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반도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이론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649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 북한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260 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상철
        참고문헌 : p.244-256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지 7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염원일 뿐 어떻게, 언제쯤 통일이 올 것이냐에 대해서는 기약이 없다. 분단이 한민족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진 것처럼, 통일도 어느 날 아침 그렇게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에 불과하다. 내 스스로 달성하기 못하는 통일은 사상누각과 같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수세적인 한국의 통일·안보전략은 근본적인 문제부터 변화시킬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이 연구가 출발하였다.
      통일의 대상인 북한은 대남적화전략에 변함이 없는 가운데, 김정은에 의한 3대 세습체제 공고화에만 골몰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좀 더 나은 생활을 위한 개혁·개방에는 관심이 없다. 오히려 핵을 통하여 전 세계를 상대로 불장난을 하고 있는 북한을 통일의 장(場)으로 나오게 하는 것은 외부의 힘에 의해 김정은 정권을 교체시키는 것만이 유일한 길이다. 그리고 북한에 못지않게 한반도를 둘러싼 통일 환경도 만만치 않다. 한반도 문제가 태생적으로 국제문제이기는 하지만,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새로운 냉전체제의 구축과 북한 핵문제를 풀기 위한 외교전쟁은 한반도의 통일문제가 한층 더 국제화되었음을 증명한다. 이렇게 얽혀있는 한반도의 통일문제를 풀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4세대 전쟁에서 그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많은 학자들이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현대의 전쟁은 1·2·3세대를 거쳐 이제는 제4세대 전쟁으로 진입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분명히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전쟁들은 걸프전 이후 예상했던 첨단무기에 의한 재래식 전쟁의 모습은 아니다. 제4세대 전쟁을 체계화한 햄즈는 “제4세대 전쟁은 상대방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그들의 전략적 목적이 달성 불가하거나 자기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익보다는 손해가 더 크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모든 가용한 네트워크–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군사적–를 사용하는 전쟁이며, 이는 분란전의 진화된 형태이다.”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전쟁은 이전의 전쟁과는 달리 적의 군대를 공격함으로써 승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적의 정치적 의지를 파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의 의사결정자들의 심리를 공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제4세대 전쟁은 1·2·3세대 전쟁이 그랬던 것처럼 인간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이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계속 진화하고 있다. 마오쩌둥의 혁명전쟁전략은 호찌민에 의해 베트남통일로 결실을 맺었다. 이념적 반대편에서는 서독이 또 다른 제4세대 전쟁을 통하여 미국이 소련을 붕괴시킨 것처럼 동독을 무너뜨리고 통일을 달성하였다. 분단 이후 한반도에서는 북한에 의한 마오쩌둥식의 혁명전쟁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나, 남한은 지금의 풍요에 젖어 이것이 전쟁이라는 인식조차도 부족하다.
      베트남의 통일전쟁은 한국의 통일에 있어 반면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지금의 복잡한 국내 상황을 보고 붕괴 직전의 남베트남을 연상하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반면에 독일의 통일은 한반도와는 통일 환경이 다르다는 이유로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데, 이는 경계하여 마땅하다. 햄즈가 제4세대 전쟁으로 제시한 사례들에서 독일의 통일과 같은 사례들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제4세대 전쟁은 정형이 없으며, 사회의 변화에 따라 계속 진화한다고 하였다. 독일의 통일은 재래식 군사력을 투입하여 벌인 전쟁은 아니지만, 국가의 모든 역량을 투입하여 벌인 진화된 제4세대 전쟁의 결과이다. 단지, 국제적 비난에 개의치 않는 공산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합법을 빌린 전쟁수단을 서독이 사용했을 뿐이다.
      대한민국의 통일·안보전략은 이 두 사례를 모두 수용하는 것이어야 한다. 북한의 제4세대 전쟁에 대비하면서, 한국이 주체가 되는 한국 특유의 제4세대 전쟁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정부는 제4세대 전쟁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없는 가운데 통일·안보정책과 전략을 구사해왔다고 할 수 있다. 햇볕정책을 통하여 대표적 유화정책을 폈던 김대중 정부도, 비핵·개방·3000정책을 통하여 대표적 강경정책을 폈던 이명박 정부도 북한을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통일을 위하여 변화가 필요한 북한정권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두 정부의 정책을 포괄하면서도, 한국 스스로가 주인이 되어 외부로부터 북한의 변화를 압박하는 제4세대 전쟁전략의 수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통일의 대상으로서 북한 내외부의 환경은 한국에게 결코 불리하지 않다. 3대 세습이 안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정치·군사·경제·사회 분야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과 주변 인물들의 틈을 벌리기 위한 전략이나 인민들의 불만을 증폭시키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은 실현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 보인다. 그리고 북한의 불장난에 신물이 난 중국과 주변국들에게 김정은 정권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는 이미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을 상대로 하여 제4세대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남한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고,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과 전략수행을 가능케 하는 정치체제와 권력구조의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서는 통일의 과정이 전쟁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전쟁방식은 제4세대 전쟁이어야 한다. 제4세대 전쟁은 평시활동과 전쟁의 구분이 모호하며, 재래식 군사력을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가용한 모든 외교·정보·경제·군사적 수단을 총 동원하여 전쟁을 수행하므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지 않고도 전쟁이 가능하다. 그리고 DIME을 고려한다면 북한보다는 남한이 훨씬 가용한 수단이 많으므로, 북한보다 불리할 것이 없는 전쟁이다. 다만, 전쟁수행에 대한 효율적인 정치제도의 정비와 전쟁에 임하는 국민들의 의식이 얼마나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느냐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것이다.
      이 연구는 주제가 광범위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지는 못했다. 따라서 세부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연구는 한국의 통일·안보전략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지 7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염원일 뿐 어떻게, 언제쯤 통일이 올 것이냐에 대해서는 기약이 없다. 분단이 한민족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이루어...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지 7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염원일 뿐 어떻게, 언제쯤 통일이 올 것이냐에 대해서는 기약이 없다. 분단이 한민족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이루어진 것처럼, 통일도 어느 날 아침 그렇게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에 불과하다. 내 스스로 달성하기 못하는 통일은 사상누각과 같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수세적인 한국의 통일·안보전략은 근본적인 문제부터 변화시킬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이 연구가 출발하였다.
