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교육현안수요 특별교부금 배분의 공평성 및 영향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72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se equity and determinants of special grant for ‘Urgent Needs of Local Education’ and to suggest its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o achieve the purpose, empirical analysis implemented by analyzing equity with Gini coefficient.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determinants of allocation of special grant. Special grant data from 2013 to 2016 was collected from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ther demographic and election data was us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pecial grant for ‘Urgent Needs fo Local Education’ is allocated very unfairly. Most Gini coefficients range above 0.4. Second, the political inclinations of superintendents and memberships of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statistically affect the allocation of special grant. In order to improve special
      grant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special grant, ensure transparency in process of allocation, and set an adequate management system.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on special grants allocation for ‘National Policy Proj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se equity and determinants of special grant for ‘Urgent Needs of Local Education’ and to suggest its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o achieve the purpose, empirical analysis implemented by analyzing equity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se equity and determinants of special grant for ‘Urgent Needs of Local Education’ and to suggest its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o achieve the purpose, empirical analysis implemented by analyzing equity with Gini coefficient.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determinants of allocation of special grant. Special grant data from 2013 to 2016 was collected from ‘the Local Educational Finance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ther demographic and election data was us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pecial grant for ‘Urgent Needs fo Local Education’ is allocated very unfairly. Most Gini coefficients range above 0.4. Second, the political inclinations of superintendents and memberships of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statistically affect the allocation of special grant. In order to improve special
      grant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special grant, ensure transparency in process of allocation, and set an adequate management system.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on special grants allocation for ‘National Policy Proj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석재,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와 자원배분의 정치 : 17대 국회 특별교부금 배분 사례" 한국정치학회 43 (43): 113-130, 2009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정책에 관한 실태분석" 1-19, 2005

      3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4 허원제, "포크배럴식 예산배분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특별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0 (10): 151-184, 2017

      5 오범호, "특수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85-200, 2014

      6 김석태, "특별교부세의 정체성" 13 (13): 285-303, 2001

      7 김상헌, "특별교부세배분에관한실증적연구" 한국행정학회 36 (36): 159-171, 2002

      8 최연태, "특별교부세 배분의 정치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회 42 (42): 283-304, 2008

      9 유보람, "특별교부세 배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장 특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47-278, 2014

      10 김민희, "특별교부금제도 관리 운영과정 개선방안 -국고보조금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59-91, 2014

      1 허석재,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와 자원배분의 정치 : 17대 국회 특별교부금 배분 사례" 한국정치학회 43 (43): 113-130, 2009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정책에 관한 실태분석" 1-19, 2005

      3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4 허원제, "포크배럴식 예산배분의 정치경제학적 분석: 특별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0 (10): 151-184, 2017

      5 오범호, "특수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85-200, 2014

      6 김석태, "특별교부세의 정체성" 13 (13): 285-303, 2001

      7 김상헌, "특별교부세배분에관한실증적연구" 한국행정학회 36 (36): 159-171, 2002

      8 최연태, "특별교부세 배분의 정치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학회 42 (42): 283-304, 2008

      9 유보람, "특별교부세 배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장 특성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20 (20): 247-278, 2014

      10 김민희, "특별교부금제도 관리 운영과정 개선방안 -국고보조금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59-91, 2014

      11 이상일, "특별교부금 배정요인에 관한 연구" 71-85, 2014

      12 정현주, "특별교부금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61-85, 2017

      13 김지하, "특별교부금 국가시책사업 평가의 실태와 개선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5 (25): 27-63, 2016

      14 교육부, "특별교부금 교부, 운용 기준"

      15 강혜규, "지방정부 사회복지 지출 결정요인 : 기초자치단체 세출예산의 규모와 구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6 조기태, "지방정부 복지재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분권교부세제도 실시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17 "지방재정365"

      18 강호진, "지방자치와 자치구 세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 서울연구원 3 (3): 65-76, 2002

      19 한원택, "지방자치실시에 따른 지방정부 재정지출의 변화 및 원인" 6 (6): 5-27, 1994

      20 김애진, "지방자치단체장의 지대추구 유인에 관한 실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1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016

