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self-efficacy,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Gwangju A, B 3rd grade, 4th grade, learning disabilities, 61 people 61 people general total 120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1First,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regulation was achieved lower scores than general children, academic failure and subordinate area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 score was lower than in the general children. In addi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ternal cause, identified/integration cause, had lower scores on internal causes.
      Secon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in the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of the cause and the matter is internal and self efficacy, self-determination, identified/integrat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feelings, and actions found in / unifi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Thir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that affect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subordinate areas related to each other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s feeling. The general children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the children includ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s, behavior, preferred task difficul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self-efficacy,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Gwangju A, B 3rd grad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self-efficacy,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Gwangju A, B 3rd grade, 4th grade, learning disabilities, 61 people 61 people general total 120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1First,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regulation was achieved lower scores than general children, academic failure and subordinate area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 score was lower than in the general children. In addi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ternal cause, identified/integration cause, had lower scores on internal causes.
      Secon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in the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of the cause and the matter is internal and self efficacy, self-determination, identified/integrat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feelings, and actions found in / unifi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Thir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that affect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subordinate areas related to each other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s feeling. The general children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the children includ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s, behavior, preferred task difficul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G광역시 A, B초등학교 3, 4학년, 학습부진 61명, 일반 61명, 전체 120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 차이와 상관관계,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동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하위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일반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학업적 실패내성과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영역에서도 일반아동보다 점수가 낮았다. 또한 자기결정성동기에서도 학습부진아동들은 하위영역인 외적원인, 통합/확인된 원인, 내적원인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학업적 실패내성은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에서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셋째, 학습부진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자신감과 자기조절감이며,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이다. 그러나 초등학생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G광역시 A, B초등학교 3, 4학년, ...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G광역시 A, B초등학교 3, 4학년, 학습부진 61명, 일반 61명, 전체 120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 차이와 상관관계,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동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하위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일반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학업적 실패내성과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영역에서도 일반아동보다 점수가 낮았다. 또한 자기결정성동기에서도 학습부진아동들은 하위영역인 외적원인, 통합/확인된 원인, 내적원인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학업적 실패내성은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에서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셋째, 학습부진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자신감과 자기조절감이며,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이다. 그러나 초등학생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석영,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결정성동기,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오화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39 (39): 95-123, 2001

      4 황정규, "학습의 맥락에서 본 학습부진아" 한국교육개발원 1979

      5 신세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1979

      6 정원식, "학습부진아의 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7 박병량, "학습부진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8 이상로,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책과 방향" 52 : 1971

      9 윤희원,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학습에서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이 학습자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이명순, "학습된 무기력 극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이석영,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결정성동기,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오화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39 (39): 95-123, 2001

      4 황정규, "학습의 맥락에서 본 학습부진아" 한국교육개발원 1979

      5 신세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1979

      6 정원식, "학습부진아의 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7 박병량, "학습부진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8 이상로,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책과 방향" 52 : 1971

      9 윤희원,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학습에서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이 학습자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이명순, "학습된 무기력 극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한영숙,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12 소연희, "학교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49-64, 2008

      13 허수정,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14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동기의 변화" 14 : 47-66, 2000

      15 김지혜,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교적응의 차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박하진,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이화여대 인간발달연구소, "중학교의 학습지진 학생지도를 위한 실험적 연구" 이화여대 인간발달연구소 1972

      18 이명숙,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이은숙, "자기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존중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임지현,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학업 유능감,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1 박영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 꾸물거림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22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23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4 차은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학업적 실패내성,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배대식,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6 정정애,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27 Bandura.A, "변화하는 사회속에서의 자기효능감" 학지사 2004

      28 이철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언어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9 이정규, "대학생의 창의성과 작업선호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13-432, 2005

      30 하대현, "내ㆍ외재 동기유형의 타당화와 성격과의 상관요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5-47, 2003

      31 김아영, "교실에서의 동기"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36, 2003

      32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3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84 : 191-215, 1977

      34 Gagne,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26 : 331-362, 2005

      35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2002

      36 Brophy, J. E,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1998

      37 Meece, J.,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8 Winters, C. A., "Learning disabilities, crime, delinquency and special education placement" (Summer) : 451-462, 1997

      39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40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1975

      41 deCharms,R, "Enhancing motivation" Irvington Publishers 1976

      42 Woolforlk, A. E, "Educational Psychology" Allyn & Bacon 1998

      43 Kirk, S. A,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Houghton Mifflin 1962

      44 Wigfield, A., "Change in children's competence beliefs and subjective task values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 : A 3-year study" 89 (89): 451-469, 1997

      45 이화진, "CAI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충학습 지도효과에 관한 연구:중학교 학습부진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46 Hayamizu, T.,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Examination of reasons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39 (39): 98-108,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