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NLP 전략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제시전략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고루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NLP 전략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제시전략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고루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nstituted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be constructed?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constructed program? Program was devised based on counsel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 In-Woo(1995). To measure effects of the program, two classes in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of Park, Jin-A(2001) is used as a test tool,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nalyzed by Mixed ANOVA as data processing.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dealing with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ss coping abilit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oping a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s study is to use it to enable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in actively and effectively coping with problems in their personal, home and school life, by acquiring effective stress coping ability and improving positive stress coping 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nstituted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NLP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instituted are as follows. First, how should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tress cop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be constructed?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constructed program? Program was devised based on counsel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 In-Woo(1995). To measure effects of the program, two classes in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of Park, Jin-A(2001) is used as a test tool, the statistical results are analyzed by Mixed ANOVA as data processing.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dealing with NLP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ss coping abilit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oping ability compared to control group. This study is to use it to enable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in actively and effectively coping with problems in their personal, home and school life, by acquiring effective stress coping ability and improving positive stress coping 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김주연, "현실요법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3 김인숙,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4

      4 이효정,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3

      5 NLP교육실천학회, "행복한 교실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개발 워크숍: NLP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원 중심으로" 한국신경언어프로그래밍교육실천학회 2003

      6 이윤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5

      7 정원주, "한국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의 개발" 15 (15): 95-106, 1997

      8 박진아,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9 이면수,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3

      10 김춘희,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0

      11 김지숙,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양식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3

      12 정춘옥,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2

      13 문금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수준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14 이정미, "초등학교 아동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유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6

      15 백경애,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6 천민필,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17 송민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8 김미선,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6

      19 정휴필, "자기표현훈련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20 민하영,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아동의 대처행동 척도 개발" 36 (36): 83-96, 1998

      21 이재연, "의사소통과 가족 관계" 이레서원 1990

      22 최영례, "위인동화를 활용한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3 김경숙,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24 홍미경,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1998

      25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26 김은정, "스트레스 대처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분노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출 아동을 대상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6

      27 윤정남,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28 전현정, "낙관성 훈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29 Bandler, R., "The Structure of magic I" Science and Behaviour Books 1975

      30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31 한아름, "REBT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2006

      32 O'Connor, J., "Principles of NLP" Thorsons Pub 1996

      33 조혜령, "NLP기법을 사용한 청각적 자극이 청소년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6

      34 NLP교육실천학회, "NLP교육연구" 한국신경언어프로그래밍교육실천학회 2003

      35 장혜진, "NLPia 코칭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6 김종운, "NLP 집단상담이 ADHD 아동의 학교적응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2

      37 김선화,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38 김혜진, "NLP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39 김현재, "NLP 교육의 이해와 수월성 개발을 위한 신경적 의식수준의 성찰적 워크방향 탐색" 3 (3): 5-30, 2005

      40 O'Connor, J., "Introducing neuro-linguistic programming: The new psychology of personal excellence" Harper Collins 1990

      41 Band, E. B,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 Children's perspectives on coping with every stress" 24 (24): 247-253, 1988

      42 Ebata, A. R., "Coping adjustment in distress and healthy adolescence" 12 : 33-54, 1991

      43 Ayers, T. S.,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59 (59): 1066-1074, 1991

      44 Ayers, T. S., "A dispositional and assessment of children's coping: Testing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of coping" 64 : 923-95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