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0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sample of 642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ing a romantic relationships from Seoul, Daejeon, Busan, and Jeonju province w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scales such as Korean version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ECRR-K),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Emotion Regulation Check list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show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lso, avoidant attachment show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econd, the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sample of 642 univers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sample of 642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ing a romantic relationships from Seoul, Daejeon, Busan, and Jeonju province w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scales such as Korean version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ECRR-K),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Emotion Regulation Check list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show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lso, avoidant attachment show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econd, the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대전 및 부산, 전주 지역에 위치한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64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 경험 검사, 이성 관계 만족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이 낮았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 역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역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대전 및 부산, 전주 지역에 위치한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64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 경험 검사, 이성 관계 만족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이 낮았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 역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역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바올, "커플의 성인애착과 관계만족: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227-250, 2013

      2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최지윤,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4 임민주,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5 유안진,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67-181, 2006

      6 임전옥,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지영,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8 김동민, "음악치료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애착유형, 자기효능감, 정서적 유대, 수치심, 평가불안 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 14 (14): 1-27, 2012

      9 김정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이설아, "유기 도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1-17, 2013

      1 최바올, "커플의 성인애착과 관계만족: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227-250, 2013

      2 김성현,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 최지윤,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4 임민주, "정서표현의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5 유안진,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67-181, 2006

      6 임전옥,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7 이지영,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8 김동민, "음악치료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애착유형, 자기효능감, 정서적 유대, 수치심, 평가불안 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 14 (14): 1-27, 2012

      9 김정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이설아, "유기 도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3 (13): 1-17, 2013

      11 박송이,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능동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349-368, 2012

      12 김광은, "연애관계에서 성인 애착 유형 및 요인에 따른 관계 만족"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233-247, 2005

      13 송슬기, "여대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14 배유림,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방략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29-249, 2015

      15 안명희,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29 (29): 867-885, 2010

      16 류수정, "애착에 따른 정서경험과 정서표현, 정서조절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7 신지욱, "애착,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유능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8 박윤경,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애착과 갈등대처전략을 매개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7

      19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20 안지인, "성인의 애착과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1 강수진,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양식과 사회불안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53-68, 2011

      22 김명숙,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이성교제 커플들의 관계만족"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59-74, 2008

      23 이시은,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897-914, 2009

      24 최경숙,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5 이미옥,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광주여자대학교대학원 2015

      26 이귀선,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과 효과성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779-793, 2003

      27 노유진, "성인 애착유형이 미혼남녀의 사랑유형과 이성교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8 이복동, "성인 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 거부 민감성과 귀인 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9 이정원,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30 이지연, "비합리적 신념과 이성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30 (30): 775-791, 2011

      31 김정문, "불안정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동적 사고, 정서 인식, 정서표현 양가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32 박한솔,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연인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파트너에 대한 보살핌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33 손강숙, "불안애착과 이성관계 불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79-103, 2016

      34 민경환, "부정적 정서 조절 방략에 관한 연구 : 정서 종류와개인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14 (14): 1-16, 2000

      35 송은주, "부모화, 성인애착과 초기 성인기 이성관계 만족 관련변인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37-69, 2016

      36 김혜원, "부모의 성인애착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37 박나현, "미혼 성인남녀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38 황여주, "미혼 남녀의 정서조절과 이성관계만족도 관계에서 갈등대처방략의 매개효과와 갈등빈도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9 백상은, "미혼 남녀의 성인 애착과 관계 만족: 주는 감사와 받는 감사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351-381, 2015

      40 서영주, "모래상자놀이가 불안정 성인애착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4

      41 정문경,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상담학회 15 (15): 499-518, 2014

      42 엄혜정,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삼인군 경험이 자아존중감 및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137-152, 2006

      43 최연화, "대학생의 자아분화, 성인애착, 관계중독과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3 (13): 689-704, 2012

      44 김진희, "대학생의 이성교제에 관한 사이버 상담 사례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37-151, 2005

