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그리고 기대하는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G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14454
2014
Korean
스포츠 강사 ; 체육교과 ; 인식 ; sports instructor ; physical education ; recognition
KCI등재
학술저널
47-63(1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그리고 기대하는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G 교...
이 연구는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그리고 기대하는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G 교육대학교에서 보수교육을 받은 스포츠 강사 29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과에 대한 대표적인 긍정적인 인식은 남자들은 ‘건강을 위해 필요한 교과’에, 여자들은 ‘스트레스와 활동욕구를 해소시켜 주는 교과’ 이었다. 둘째,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과에 대한 대표적인 부정적 인식은 남여 모두 ‘배움이 없는 교과’이었다. 셋째,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이 체육교과에 대해 기대하는 대표적인 인식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필요한 교과’가 되었으면 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wareness of sport and the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and their expectations for the recognition and analys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is study was a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wareness of sport and the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and their expectations for the recognition and analys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is study was analyzed recognition for physical education through an open questionaire to 294 sport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contiuing education in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positive recognition for physical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port instructors was "the need curriculum for health" from men and "relieved curriculum for stress and activity desire" from women.
Second, the representative negative recognition for physical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port instructors was "the curriculum without learning" from all men and women.
Third, the expecting representative recognition for physical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sport instructors is "physical education is hop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환, "평생체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체육수업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 6 (6): 326-333, 1997
2 김계수, "초등학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유생열, "초등학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0 (10): 25-44, 2008
4 이재용,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체육경험과 체육수업에 관한 믿음과 가치" 3 (3): 109-168, 1996
5 오원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갈등요인과 바람직한 역할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계획(안)" 2009
7 박재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검토와 운영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61-81, 2010
8 박대권,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교육관과 수업실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명수, "초등체육교육 내실화를 위한 스포츠강사제 운영의 방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147-156, 2010
10 한만규, "초등예비교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인식분석" 49 (49): 143-153, 2012
1 김장환, "평생체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체육수업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연구" 6 (6): 326-333, 1997
2 김계수, "초등학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유생열, "초등학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0 (10): 25-44, 2008
4 이재용,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체육경험과 체육수업에 관한 믿음과 가치" 3 (3): 109-168, 1996
5 오원선,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갈등요인과 바람직한 역할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계획(안)" 2009
7 박재정,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사업검토와 운영방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61-81, 2010
8 박대권,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교육관과 수업실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9 김명수, "초등체육교육 내실화를 위한 스포츠강사제 운영의 방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5 (15): 147-156, 2010
10 한만규, "초등예비교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인식분석" 49 (49): 143-153, 2012
11 이병진, "초등교육학개론" 문음사 1999
12 허 용, "초등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실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3 김돈회, "초등 체육수업에서 아동이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양옥경, "초등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5 강신복, "체육수업탐구" 도서출판태근문화사 1994
16 유정애, "체육수업비평" 무지개사 2003
17 김선희,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8 이한주, "체육교과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 중학생의 인식과 태도 비교" 한국체육철학회 11 (11): 39-60, 2003
19 김중형, "체육교과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과 어려움 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69-87, 2011
20 이재운, "체육교과 인식에 대한 중학생의 성별 차이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755-762, 2005
21 윤명희, "체육과 교육론" 태근사 1997
22 진국희,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조사" 9 : 25-43, 2004
23 박혜정,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의 역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4 이동호, "예비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인식 및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39-155, 2011
25 유용옥, "여자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인식분석" 5 (5): 2001
26 박은규, "아동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도 및 참여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1 (41): 469-476, 2002
27 송지환, "스포츠강사의 체육수업 참여 지도에 대한 학생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59-68, 2011
28 김대석, "스포츠 강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기한준,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서의 체육교육과정" 전남대부설 스포츠과학연구소 17 : 17-43, 2000
30 안자희, "고등학교 체육교과에 대한 학생?교사간 인식도 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 41 (41): 167-184, 2002
31 정지수, "강원도 내 초등학교 스포츠강사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2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33 Tannehill, 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 Their impact on ho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ake sense of their work" 13 : 406-420, 1994
Exploring the Causes of Burnout for America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인문학적 접근에 의한 체육지도안 개발에서 학습성취에 미치는 요소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참여만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체육수업에서 암묵적 믿음,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이 귀인과 과제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1.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1 | 1.8 | 1.668 | 0.57 |
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