      통일의 대상인 북한은 대남적화전략에 변함이 없는 가운데, 김정은에 의한 3대 세습체제 공고화에만 골몰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좀 더 나은 생활을 위한 개혁·개방에는 관심이 없다. 오히려 핵을 통하여 전 세계를 상대로 불장난을 하고 있는 북한을 통일의 장(場)으로 나오게 하는 것은 외부의 힘에 의해 김정은 정권을 교체시키는 것만이 유일한 길이다. 그리고 북한에 못지않게 한반도를 둘러싼 통일 환경도 만만치 않다. 한반도 문제가 태생적으로 국제문제이기는 하지만, 중국의 부상으로 인한 새로운 냉전체제의 구축과 북한 핵문제를 풀기 위한 외교전쟁은 한반도의 통일문제가 한층 더 국제화되었음을 증명한다. 이렇게 얽혀있는 한반도의 통일문제를 풀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4세대 전쟁에서 그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많은 학자들이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현대의 전쟁은 1·2·3세대를 거쳐 이제는 제4세대 전쟁으로 진입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분명히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전쟁들은 걸프전 이후 예상했던 첨단무기에 의한 재래식 전쟁의 모습은 아니다. 제4세대 전쟁을 체계화한 햄즈는 “제4세대 전쟁은 상대방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그들의 전략적 목적이 달성 불가하거나 자기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익보다는 손해가 더 크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모든 가용한 네트워크–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군사적–를 사용하는 전쟁이며, 이는 분란전의 진화된 형태이다.”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전쟁은 이전의 전쟁과는 달리 적의 군대를 공격함으로써 승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적의 정치적 의지를 파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의 의사결정자들의 심리를 공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제4세대 전쟁은 1·2·3세대 전쟁이 그랬던 것처럼 인간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이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계속 진화하고 있다. 마오쩌둥의 혁명전쟁전략은 호찌민에 의해 베트남통일로 결실을 맺었다. 이념적 반대편에서는 서독이 또 다른 제4세대 전쟁을 통하여 미국이 소련을 붕괴시킨 것처럼 동독을 무너뜨리고 통일을 달성하였다. 분단 이후 한반도에서는 북한에 의한 마오쩌둥식의 혁명전쟁이 계속 진행되고 있으나, 남한은 지금의 풍요에 젖어 이것이 전쟁이라는 인식조차도 부족하다.
      베트남의 통일전쟁은 한국의 통일에 있어 반면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지금의 복잡한 국내 상황을 보고 붕괴 직전의 남베트남을 연상하는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반면에 독일의 통일은 한반도와는 통일 환경이 다르다는 이유로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데, 이는 경계하여 마땅하다. 햄즈가 제4세대 전쟁으로 제시한 사례들에서 독일의 통일과 같은 사례들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제4세대 전쟁은 정형이 없으며, 사회의 변화에 따라 계속 진화한다고 하였다. 독일의 통일은 재래식 군사력을 투입하여 벌인 전쟁은 아니지만, 국가의 모든 역량을 투입하여 벌인 진화된 제4세대 전쟁의 결과이다. 단지, 국제적 비난에 개의치 않는 공산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합법을 빌린 전쟁수단을 서독이 사용했을 뿐이다.
      대한민국의 통일·안보전략은 이 두 사례를 모두 수용하는 것이어야 한다. 북한의 제4세대 전쟁에 대비하면서, 한국이 주체가 되는 한국 특유의 제4세대 전쟁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정부는 제4세대 전쟁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없는 가운데 통일·안보정책과 전략을 구사해왔다고 할 수 있다. 햇볕정책을 통하여 대표적 유화정책을 폈던 김대중 정부도, 비핵·개방·3000정책을 통하여 대표적 강경정책을 폈던 이명박 정부도 북한을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통일을 위하여 변화가 필요한 북한정권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두 정부의 정책을 포괄하면서도, 한국 스스로가 주인이 되어 외부로부터 북한의 변화를 압박하는 제4세대 전쟁전략의 수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통일의 대상으로서 북한 내외부의 환경은 한국에게 결코 불리하지 않다. 3대 세습이 안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정치·군사·경제·사회 분야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과 주변 인물들의 틈을 벌리기 위한 전략이나 인민들의 불만을 증폭시키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은 실현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 보인다. 그리고 북한의 불장난에 신물이 난 중국과 주변국들에게 김정은 정권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는 이미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그러나 북한을 상대로 하여 제4세대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남한 사회의 혼란을 극복하고,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과 전략수행을 가능케 하는 정치체제와 권력구조의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서는 통일의 과정이 전쟁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전쟁방식은 제4세대 전쟁이어야 한다. 제4세대 전쟁은 평시활동과 전쟁의 구분이 모호하며, 재래식 군사력을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가용한 모든 외교·정보·경제·군사적 수단을 총 동원하여 전쟁을 수행하므로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지 않고도 전쟁이 가능하다. 그리고 DIME을 고려한다면 북한보다는 남한이 훨씬 가용한 수단이 많으므로, 북한보다 불리할 것이 없는 전쟁이다. 다만, 전쟁수행에 대한 효율적인 정치제도의 정비와 전쟁에 임하는 국민들의 의식이 얼마나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느냐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것이다.
      이 연구는 주제가 광범위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지는 못했다. 따라서 세부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연구는 한국의 통일·안보전략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Howeve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a dream. How and when unification would come true is in question. It is naive to think that unification may occur all of a sudden, just as the division took place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Korean people. Unification achieved by others is unstable and volatile. Therefore,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thinking that the passive and reactive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of South Korea need to be replaced by a new one on the basis of paradigm shift.
      North Korea, the counterpart of reunification, did not change its strategy of communizing South Korea. Currently North Korea has concentrated on consolidation of the hereditary political regime with little interest in economic reform and opening for the people’s better life. Nuclear development by Kim’ regime poses threat to the world. Only external forces could get the Kim Jong-un regime to give attention to unific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as tough as conditions in North Korea. Although the issues on Korean peninsula issue are a global one in nature, the Korean unification became more internationalized due to a newly emerging Cold War structure framed by China’s rise and diplomatic maneuvering on Korean nuclear weapons. Theories on the 4th Generation Warfare seems useful in seeking for strategy to achieve Korean unification.
