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궁중 병풍의 제작과 진상 = A Study on Inventory Lists of Royal Screens Preserved in the Jangseogak Arch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2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왕실 발기 가운데 병풍의 목록을 작성한 자료 8건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진 사료로서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이 문건들은 총 4가지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왕실 혼례에 활용된 병풍의 수량과 종류를 알려주는 경우이다. 이 사례는 혼례의 절차마다 어떤 병풍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궁중 병풍의 장황을 주문한 목록이다. 이 문건을 통하여 왕실에서 어떤 일을 계기로 어떤 병풍을 제작하였는지 논의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한응창을 위시한 왕실 병풍 장황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병풍이 보관되어 있던 병풍고와 별고라는 창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계병과 장병이 新造와 進上의 방식으로 헌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複本의 동일 발기 문건을 확인함으로써 발기라는 문건이 가진 서지학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왕실에서 사용한 서병의 목록을 확인함으로써 왕실의 古文 취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현재는 전하지 않는 다양한 궁중 병풍의 작례를 검토하였으며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당대의 병풍화 명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유물과 기록이 부합하는 작례도 발굴할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하여 향후 왕실 발기가 조선 왕실의 미술 문화를 살피는 데에 더욱 중요한 사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왕실 발기 가운데 병풍의 목록을 작성한 자료 8건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진 사료로서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이 문건들은 총 4가지로 범주로 나누어 볼...

      이 글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왕실 발기 가운데 병풍의 목록을 작성한 자료 8건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진 사료로서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이 문건들은 총 4가지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왕실 혼례에 활용된 병풍의 수량과 종류를 알려주는 경우이다. 이 사례는 혼례의 절차마다 어떤 병풍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궁중 병풍의 장황을 주문한 목록이다. 이 문건을 통하여 왕실에서 어떤 일을 계기로 어떤 병풍을 제작하였는지 논의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한응창을 위시한 왕실 병풍 장황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병풍이 보관되어 있던 병풍고와 별고라는 창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계병과 장병이 新造와 進上의 방식으로 헌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複本의 동일 발기 문건을 확인함으로써 발기라는 문건이 가진 서지학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왕실에서 사용한 서병의 목록을 확인함으로써 왕실의 古文 취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현재는 전하지 않는 다양한 궁중 병풍의 작례를 검토하였으며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당대의 병풍화 명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유물과 기록이 부합하는 작례도 발굴할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하여 향후 왕실 발기가 조선 왕실의 미술 문화를 살피는 데에 더욱 중요한 사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royal screen painting was ordered, produced, commissioned, and stored in the cour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by analyzing on eight royal inventory lists “ Balgi”s preserved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royal inventory list “Balgi”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since those screens of royal occasions were made as gifts to the King Kojong (r. 1863~1907) and the Crown Prince Sunjong (r.1907~1910), they have been stored in special screens storages of the residential palaces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Balgis also indicate that those screens were moved to an extra storage out of palace during 1905-1906. These facts imply that royal screens were managed for storage and transition under court controls after their produ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procedur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oyal screens by an analysis of cases of eight royal inventory lists “Balgi”s reserved at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royal commissioned painting screens and its royal inventory list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royal screen painting was ordered, produced, commissioned, and stored in the cour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by analyzing on eight royal inventory lists “ Balgi”s preserved in the Jangseogak Arch...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royal screen painting was ordered, produced, commissioned, and stored in the cour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by analyzing on eight royal inventory lists “ Balgi”s preserved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royal inventory list “Balgi”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since those screens of royal occasions were made as gifts to the King Kojong (r. 1863~1907) and the Crown Prince Sunjong (r.1907~1910), they have been stored in special screens storages of the residential palaces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Balgis also indicate that those screens were moved to an extra storage out of palace during 1905-1906. These facts imply that royal screens were managed for storage and transition under court controls after their produ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procedur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oyal screens by an analysis of cases of eight royal inventory lists “Balgi”s reserved at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royal commissioned painting screens and its royal inventory li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1837년 「뎡유길례시병풍□긔」와 왕실의 혼례 병풍
      • Ⅲ. 1881년 「신사뉵월한응창의게셔병풍□미여온□긔」와 裝潢師
      • Ⅳ. 궁궐 병풍 창고의 목록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1837년 「뎡유길례시병풍□긔」와 왕실의 혼례 병풍
      • Ⅲ. 1881년 「신사뉵월한응창의게셔병풍□미여온□긔」와 裝潢師
      • Ⅳ. 궁궐 병풍 창고의 목록
      • Ⅴ. 「屛風三十三坐內容」과 글씨병풍의 용도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산호, "한국 근·현대 표구기술의 변천 과정"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2 고수익, "표구미학개론" 고륜 2007

