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석영,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결정성동기,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오화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39 (39): 95-123, 2001
4 황정규, "학습의 맥락에서 본 학습부진아" 한국교육개발원 1979
5 신세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1979
6 정원식, "학습부진아의 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7 박병량, "학습부진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8 이상로,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책과 방향" 52 : 1971
9 윤희원,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학습에서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이 학습자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이명순, "학습된 무기력 극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이석영, "학업적 자기효능감,자기결정성동기,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 오화숙,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39 (39): 95-123, 2001
4 황정규, "학습의 맥락에서 본 학습부진아" 한국교육개발원 1979
5 신세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1979
6 정원식, "학습부진아의 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79
7 박병량, "학습부진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0
8 이상로,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시책과 방향" 52 : 1971
9 윤희원,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학습에서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이 학습자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이명순, "학습된 무기력 극복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한영숙,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12 소연희, "학교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49-64, 2008
13 허수정,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14 이은주, "초등학생들의 학습동기의 변화" 14 : 47-66, 2000
15 김지혜,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교적응의 차이"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6 박하진,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이화여대 인간발달연구소, "중학교의 학습지진 학생지도를 위한 실험적 연구" 이화여대 인간발달연구소 1972
18 이명숙,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이은숙, "자기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존중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임지현,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학업 유능감,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1 박영민,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 꾸물거림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22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23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4 차은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학업적 실패내성,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배대식,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26 정정애, "부모양육태도,학업적 자기효능감,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27 Bandura.A, "변화하는 사회속에서의 자기효능감" 학지사 2004
28 이철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언어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9 이정규, "대학생의 창의성과 작업선호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13-432, 2005
30 하대현, "내ㆍ외재 동기유형의 타당화와 성격과의 상관요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5-47, 2003
31 김아영, "교실에서의 동기"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5-36, 2003
32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3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84 : 191-215, 1977
34 Gagne,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26 : 331-362, 2005
35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2002
36 Brophy, J. E,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1998
37 Meece, J.,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38 Winters, C. A., "Learning disabilities, crime, delinquency and special education placement" (Summer) : 451-462, 1997
39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40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1975
41 deCharms,R, "Enhancing motivation" Irvington Publishers 1976
42 Woolforlk, A. E, "Educational Psychology" Allyn & Bacon 1998
43 Kirk, S. A,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Houghton Mifflin 1962
44 Wigfield, A., "Change in children's competence beliefs and subjective task values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 : A 3-year study" 89 (89): 451-469, 1997
45 이화진, "CAI프로그램을 이용한 보충학습 지도효과에 관한 연구:중학교 학습부진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46 Hayamizu, T.,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Examination of reasons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39 (39): 98-108,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