      Many scholars and experts argue that the type of war developed from 1st, 2nd and 3rd to 4th generation since the Treaty of Westphalia.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since the Gulf War, current large and small scale wars in the world are not typical conventional one, which is conducted by advanced weapons. Thomas X. Hammes, who built theories on the 4th generation warfare, mentioned “Fourth-generation warfare(4GW) uses all available networks -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 to convince the enemy’s political decision makers that their strategic goals are either unachievable or too costly for the perceived benefit. It is an evolved form of insurgency.” And this war does not search for victory by attacking enemy’s armed forces. But this war aims to destroy enemy's political will, while attacking psychology of enemy decision makers with networks.
      The 4th generation warfare, like the 1st, 2nd and 3rd generation one, evolves in line with the societal change, reflecting the overall changes in human society. Ho Chi Minh achieved Vietnamese unification by employing Mao Zedong's revolutionary strategy. Meanwhile, democratic West Germany achieved unification with the other 4th generation warfare, as the Soviet Union collapsed by U.S.A.. Since the Korean War, the revolutionary war of Mao Zedong has been waged by Nor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uth Korea is still not even aware of war amid the prevailing abundance.
      Vietnam's unification war is a good lesson for Korean unification. This is the reason why I am reminiscent of South Vietnam just before the collapse, looking at the present complex domestic situatio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German unification is not well captured. More attention should be put on German unification strategy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German unification is not included in Hammes’s 4th generation warfare cases. However, he stressed that the 4th generation warfare maintains no strict type over time, evolving as society changes. German unification is not a product of conventional warfare. But it is an outcome of evolving 4th generation warfare, which was conducted by comprehensive resources of the state. Unlike communist countries with little concern over criticism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st Germany only used legitimate and legal means for war, which are allow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uth Korea's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should rest on the combination of Vietnamese and German case. While coping with the North Korea’s 4th generation warfare, South Korea needs a unique 4th generation war strategy in which South Korea plays a leading role. Until now,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taken unification and security policies and strategies withou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e Kim Dae-jung government, which took an engagement policy of the ‘Sunshine Policy’. In the meantime, the Lee Myung-bak government pursued a hard-line policy called the ‘Denuclearization·Openness·3000 Policy’. Both policies failed to bring about change in North Korea. In order to promote North Korean regime change in favour of unification, it is required for South Korea to adopt the 4th generation warfare strategy encompassing the policies of the two govern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South Korea should occupy a leading role, while pressures should be on North Korea from the outside.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s an object of unification, are relatively favorable to South Korea. Although hereditary political succession seems to be completed without problem, Kim Jong-un’s new regime has weaknesses in the political, military, economic and social sectors. Therefore, it appears feasible to adopt a strategy to widen the gap between Kim Jong-un and core power elites or to take a strategy to spread the dissatisfaction of the people. And the message that the Kim Jong-un regime needs to be changed is increasingly convincing to China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are disappointed with North Korea’s provocative military behaviors. However,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4th generation warfare against North Korea, it is urgent to reform the political system and power structure that facilitates to overcome the turmoil of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and consistent policy and strategy.
      For the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should be a recognition that the process of unification is a war. And the unification process should be dictated by the strategy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Distinction of activities between peacetime and wartime is blurred in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that the 4th generation war utilizes all diplomatic, information, economic and military means available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direct use of conventional forces to carry out wars. Therefore, war is not likely to be critic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Given the elements of DIME (Diplomatic, Informational, Military and economic), South Korea has much more available resources than North Korea. Therefore, in the war, conditions are more favorable to South Korea rather than North Korea. However, the outcome (either victory or defeat) of the 4th generation war will be determined by political reform and strong support of the people for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is study touch on a broad topic. As a result, it fail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specific topics. Therefore, more in-depth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of South Korea.
      번역하기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Howeve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a dream. How and when unification would come true is in question. It is naive to think that unification may...

