학습과 조직적응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조절효과 분석 : S 종합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오현아, "진성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장홍연, "직장 프렌드십이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와 개인주의, 집단주의,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0

      9 백수진, "직무재창조(Job crafting)행동, 직무열의, 변화지향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0 홍기환, "직무자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영향, 학습전이와 잡 크래프팅의 간접효과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20

      1 이선자,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선진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2 김하얀, "호텔종사원의 관계갈등이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관광경영학회 23 (23): 285-307, 2019

      3 황보배, "해수욕장 이용객의 코로나19 예방조치와 안전교육 및 안전행동의 구조적 관계" 국방안보연구소 5 (5): 73-82, 2021

      4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611-623, 2017

      5 김주희, "한국 서비스업 직장인의 긍정심리자본과 도전정신이 창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6 곽상현, "초기 경력자의 일터 학습과 조직적응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조절효과 분석 : S 종합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오현아, "진성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8 장홍연, "직장 프렌드십이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와 개인주의, 집단주의,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0

      9 백수진, "직무재창조(Job crafting)행동, 직무열의, 변화지향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10 홍기환, "직무자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영향, 학습전이와 잡 크래프팅의 간접효과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20

      11 임원호,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조절효과 및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0

      12 이정언,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49-456, 2014

      13 이지영, "직무도전성, 성장기회가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경력내적통제소재와 경력역량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13-142, 2018

      14 최희숙,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 : 개인 및 조직성과와의 영향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15 박선대,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이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1

      16 권기환, "재난안전전문가 전문성 강화방안" 한국방재학회 18 (18): 125-133, 2018

      17 김영희, "재난안전 담당공무원의 직무만족과 반응행동(EVLN)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8 김민지, "잡 크래프팅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34-246, 2019

      19 심용보, "일터학습 참여활성화의 영향 요인에 대한 개인수준 실증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8 (18): 77-104, 2018

      20 박종선, "일터학습 관련 조직특성 변인의 이론적 고찰"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27-52, 2011

      21 박종혁, "인적자원관리 강도와 구성원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3 (23): 269-286, 2020

      22 고승희, "인사제도의 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충청남도 인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12-220, 2013

      23 김라윤, "외식기업 종사원의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 일-가정 균형요인이 내재적 직무동기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항관계 분석: 내재적 직무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241-256, 2018

      24 김정환, "안전관리자의 역할과 중요성에따른 선임기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8

      25 이민세, "안전관리자의 개인윤리성이 비윤리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6

      26 김윤배, "안전관리 전문인력의 역량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과 직무교육의 교육수요에 관한 연구: 대전⋅청주 지역 안전관리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안전학회 35 (35): 95-105, 2020

      27 심재범, "안전, 보건관리자의 외상사건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있어 심리적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28 양영은, "심리적주인의식, 직무열의, 직무재창조의 관계, 사회적 요인의 영향 : 언론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29 정민철, "심리적 자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30 예지은, "상사의 감성지능과 부하의 감정공유가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

      31 정진우, "산재예방정책의 문제점과 패러다임의 전환(경총토론회)"

      32 서현숙, "뷰티서비스종사자의 직무재창조가 직무만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33 김종만, "불안정한 고용에 따른 안전관리자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34 배채윤,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 위반과 조직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281-307, 2016

      35 박용수,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방안보연구소 4 (4): 25-38, 2020

      36 차명광, "동기부여가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국방안보연구소 1 (1): 13-28, 2017

      37 황영훈, "대기업 영업직 초기경력자의 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조직사회화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29-66, 2019

      38 이주석,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사회적 지지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1

      39 윤경신,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직무재창조, 개인-직무 적합성, 무형식학습 및 직무도전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리더-멤버 교환관계(LMX)와 업무부하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40 박한규, "대기업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개인 및 팀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41 김정우, "노동조합은 산업재해 발생과 은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산업노동학회 27 (27): 103-134, 2021

      42 최윤정, "기업의 재난 위험성 평가 제도개선에 대한 법적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43 김회춘,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와의 연관관계에 관한 연구, 안전행동몰입을 매개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44 이성엽, "기업에서의 무형식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 A은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5 박태운,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46 채상명,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력적 노사관계와감정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6

      47 김진열,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48 조윤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49 신선해,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50 고희정, "교원들의 잡 크래프팅 수준 및전략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51 박경환, "건설현장 안전관리자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 P 건설사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233-254, 2015

      52 지준석, "건설업 안전관리자의 효과적인직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53 Cort W. Rudolpha, "job crafting, A meta-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 difference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outcomes" 102 : 112-138, 2017

      54 Slemp, G. R., "Workplace well-being :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autonomy support" 5 (5): 1-17, 2015

      55 Grant, A. M., "The dynamics of proactivity at work" 28 : 3-34, 2008

      56 Bakker, A. B.,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state of the art" 22 (22): 309-328, 2007

      57 Ghitulescu, B. E,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2007

      58 Kahn, W. 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33 (33): 692-724, 1990

      59 Ching-FuChen., "Measuring the effects of Safety Management System practices, morality 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pilots’safety behaviors, Safety motivation as a mediator" 62 : 376-385, 2014

      60 Bindl, U. K., "Job crafting revisited:implications of an extended framework for active changes at work" 1-68, 2018

      61 Day, N, "Informal Learning Gets Results" 77 (77): 30-34, 1998

      62 Choi, W., "Influences of formal lear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informal learning among middle managers in the Korean banking sector"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9

      63 Ashforth, B. E., "How Can You Do It?, Dirty Work and the Challenge of Constructing a Positive Identit y" 24 (24): 413-434, 1999

      64 Manuti, A.,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 a research review" 19 (19): 1-17, 2015

      65 Tims, M., "Daily job crafting and self-efficacy : Performance relationship" 29 (29): 490-507, 2014

      66 Wrzesniewski, A.,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26 (26): 179-201, 2001

      67 Callahan, C. M, "Classrooms for Learners, Not Winners and Losers" 7 (7): 22-26, 1999

      68 Saks, A. M,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engagement" 21 (21): 600-619, 2006

      69 Lohman, M. C, "A survey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gagement of two professional groups in informal workplace learning activities" 16 (16): 501-527, 2005

      70 Colon, T. J., "A review of informal learning literature, theory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developing global professional competence" 28 (28): 283-295, 2004

      71 Arets, J., "702010 Towards 100% Performance" Sutler Media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