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 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부모 가정 아동으로 미술치료 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17666
이은주 (신라대학교)
2017
Korean
미술치료 ; 한 부모 가정 아동 ; 정서조절능력 ; 또래관계 ; Art therapy ; Domestic violence ; Self-esteem ; socialit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5-140(1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 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부모 가정 아동으로 미술치료 프로...
본 연구는 한 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 치료를 실시하여 정서 조절 능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 부모 가정 아동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5년 10월 8일부터 12월 8일까지, 주 2회, 60분씩 총 16회기를 진행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Shields와 Cicchetti(1997) 정서 조절 능력 척도(The Emotional Regulation Checklist : ERC)를 유아를 대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한 여은진(2009)의 유아 정서 조절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 다. Caldarella과 Merrell(1997)의 아동·청소년의 사회 기술 척도(Social Skills Scale)문항 중에서 또래 관계 척도만을 사전· 사후 실시하였으며, 동적 학교 생활화 그림(KSD)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또래 관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 정서 조절 능력, 부적 정서 조절 능력의 긍정적 변화로 정서 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또래 관계 영역에서 주도성, 협동· 공감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동적학교생활화그림(KSD)검사의 질적 효과면에서 또래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rt therapy on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and examine its effect on the clie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Subject of the study is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This art therapy pr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rt therapy on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and examine its effect on the client's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Subject of the study is a child of single-parent family. This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a 60-minute session, which was held twice a week for total 16 sessions from October 8 to December 8, 2015. As measuring tools,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cale by,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ERC(The Emotional Regulation Checklist) by Shields and Cicchetti (1997)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Only the peer relationship scale in Social Skills Scale for children and youth by Gresham and Elliott(1990), and Caldarella and Merrell(1997) was conducted for pre/post testing. Also,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was qualitatively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positive chang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rol abilities,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Second, children displayed positive changes in the initiative, cooperation and sympathy in the peer relationship domain with respect to the qualitative effect of KSD test, negative emotion control ability was improved,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peer relationsh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보영,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2 최영미, "한부모가정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3 통계청, "한국 및 OECD 주요국 합계출산율 변동 추이. 출생통계/OECD Family Database (2011)"
4 황정향, "한 부모 가족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또래 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15 (15): 821-838, 2008
5 홍민숙,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표현 및 또래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6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9 (19): 565-581, 2012
7 우선희,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8 강명숙,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3
9 오소원,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2016
10 임성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9 (9): 331-347, 2013
1 안보영,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2 최영미, "한부모가정 반편견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3 통계청, "한국 및 OECD 주요국 합계출산율 변동 추이. 출생통계/OECD Family Database (2011)"
4 황정향, "한 부모 가족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향상과 또래 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15 (15): 821-838, 2008
5 홍민숙,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표현 및 또래관계 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6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19 (19): 565-581, 2012
7 우선희,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8 강명숙,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3
9 오소원,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2016
10 임성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9 (9): 331-347, 2013
11 서예원, "집단미술치료가 공격성을 가진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12 이지영,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18 (18): 461-493, 2006
13 신애란,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2
14 권선영, "입체조형 활동을 중심으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8 (18): 529-549, 2011
15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16 김소영, "유아의 놀이성, 정서표현수준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간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여은진,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8 이화영, "방임아동의 정서조절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동국대학교 2015
19 김은희, "미술치료가 그룹홈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2
20 최외선,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006
21 양윤란,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개발: 초등학교 4학년 - 중학교 3학년 학생용" 24 (24): 961-971, 2005
22 김경수,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법문당 2010
23 Gratz, K. L.,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26): 45-54, 2004
24 Knoff, H. M., "Kinetic Drawing system for Family and School; a handbook WPS professional handbook series" 1985
25 Greenberg, L. S.,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feeling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2002
26 Gross, J. J.,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13 (13): 551-573, 1999
27 Shields, A.,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l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k scale" 33 (33): 906-916, 1997
28 Bonanno, G. A., "Emotion" The Guilford Press 251-285, 2001
29 Caldarella, P., "Common dimension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 taxonomy of positive behaviors" 26 (26): 264-278, 1997
그림 형제의 민담 <작은 빨강모자>에 나타나는 이야기 전개와 상들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해석
집단예술심리치료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4-1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예술치료학회 -> (사)한국예술치료학회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IKA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