      It has been 70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Howeve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a dream. How and when unification would come true is in question. It is naive to think that unification may occur all of a sudden, just as the division took place regardless of the will of the Korean people. Unification achieved by others is unstable and volatile. Therefore,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thinking that the passive and reactive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of South Korea need to be replaced by a new one on the basis of paradigm shift.
      North Korea, the counterpart of reunification, did not change its strategy of communizing South Korea. Currently North Korea has concentrated on consolidation of the hereditary political regime with little interest in economic reform and opening for the people’s better life. Nuclear development by Kim’ regime poses threat to the world. Only external forces could get the Kim Jong-un regime to give attention to unific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s as tough as conditions in North Korea. Although the issues on Korean peninsula issue are a global one in nature, the Korean unification became more internationalized due to a newly emerging Cold War structure framed by China’s rise and diplomatic maneuvering on Korean nuclear weapons. Theories on the 4th Generation Warfare seems useful in seeking for strategy to achieve Korean unification.
      Many scholars and experts argue that the type of war developed from 1st, 2nd and 3rd to 4th generation since the Treaty of Westphalia. In contrast to the expectation since the Gulf War, current large and small scale wars in the world are not typical conventional one, which is conducted by advanced weapons. Thomas X. Hammes, who built theories on the 4th generation warfare, mentioned “Fourth-generation warfare(4GW) uses all available networks -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 to convince the enemy’s political decision makers that their strategic goals are either unachievable or too costly for the perceived benefit. It is an evolved form of insurgency.” And this war does not search for victory by attacking enemy’s armed forces. But this war aims to destroy enemy's political will, while attacking psychology of enemy decision makers with networks.
      The 4th generation warfare, like the 1st, 2nd and 3rd generation one, evolves in line with the societal change, reflecting the overall changes in human society. Ho Chi Minh achieved Vietnamese unification by employing Mao Zedong's revolutionary strategy. Meanwhile, democratic West Germany achieved unification with the other 4th generation warfare, as the Soviet Union collapsed by U.S.A.. Since the Korean War, the revolutionary war of Mao Zedong has been waged by Nor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South Korea is still not even aware of war amid the prevailing abundance.
      Vietnam's unification war is a good lesson for Korean unification. This is the reason why I am reminiscent of South Vietnam just before the collapse, looking at the present complex domestic situation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German unification is not well captured. More attention should be put on German unification strategy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German unification is not included in Hammes’s 4th generation warfare cases. However, he stressed that the 4th generation warfare maintains no strict type over time, evolving as society changes. German unification is not a product of conventional warfare. But it is an outcome of evolving 4th generation warfare, which was conducted by comprehensive resources of the state. Unlike communist countries with little concern over criticism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st Germany only used legitimate and legal means for war, which are allow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uth Korea's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should rest on the combination of Vietnamese and German case. While coping with the North Korea’s 4th generation warfare, South Korea needs a unique 4th generation war strategy in which South Korea plays a leading role. Until now,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taken unification and security policies and strategies withou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e Kim Dae-jung government, which took an engagement policy of the ‘Sunshine Policy’. In the meantime, the Lee Myung-bak government pursued a hard-line policy called the ‘Denuclearization·Openness·3000 Policy’. Both policies failed to bring about change in North Korea. In order to promote North Korean regime change in favour of unification, it is required for South Korea to adopt the 4th generation warfare strategy encompassing the policies of the two govern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South Korea should occupy a leading role, while pressures should be on North Korea from the outside.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s an object of unification, are relatively favorable to South Korea. Although hereditary political succession seems to be completed without problem, Kim Jong-un’s new regime has weaknesses in the political, military, economic and social sectors. Therefore, it appears feasible to adopt a strategy to widen the gap between Kim Jong-un and core power elites or to take a strategy to spread the dissatisfaction of the people. And the message that the Kim Jong-un regime needs to be changed is increasingly convincing to China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are disappointed with North Korea’s provocative military behaviors. However,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4th generation warfare against North Korea, it is urgent to reform the political system and power structure that facilitates to overcome the turmoil of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and consistent policy and strategy.
