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 탐색을 통한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 = The Mock Production of Character Items in Music Curriculum through Exploration in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9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sic subject education is a social substance that was originally mass produced while maintaining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s based on demand and supply between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group. Thus it sh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its...

      Music subject education is a social substance that was originally mass produced while maintaining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s based on demand and supply between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group. Thus it sh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its uniqueness as a subject on the premise of the educational universality and suggestion of the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which cannot help being comprehensive due to demand and supply, and produce specific and implicative results called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That is, its ultimate goal was to mock produce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It first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loring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as education by music, analyzed eight objectives or characters that concerned the character of the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provided the results. In the conclusion chapter,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mock produced in the study represent the definition, need, and objective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an essential sense rather than just something about music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음악교과교육은 소비 집단과 생산 집단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기적으로 양산된 사회적 실제이다. 따라서 음악교과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적 보편성과 ...

      음악교과교육은 소비 집단과 생산 집단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기적으로 양산된 사회적 실제이다. 따라서 음악교과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적 보편성과 교육적 시사성을 전제로 교과적 고유성을 함의해야 한다. 이 연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광범위할 수밖에 없는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을 탐색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이라는 구체적이며 함축적인 결과물로 만들어 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즉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에 있다. 이 연구는 음악에 의한 교육으로의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에 대해 탐색하여 이론적 배경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해당하는 8개의 목표 또는 성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연구 방법을 취한다. 한편, 결과 장에서 모의 제작하여 제시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은 음악교육에 대한 것이 아닌 본질적 의미에서의 음악교과교육의 정의, 필요성과 목적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대창, "효율적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상" (10) : 2002

      2 윤성원, "컨텍스트를 포함한 음악교과서의 구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9-35, 2009

      3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별책 12)"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연구ㆍ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ㆍ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기준"

      8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9 최재천, "지식의 대통합 통섭" (주)사이언스북스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1 주대창, "효율적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상" (10) : 2002

      2 윤성원, "컨텍스트를 포함한 음악교과서의 구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8) : 19-35, 2009

      3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별책 12)"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안의 연구ㆍ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5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6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7 교육인적자원부, "초ㆍ중ㆍ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기준"

      8 최재천, "지식의 통섭: 학문의 경계를 넘다" 이음 2007

      9 최재천, "지식의 대통합 통섭" (주)사이언스북스 2005

      10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11 강은진,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2008

      12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13 박순경, "제7차 교육과정의 쟁점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4 김춘미, "음악학의 시원" 음악춘추사 1995

      15 윤성원, "음악하기에 기초한 통합음악교육 연구" 경성대 2008

      16 이강숙, "음악이란 무엇인가" (62) : 2004

      17 이강숙, "음악의 이해" 민음사 1985

      18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19 장기범,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벨로체 2002

      20 주대창, "음악교육의 관점 변화와 현대 교과교육에서의 수용" 한국서양음악학회 11 (11): 173-198, 2008

      21 민경훈, "음악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틀의 문제와 대안. 음악과 교육과정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위탁 원고(2004-공모-5. 교육인적자원부)"

      22 성경희, "음악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연구보고 CRC 2004-4-10 2004

      23 장기범,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24 교육인적자원부,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토론회 자료집"

      25 성경희,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토론회 자료집"

      26 성경희,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2006

      28 성경희, "음악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9 양종모, "음악과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30 양종모, "음악과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31 장기범, "음악’ 전공과목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 연구 공청회 자료집"

      32 김원명, "생활 속의 음악이야기" GMK 2007

      33 채현경, "새음악학: 해체, 페미니즘, 그리고 통합" 궁리 2007

      34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35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 토론자료집"

      36 곽병선, "미래교육과정 이렇게 가야합니다. 주제발표원문" 2009

      37 주대창, "독일 함부르크 주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초등 음악교과 내용의 변화" 한국음악교육학회 35 : 151-175, 2008

      38 이홍수,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삼호출판사 1992

      39 양종모,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음악교과의 방법론적 원칙" 2007

      40 손영환, "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3

      41 신해우, "교육과정론" 찬미사 1996

      42 허숙, "교육과정과 목적" 교육과학사 2008

      43 이경섭, "교육과정 유형별 연구" 1990

      44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02

      45 신동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형설출판사 2007

      46 이경언,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음악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47 이병호, "교과교육과정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09

      48 윤성원, "공교육으로서 음악교과교육의 정체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0) : 1-17, 2010

      49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50 교육부,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51 양종모, "각국의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맥락적 지식의 비교" 2008

      52 Elliott, David J, "When I sing: The nature and value of choral music education" 33 (33): 1993

      53 Stanley,Sadie,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on Publishers Iimited 2001

      54 Elliott, David J, "Rethinking music teacher education" 2 (2): 1992

      55 Small, Christopher, "Musicking : the meanings of performing and listening"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98

      56 Elliott, David J, "Music Matters: A New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57 Apel, Willi, "Harvard Dictionary of Music. 2nd Edition" Heinemann Educational Book Ltd 1970

      58 Grout, D. J, "A History of Western Music" W. W. Norton & Company 1996

      59 민경훈, "21세기 음악교육학 총론"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2009

      60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개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