      45 장미애,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273-292, 2015

      46 김희경,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47 김희경,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2 (2): 1-21, 2012

      48 이동욱,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49 박소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50 채영문, "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24 (24): 645-662, 2015

      51 임선화, "대학생의 성인애착, 이성 관계 만족도, 자아분화 간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2 진미경,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대인관계문제 및 이성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16 (16): 285-300, 2013

      53 전소연, "대학생의 성인 애착 유형과 기본 심리적 욕구수준에 따른 이성관계 만족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54 양수진,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3 (13): 1921-1935, 2012

      55 김은정,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 : 조망수용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6 윤석빈,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57 Cook, W. L., "Understanding attachment security in family context" 78 (78): 285-294, 2000

      58 Bonanno, G. A., "The varieties of grief experience" 21 (21): 705-734, 2001

      5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60 Florian, V., "The anxiety-buffering function of close relationships : Evidence that relationship commitment acts as a terror management mechanism" 82 (82): 527-542, 2002

      61 Hazan, C.,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52): 511-524, 1987

      62 Overbeek, G., "Parental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s : Associations with emotional disturbance during late adolescence" 50 (50): 28-39, 2003

      63 Garnefski, 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30 (30): 1311-1327, 2001

      64 Barrett, L. F., "Knowing what you’re feeling and knowing what to do about it : Mapp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differentiation and emotion regulation" 15 (15): 713-724, 2001

      65 Fitness, J., "Interpersonal rejection" Oxford University 73-103, 2001

      66 Gross, J. J.,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85 (85): 348-362, 2003

      67 Campbell-Sills, L.,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The Guilford 542-559, 2007

      68 Rellini, A. H., "Emotional dysregulation : Concurrent relation to sexual problems among trauma-exposed adult cigarette smokers" 36 (36): 137-153, 2010

      69 Baker, J. P., "Emotional approach and problem-focused coping : A comparison to potentially adaptive strategies" 21 (21): 95-118, 2007

      70 Bloch, L., "Emotion regulation predicts marital satisfaction : More than a wives’ tale" 14 (14): 130-144, 2014

      71 Denollet, J.,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and clinical issues" Springer 3-11, 2008

      72 Sobel, M. 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16): 155-176, 1987

      73 Hamilton, C. 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ttachment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71 (71): 690-694, 2000

      74 Shaver, P. R., "Attachment-related psychodynamics" 4 (4): 133-161, 2002

      75 Millinckrodt, B., "Attachment, social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process in psychotherapy" 10 (10): 239-266, 2000

      76 Brennan, K. A.,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46-76, 1998

      77 Mikulincer, M.,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 The dynamics,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27 (27): 77-102, 2003

      78 Waters, E., "Attachment security in infancy and early adulthood : A twenty-year longitudinal study" 71 (71): 684-689, 2000

      79 Kobak, R. R.,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 Working models,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 of self and others" 59 (59): 135-146, 1988

      80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Basic Books 1973

      81 Kobak, R. 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during mother-teen problem solving : A control theory analysis" 64 (64): 231-245, 1993

      82 Campbell, L., "Anxious attachment and relationship processes :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79 (79): 1219-1250, 2011

      83 Fraley, R. C.,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78 (78): 350-365, 2000

      84 Mikulincer, M.,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5" Elsevier Academic 53-152, 2003

      85 Fraley, R. C., "Adult romantic attachment : Theoretical developments. emerging controversies, and unanswered questions" 4 (4): 132-154, 2000

      86 Mikulincer, M.,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and relationship processes" 4 (4): 259-274, 2012

      87 Segrin, C., "Accuracy and bias in newlywed couples’ perceptions of conflict styles and the associ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76 (76): 207-233, 2009

      88 임영진, "2014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22 : 2014

      89 이기학, "2005학년도 재학생 실태조사" 22 : 45-77, 2006

      90 김완석, "2005학년도 재학생 실태 및 대학생활적응 조사보고서" 아주대학교 학생상담센터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