      For the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should be a recognition that the process of unification is a war. And the unification process should be dictated by the strategy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Distinction of activities between peacetime and wartime is blurred in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that the 4th generation war utilizes all diplomatic, information, economic and military means available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direct use of conventional forces to carry out wars. Therefore, war is not likely to be critic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Given the elements of DIME (Diplomatic, Informational, Military and economic), South Korea has much more available resources than North Korea. Therefore, in the war, conditions are more favorable to South Korea rather than North Korea. However, the outcome (either victory or defeat) of the 4th generation war will be determined by political reform and strong support of the people for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is study touch on a broad topic. As a result, it faile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specific topics. Therefore, more in-depth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and security strategy of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 제2장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과 한국적 적용 12
      • 제1절 한반도 통일·안보전략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 12
      • 1. 통일·안보정책에 대한 관계 정립 12
      • 2. 외부의 힘에 의한 북한 정권의 변화 불가피성 13
      • 가. 북한체제의 구조적 특성 14
      • 나. 대내외 충격에 대한 북한체제의 내구력 16
      • 다. 내부로부터의 변화 가능성 희박 18
      • 3. 한반도 통일문제의 국제화 20
      • 가. 중국의 부상으로 신 냉전구도 현실화 20
      • 나. 북핵문제로 인한 한반도 긴장 고조 20
      • 4. 공세적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 수용 22
      • 가. 통일의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 22
      • 나.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의 효용성 24
      • 제2절 전쟁의 본질로서 제4세대 전쟁과 시대적 발전 26
      • 1. 제4세대 전쟁에서도 불변하는 전쟁의 본질 26
      • 2. 1·2·3세대 전쟁의 발전 29
      • 가. 제1세대 전쟁(베스트팔렌 조약〜워털루 전투) 29
      • 나. 제2세대 전쟁(워털루 전투〜제1차 세계대전) 30
      • 다. 제3세대 전쟁(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31
      • 3. 새로운 전쟁: 하이브리드 전쟁과 네트워크 전쟁 33
      • 가. 하이브리드 전쟁 33
      • 나. 네트워크 전쟁 35
      • 4. 제4세대 전쟁의 태동 배경 37
      • 가. 정치적·경제적 변화 38
      • 나. 사회적·기술적 변화 40
      • 제3절 햄즈(Hammes)의 제4세대 전쟁 이론과 한국적 적용 43
      • 1. 제4세대 전쟁의 개념과 쟁점들 43
      • 가. 제4세대 전쟁의 개념 43
      • 나. 햄즈의 제4세대 전쟁 이론체계 구성 45
      • 다. 제4세대 전쟁과 관련된 쟁점들 48
      • 2. 제4세대 전쟁의 진화 50
      • 가. 제4세대 전쟁의 효시: 마오쩌둥의 혁명전쟁 50
      • (1) 혁명전쟁의 배경 50
      • (2) 혁명전쟁(인민전쟁·지구전) 전략 52
      • 나. 제4세대 전쟁을 수정시킨 베트남 전쟁 57
      • 다. 산디니스타로부터 이라크까지 58
      • 3. 통일·안보전략으로서의 분석틀과 한국적 적용 65
      • 가. 제4세대 전쟁의 분석틀 66
      • (1) 제4세대 전쟁의 8가지 특성 66
      • (2) 전쟁 수단(DIME)의 활용 71
      • 나. 제4세대 전쟁 분석틀의 한국적 적용 77
      • (1) 한국적 적용에 대한 이견(異見)들 77
      • (2) 한국적 적용이 가능한 이유 78
      • 제3장 제4세대 전쟁으로서 베트남·독일 통일 사례 분석 82
      • 제1절 베트남 통일 사례: 전형적인 제4세대 전쟁 82
      • 1. 전쟁의 배경 및 경과: 제4세대 전쟁 요소 중심 82
      • 가. 전쟁의 배경 82
      • 나. 제1차 베트남전쟁(1946∼1954): 항불(抗佛)전쟁 85
      • 다. 제2·3차 베트남전쟁(1954∼1975): 항미(抗美)전쟁과 남북전쟁 88
      • 2. 제4세대 전쟁 특성을 통한 분석 93
      • 3. 전쟁 수단(DIME)을 통한 분석 98
      • 가. 외교적(D) 수단 99
      • 나. 정보적(I) 수단 99
      • 다. 군사적(M) 수단 101
      • 라. 경제적(E) 수단 102
      • 제2절 독일 통일 사례: 또 다른 제4세대 전쟁 103
      • 1. 서독의 통일정책 및 통일 과정: 제4세대 전쟁 요소 중심 103
      • 가. 동·서독 분단의 배경 104
      • 나. 서방진영과 유대강화를 통한 힘의 우위정책(1949∼1969) 105
      • 다. 동방정책과 동·서독 간 화해협력(1969∼1982) 108
      • 라. 동·서독 교류·협력의 심화와 동독의 위기(1982∼1989) 112
      • 마. 동독의 붕괴와 통일(1989∼1990) 115
      • (1) 대규모 탈출과 베를린 장벽의 붕괴 115
      • (2)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의 통일과정 119
      • 2. 제4세대 전쟁 특성을 통한 분석 123
      • 3. 전쟁 수단(DIME)을 통한 분석 127
      • 가. 외교적(D) 수단 127
      • 나. 정보적(I) 수단 129
      • 다. 군사적(M) 수단 130
      • 라. 경제적(E) 수단 131
      • 제3절 베트남·독일 통일전쟁 비교와 제4세대 전쟁의 실체 132
      • 1. 제4세대 전쟁 특성 차원의 비교 132
      • 2. 전쟁 수단(DIME) 활용 차원의 비교 135
      • 3. 베트남·독일 통일의 제4세대 전쟁적 함의 138
      • 가. 제4세대 전쟁으로서 베트남 통일 139
      • 나. 제4세대 전쟁으로서 독일 통일 141
      • 제4장 제4세대 전쟁 차원에서 한국 통일·안보정책 비교·분석 143
      • 제1절 김대중 정부의 통일·안보정책: 제4세대 전쟁 요소 중심 143
      • 1. 소위(所謂) ‘햇볕정책’의 제4세대 전쟁적 의미 143
      • 2. ‘대북화해협력정책’과 제4세대 전쟁적 요소 144
      • 가. 화해협력정책(햇볕정책)의 주요 내용 145
      • 나. 정책의 추진과정과 특성 147
      • 다. 대북정책 추진 조직 150
      • 라. 정책의 성과와 한계 151
      • 3. 제4세대 전쟁 특성 차원의 분석 153
      • 4. 전쟁 수단(DIME) 활용 차원의 분석 156
      • 가. 외교적(D) 수단 157
      • 나. 정보적(I) 수단 158
      • 다. 군사적(M) 수단 158
      • 라. 경제적(E) 수단 159
      • 제2절 이명박 정부의 통일·안보정책: 제4세대 전쟁 요소 중심 160
      • 1. 소위(所謂) ‘비핵·개방·3000 정책’의 제4세대 전쟁적 의미 160
      • 2. ‘상생과 공영의 대북정책’과 제4세대 전쟁적 요소 161
      • 가. 상생공영정책(비핵·개방·3000)의 주요 내용 162
      • 나. 정책의 추진과정과 특성 164
      • 다. 대북정책 추진 조직 165
      • 라. 정책의 성과와 한계 166
      • 3. 제4세대 전쟁 특성 차원의 분석 168
      • 4. 전쟁 수단(DIME) 활용 차원의 분석 171
      • 가. 외교적(D) 수단 171
      • 나. 정보적(I) 수단 173
      • 다. 군사적(M) 수단 173
      • 라. 경제적(E) 수단 174
      • 제3절 김대중·이명박 정부 비교와 제4세대 전쟁의 실체 175
      • 1. 제4세대 전쟁 특성 차원의 비교 175
      • 2. 전쟁 수단(DIME) 활용 차원의 비교 177
      • 3. 정책 수행을 위한 정치체제 및 권력구조 178
      • 가. 정치체제 및 권력구조 179
      • 나. 통일부의 기능과 역할 182
      • 4. 향후 통일·안보정책 및 전략 수립에 대한 함의 184
      • 제5장 제4세대 전쟁 차원의 한반도 통일·안보전략 발전 187
      • 제1절 제4세대 전쟁 수행 대상으로서 북한 내외부 환경 변수 187
      • 1. 북한 내부의 정치·군사·경제·사회적 여건 187
      • 가. 정치·군사 분야 188
      • 나. 경제·사회 분야 192
      • 다. 종합 195
      • 2.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들의 이중성 196
      • 가. 중국의 입장 197
      • 나. 미국의 입장 199
      • 다. 일본과 러시아의 입장 201
      • 라. 상황에 따라 변하는 이해관계 203
      • 제2절 제4세대 전쟁 전략 및 특성을 고려한 통일·안보 전략 205
      • 1. 전쟁의 본질과 제4세대 전쟁 특성의 진화적 적용 205
      • 가. ‘통일은 전쟁’이라는 인식의 전환 205
      • 나. 전쟁의 본질에 충실 207
      • (1) 궤도(詭道)의 활용 207
      • (2) 정(正)과 기(奇)의 배합 208
      • 다. 전쟁의 경로를 고려한 단계적 접근 전략 209
      • 라. 제4세대 전쟁 특성을 고려한 발전적 전략 수립 212
      • (1) 김정은 주변 인물들의 심리적 변화를 겨냥 213
      • (2) 평상시 활동처럼 전쟁을 수행 214
      • (3) 네트워크화된 조직의 구축 214
      • (4)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물자 및 도구의 전쟁 수단화 216
      • (5) 대중매체의 적극 활용 217
      • (6) 강력한 재래식 군사력의 준비 218
      • (7) 장기간의 통일전쟁에 대비 218
      • 2. 제4세대 전쟁수단으로서 한국정부의 DIME 활용 219
      • 가. 외교적(D) 수단 220
      • 나. 정보적(I) 수단 221
      • 다. 군사적(M) 수단 223
      • 라. 경제적(E) 수단 224
      • 마. DIME의 입체적 배합 225
      • 3. 정치체제 및 권력구조의 개선, 국민의식 제고 227
      • 가. 일관성·지속성 유지 가능한 정치체제 및 권력구조 개선 228
      • 나. 제4세대 전쟁 수행체제 및 기능 보강 229
      • (1) 기획기능과 계획기능의 구분 230
      • (2) 현행·장차작전, 장차계획의 구분 231
      • (3) 미래 통일부의 기능과 역할 232
      • 다. 국민 공감대 형성 및 의지 결집 233
      • 제6장 결론 237
      • 참고문헌 244
      • Abstract 25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노병천, "도해손자병법", 韓元, 서울: 한원, 1990