      3 김영욱, "청운 강진희의 《鍾鼎瓦甎銘臨模圖》 10첩 병풍" 5 : 2012

      4 김지영,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들 - 장서각 소장 출산관련 ‘궁중발기[宮中件記]’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3-34, 2010

      5 박은경, "조선후기 왕실 가례용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정혜,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3" 민속원 2005

      7 이성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2" 민속원 2005

      8 김명선, "조선후기 궁중발기에 나타난 가례복식과 길례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 : 39-67, 2008

      10 박정혜, "조선후기 <王會圖> 屛風의 제작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77 (277): 105-132, 2013

      1 김산호, "한국 근·현대 표구기술의 변천 과정"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2 고수익, "표구미학개론" 고륜 2007

      3 김영욱, "청운 강진희의 《鍾鼎瓦甎銘臨模圖》 10첩 병풍" 5 : 2012

      4 김지영,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들 - 장서각 소장 출산관련 ‘궁중발기[宮中件記]’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23) : 3-34, 2010

      5 박은경, "조선후기 왕실 가례용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정혜,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3" 민속원 2005

      7 이성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2" 민속원 2005

      8 김명선, "조선후기 궁중발기에 나타난 가례복식과 길례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 -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19) : 39-67, 2008

      10 박정혜, "조선후기 <王會圖> 屛風의 제작과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77 (277): 105-132, 2013

      11 주영하, "조선왕조 궁중음식 관련 고문헌 자료 소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422-436, 2013

      12 장경희,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13 김봉좌, "조선시대 유교의례 관련 한글문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14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2017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단국대학교 출판부 2012

      16 황문환, "정미가례시일기"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0

      17 이지영, "장서각 소장의 탄일 발기에 대한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269-280, 2012

      18 김봉좌, "왕실 한글 필사본의 전승 현황과 가치" 국어사학회 (20) : 39-64, 2015

      19 김봉좌, "왕실 의례를 위한 발기[件記]의 제작과 특성 - 1882년 왕세자 가례를 중심으로 -" 한국서지학회 (65) : 291-330, 2016

      20 박본수, "오리건대학교박물관 소장 십장생병풍(十長生屛風)연구 : 왕세자두후평복진하계병의 의례" 2 : 2008

      21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목공木工 : 이화여자대학교창립 130주년기념소장품특별전"

      22 정병설, "권력과 인간" 문학동네 2012

      23 이민주, "궁중발기를 통해 본 왕실의 복식문화 -임오가례시(壬午嘉禮時) 생산체제를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14 (14): 119-138, 2011

      24 국립고궁박물관, "국역 덕온공주가례등록" 국립고궁박물관 2017

      25 정병설, "구운몽도: 그림으로 읽는 『구운몽』" 문학동네 2010

      26 황정연, "경희궁은 살아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2016

      2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 복식발기류 7"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2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藏書閣所藏 古文書大觀: 복식·패물발기류 8"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29 金用淑, "宮中"撥記"의 연구 : 宮中用語硏究續-資料提示를 主로 하여-"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18 : 1964

      3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十二 : 藏書閣篇 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3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古文書集成 十三 : 藏書閣篇 Ⅳ"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32 이명은, "『궁중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33 Lachman, Charles,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Shipjangsaengdo: an Important Korean folding Screen in the Collection of the Jordan Schnitzer Museum of Art at the University of Oreg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6

      34 Seo, Yoonjung, "Connecting Across Boundaries: The Use of Chinese Images in Late Chosŏn Court Art from Transcultural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14

      35 Gulik, Robert Hans van, "Chinese Pictorial Art: as Viewed by the Connoisseur" Hacker Art Books 1981

      36 황정연, "19-20세기 초 조선 궁녀의침선 활동과 궁중 자수서화병풍의 제작"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6) : 7-39, 2013

      37 안애영, "1882(壬午)年 王世子 嘉禮 硏究 -『가례도감의궤』와 「궁중ㅁ긔」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22) : 107-137, 2009

      38 김수진, "1879년 순종의 천연두 완치 기념 계병(稧屛)의 제작과 수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9) : 98-125, 2017

      39 국립문화재연구소, "(미국 오리건대학교 조던슈니처 박물관 소장)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40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국혼정례" 국학자료원 2007

      4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18집) 조선시대 궁중행사도 I" 국립중앙박물관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