      22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013

      23 안전행정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014

      24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015

      25 "지방교육재정알리미"

      26 오세희, "지방교육재정교부 배분의 정치성과 합리성에 관한 소고"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2 (12): 101-129, 2016

      27 김민희,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1 (21): 1-34, 2012

      28 최준렬,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137-167, 2009

      29 남수경,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제도의 형평성 평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6 (16): 31-56, 2007

      3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총람"

      3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총람"

      3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19대 국회의원선거총람"

      33 최정우, "정치적 영향력이 특별교부세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와 지방자치단체장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4 (54): 169-198, 2016

      34 송기창, "이명박정부의 지방교육재정정책 평가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1-27, 2013

      35 남궁근, "우리나라 지방정부 지출수준의 결정요인분석: 시ㆍ군ㆍ자치구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28 (28): 991-1012, 1994

      36 윤홍주,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공평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307-326, 2004

      37 정동욱, "시⋅도 교육청별 단위학교 간 교육자원 배분의 형평성 비교 분석 -전국 공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275-295, 2011

      38 김민희, "시·도교육청 교육핵심정책사업비 투자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QCA 적용"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443-462, 2015

      39 이정우, "소득분배론" 비봉출판사 1997

      40 한유경, "서울시 공립 초∙중학교 교육비의 공평성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75-102, 2006

      41 데일리안, "부상하는 교문위 분리설, 이번엔 힘 받을까?"

      42 김승연, "복지수요, 재정능력, 정치적 관계가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위임복지 및 자율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43 교육부, "보도자료: 교육자치와 학교자율화를 위한 첫걸음 내딛다"

      44 이데일리, "국회의원과 장관의 짬자미, , , ‘눈먼 돈’ 특별교부금"

      45 서울신문, "국회시정 요구에 개선안 내놓고도, 교육부 특별교부금 편법 운용 여전"

      46 "국가통계포털"

      47 송기창, "국가 교육재원 배분과정의 효율화 방안"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179-205, 2008

      48 김지하, "교육환경변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제도 재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49 송기창, "교육재정관계법령의 구조적 문제점 분석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0 (10): 81-107, 2001

      50 나민주, "교육재정경제학 백과사전" 하우동설 675-689, 2001

      51 교육부, "교육자치와 학교자율화를 위한 첫걸음 내딛다"

      52 이광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 재정 배분방안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4, 2011

      53 조규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재정배분의 공평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411-437, 2012

      54 국민권익위원회, "교육과학기술부 특별교부금 부패영향평가 개선 권고안"

      55 박은진, "교육과학기술부 특별교부금 배분의 정치성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교육현안수요 특별교부금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0

      56 이쌍철, "교육경비보조금의 공평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49-170, 2009

      57 연합뉴스, "교육감선거 진보 약진…서울 등 6곳 입성"

      58 연합뉴스, "교육감 선거 '진보 압승'"

      59 정현주, "교육 특별교부금 배분의 영향요인과 공평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60 최연태, "관료적 지대추구가 특별교부세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0 (20): 189-218, 2011

      61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지방교육재정 운용 실태" 2015

      62 감사원, "감사결과 처분요구서: 교육과학기술부 특별교부금 운용실태"

      63 아시아경제, "安의 1지망, 교문위 인기 비결은"

      64 Key, V. O., "The lack of a budgetary theory" 34 (34): 1137-1144, 1940

      65 Hausman, J. A., "Specification tests in econometrics" 46 (46): 1251-1271, 1978

      66 Odden, A. R., "School finance. A policy perspective" McGraw-Hill Education 2013

      67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2

      68 Hausman, J., "Panel data and unobservable individual effects" 49 (49): 1377-1398, 1981

      69 Wong, K. K., "Economic Constraint and Political Choice in Urban Policy making" 32 (32): 1-18, 1988

      70 한국교육개발원, "2017 지방교육재정분석 종합보고서" 2017

      71 고전, "2014 교육감 주민직선 결과 및 쟁점 분석" 대한교육법학회 26 (26): 1-25, 2014

      72 송기창, "2012 교육재정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2 1.11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