      2 정순태, "『宋의 눈물』", 서울: 조갑제닷컴, 2012

      3 조영갑, "『테러와 전쟁』", 서울: 북코리아, 2004

      4 정용길, "독일 1990년 10월 3일", 서울: 동국대 출판부, 2009

      5 Joseph S., "Nye Jr. 저, 홍수원 역", 서울: 세종연구원, 2002

      6 박종철, "『통일 환경 평가』", 서울: 늘품플러스, 2011

      7 손태종, "“네트워크중심전”", 한국국방연구원,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9

      8 박상철, "『한국정치법학론』", 리북, 서 : 리북, 2008

      9 이영기, "『독일통일의 해부』", 서울: 국제언론문화사, 1991

      10 박휘락, "『북핵 위협과 대응』", 경기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13

      1 노병천, "도해손자병법", 韓元, 서울: 한원, 1990

      2 정순태, "『宋의 눈물』", 서울: 조갑제닷컴, 2012

      3 조영갑, "『테러와 전쟁』", 서울: 북코리아, 2004

      4 정용길, "독일 1990년 10월 3일", 서울: 동국대 출판부, 2009

      5 Joseph S., "Nye Jr. 저, 홍수원 역", 서울: 세종연구원, 2002

      6 박종철, "『통일 환경 평가』", 서울: 늘품플러스, 2011

      7 손태종, "“네트워크중심전”", 한국국방연구원,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09

      8 박상철, "『한국정치법학론』", 리북, 서 : 리북, 2008

      9 이영기, "『독일통일의 해부』", 서울: 국제언론문화사, 1991

      10 박휘락, "『북핵 위협과 대응』", 경기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13

      11 이창주, "『동북아 신네트워크』", 부산: 산지니, 2014

      12 김창희, "『북한정치와 김정은』", 법문사, 경기 파주: 법문사, 2012

      13 이상우, "『우리들의 대한민국』", 서울: 도서출판 기파랑, 2012

      14 이종선, "『한반도 통일과 외교』", 경기 고양: 삼우사, 2015

      15 이태진, 하영선, "『12시간의 통일이야기』", 서울: 민음사, 2011

      16 김영호, "『대한민국과 국제정치』",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17 백경남, "『독일의 길, 한국의 길』", 한울아카데미, 서울: 도서출판 한울, 1999

      18 김재창, 류재갑, "편, 『북한 어디로 가나』", 서울: 선한 약속, 2011

      19 장달중, "편, 『현대 북한학 강의』", 서울: ㈜사회평론, 2014

      20 김도태, "“베트남 통합사례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Vol.- No.-』, 1993

      21 최용호,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22 유용원, "『북한군 시크릿 리포트』", 플래닛미디어,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3

      23 박계호, "『총력전의 이론과 실제』", 북코리아, 서울: 북코리아, 2012

      24 박창희, "『현대 중국전략의 기원』", 서 : 플래닛미디어, 2011

      25 정경환, "『국제관계와 한반도 통일』", 세종, 부산: 세종출판사, 1998

      26 염돈재, "『독일통일의 과정과 교훈』",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2010

      27 조한승, "“4세대 전쟁의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제50집 1호』, 2011

      28 주섭일, "『북의 3대 세습과 평양의 봄』", 사회와연대, 서울: 사회와연대 세명서관, 2011

      29 전득주, "『세계의 분단사례 비교연구』", 푸른길, 서울: 푸른 길, 2004

      30 전태국, "『사회통합과 한국 통일의 길』",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3

      31 최용호, "통계로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서울: 군사편찬연구소, 2007

      32 김승철, "편, 『김정은의 11가지 딜레마』", 서울: 늘품플러스, 2014

      33 박이도, "『독일통일과 통일독일의 이해』", 신지서원, 부산: 신지서원, 2000

      34 정상돈, "동독급변사태시 서독의 통일정책",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2

      35 Colin S., "Gray 저, 『현대전략, Modern Strategy』", 서울: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null

      36 양창석, "“독일의 통일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8

      37 이봉근, "“분단국 통일사례에 관한 연구”", 조선대 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02

      38 김진무, "“점증하는 북한의 비대칭 위협”", 『월간북한 7월호』, 2014

      39 강성현, "『21세기 한반도와 주변 4강대국』", 서울: 도서출판 가람기획, 2015

      40 정경환, "『김대중 정부 대북정책의 평가』", 부산: 도서출판 이경, 2008

      41 임을출, "편, 『김정은 체제의 미래를 묻다』",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2

      42 이대우, "편, 『탈북자와 함께 본 북한사회』", 서울: 오름, 2012

      43 장달중, 함택영, "편, 『21세기 한국외교와 국가이익』", 서울: ㈜사회평론, 2012

      44 김진무, "“북한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 평가”", 『한국의 안보와 국방』, 2016

      45 조성현, "“제4세대 전쟁에서의 작전술 역할”",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 석사논문, 2016

      46 김동명, "『독일통일, 그리고 한반도의 선택』",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0

      47 장인숙, 최대석, "편, 『북한 시장화와 정치사회 균열』",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5

      48 심익섭, "M. 치맥 공편, 『독일연방공화국 60년』", 서울: 오름, 2009

      49 권상수, "“분단국 통일환경에 관한 비교연구”", 중앙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4

      50 양준영, "“이미 네트워크 전쟁은 시작되었다”", 『자유, 통권 481호』, 성우안보 전략연구원, 2013

      51 최용호, "『물어보세요!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서울: 군사편찬연구소, 2007

      52 장연수, "“러시아의 한반도 전책에 관한 연구”", 고려대 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05

      53 김진무, "2015년 하반기 북한정세와 남북관계 전망", 『합참지 10월호』, 2015

      54 이재봉, "“남한의 통일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평화연구학회, 『한국평화연구학회 학술회의 Vol.- No.4』, 2011

      55 서보혁, "편, 『유럽의 평화와 헬싱키 프로세스』", 서 : 아카넷, 2012

      56 김진무, "“김정은의 통치행태와 대남전략 전망”", 『국가안보전략 10월호』, 2015

      57 김창희, "“남북한 정치체제와 권력구조의 비교”", 한국정치정보학회, 『정치 정보연구 제4권 2호』, 2001

      58 김봉수, "“중국의 대한반도 통일 안보정책 연구”", 고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10

      59 양희천, "“독일 통일과 한반도 통일에 관한 연구”", 조선대 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00

      60 정창균, "“김대중정부 대북포용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2

      61 조한승, "“하이브리드 전쟁양상과 북한 급변사태”",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정책연구, 통권 제97호』, 2012

      62 임대규,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일의식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6

      63 이근욱,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한울아카데미, 서울: 한울, 2009

      64 박상익, "“김대중의 3단계 통일론과 통일준비 과제”", 『조선대 군사발전 연구, Vol.8 No.2』, 2014

      65 김도태, "“북한 권력구조 변화 전망과 한국의 대책”",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8(1)』, 2011

      66 Thomas X., "Hammes 저,, 최종철 역, 『21세기 제4세대 전쟁』", 서울: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 2008

      67 최한수, "“제4세대 전쟁의 한반도 적용 가능성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2013

      68 이해수, "“북한의 4세대 전쟁 수행 개념에 관한 여구”", 한남대 국방전략대학원 석사논문, 2014

      69 정현수, "“사이버전쟁에 관한 이해와 군의 대응방향”", 해군대학, 『해양전략 제111호』, 2001

      70 홍성이, "“통일정책의 결정과 추진과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06

      71 김진규, "“하이브리드 전쟁 양상과 군사적 대응방향”",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석사논문, null

      72 최병섭, "“한국정부의 통일정책 지속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11

      73 박창희, "『군사전략론: 국가대전략과 작전술의 원천』", 플래닛미디어,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3

      74 이호석, "“한반도 하이브리드 전쟁 발발 가능성 연구”", 한남대 국방전략대학원 석사논문, 2013

      75 추인해, "“김대중정부와 이명박정부의 대북정책 비교”", 전남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9

      76 곽희순,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비교”", 대전대학교 대학원, 대전대 석사논문, 2014

      77 국창근,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 대학원 박사논문, 2009

      78 석숭규, "“삼위일체론으로 본 제4세대 전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충남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2

      79 나종남, 박일송,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 새로운 전쟁 양상?”", 『한국군사학논집 Vol.71 N0.3』, 2015

      80 남성욱, 서재진, "『한반도 상생프로젝트: 비핵 개방 3000 프로젝트』", 경기 파주: ㈜나남, 2009

      81 백근현, "“북한 권력구조 변화에 대한 비교체제론적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논문, 2014

      82 박한길, "“한반도 주변 동맹관계와 통일인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 박사논문, 2014

      83 최 성, "『오바마와 김정일 그리고 이명박의 위험한 선택』", GPC, 경기 고양: GPC, 2008

      84 안희남, 장기봉, "“네트워크전쟁의 도래와 테러리즘의 새로운 흐름”", 한국경호경비학회, 『대한경호경비학회 Vol.- No.16』, 2008

      85 문 권, "“정밀유도탄의 발달과 제4세대 전쟁에서의 효용성”", 국방대 관리 대학원 석사논문, 2013

      86 최병욱, "“20세기 통일베트남 만들기: 지역주의의 충돌과 극복”",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제18집』, 2008

      87 정승준, "“사이버전에 대한 군의 효율적인 대응체계 방안 연구”", 초당대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2014

      88 정유석, "“북한의 사이버 위협 능력과 한국군 대응에 관한 연구”", 상지대 상담심리대학원 석사논문, 2013

      89 박지연, "“대사이버전 정보활동 추진방향 : 예방공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국가전략대학원 석사논문, 2013

      90 Samuel P., "Huntington 저, 이희재 역, 『문명의 충돌, The Clash of Civilizations』", 서울: 김영사, 1997

      91 이수훈,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으로 본 21세기 전쟁 양상 연구”", 고려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1

      92 이찬규, "“제4세대 전쟁 대응전략으로서 소프트파워의 역할과 조건”", 국방대 관리대학원 석사논문, 2015

      93 지구용, "“제4세대 전쟁 대응전략으로서 소프트파워의 역할과 조건”", 국방대 안보대학원 석사논문, 2014

      94 문태성, "“한국의 통일에 대한 미 중 일 로 태도의 이중성 문제 분석”", 건국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5

      95 신종필, "“제4세대 전쟁의 특징과 클라우제비츠 삼위일체론 비교분석”",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 석사논문, 2011

      96 원성훈, "“제4세대 전쟁 이론의 한계 : 고대 및 중세 전쟁 사례 측면에서”",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 석사논문, 2014

      97 김선기,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연구: 노태우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15

      98 성장환,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전망”", 『국제정치연구 제14집 2호』, 2011

      99 김준식, "“미국의 대한반도 안보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 정책대학원 석사논문, null

      100 김관우, "“북한군 도시지역작전에 관한 연구: 제4세대 전쟁 적용을 중심으로”", 한성대 국방과학대학원 석사논문, 2016

      101 공세옥, "“독일의 통일교육 교훈을 통한 학교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6

      102 최장옥, "“제4세대 전쟁에서 ‘군사적 약자의 장기전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 박사논문, 2015

      103 문성준, "“클라우제비츠의 3위 1체론에 입각한 4세대 전쟁의 이론과 실제 분석”",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국민대 정치대학원 석사논문, 2011

      104 이달용, "“한국의 대북정책에 관한 연구-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 박사논문, 2014

      105 고한석, "“국가 사이버안보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사이버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석사논문, 2015

      106 임효상, "“한반도 주변 4국의 동북아정책 변화와 한국의 외교안보 전략에 관한 연구”", 고려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9

      107 정재욱, "“4세대전쟁에서 군사적 약자의 승리원인 연구: 북베트남의 대미 전쟁수행전략,”", 신아시아연구소, 『신아세아 Vol.20 No.4』, 2013

      108 김기정, "“정권 교체에 따른 대북정책 변화 비교 연구–노무현, 이명박 정권을 중심으로”", 영동대 산업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15

      109 이수형, "“9.11 뉴욕 테러와 21세기 국제분쟁의 새로운 유형 : 제4세대 전쟁, 네트전, 비대칭 전쟁”", 『사회과학논총 제19집』, 2003

      110 윤인향,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요인 비교연구: James N. Rosenau 모델의 적용”", 『국가와 정치, 제21집』,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5

      111 이정석, "“북한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 국방사이버전 수행역량 강화방안”", 국방대 관리대학원 석사논문, 2016

      112 정 찬, "“대북정책 ‘골든타임’ 놓친 박근혜 정부: 북중-북러 관계 개선 , 이명박-박근혜 대북고립 실패 의미”", 『폴리피풀, 통권 제67호』, 2015

      113 Thomas X., "Hammes 저, 하광희 배달형 김성걸 역, 『21세기 정쟁: 비대칭의 제4세대 전쟁, The Sling and the Stone: On War in the 21st Century』",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