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어휘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학 수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휘 학습 교재 개발 방안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03308
2015
Korean
810
KCI등재
학술저널
187-214(28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어휘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학 수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휘 학습 교재 개발 방안을 ...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어휘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학 수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휘 학습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는 대학 수학 시 읽고 듣고, 말하고 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로서 중요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 왔다. 본 연구는 학술 기본어휘 교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학술 기본어휘의 개념과 특징을 중심으로 학술 기본어휘의 교재 개발 시 고려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학술 기본어휘 교육 시에는 학술적 맥락에서 실제 사용되는 구조나 화용적인 지식이 중요했다. 또한, 기존에 출판된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학술 기본어휘 학습 교재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특성을 반영하여 학술 기본어휘의 교재 개발 방안을 간단히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rinciples of lexical education for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KAP) and to develop their vocabulary learning textbook. The method of teaching vocabulary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since the l...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rinciples of lexical education for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KAP) and to develop their vocabulary learning textbook. The method of teaching vocabulary ha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since the lexical competence form the basic foundation in carrying out academic activities. Without the knowledge about underlying vocabulary of learners’ major,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asks of the diverse classes they take in their university. According to preceding researches some lists of vocabulary was drawn only for the specific major or irrelevantly for the general, and there was discussion whether these words were academic or not.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academic vocabulary, this article tried to settle the concept of academic vocabulary and find out its characteristic features. Furthermore for the academic vocabulary textbook such rules were considered as follows. At first, academic vocabulary should play a basic role in depicting academic text rationally and objectively. And these words should be presented in academic context also, even if advanced learners rarely encounter. Besides even basic vocabulary for beginning level include academic text, so various lexical meaning rel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extbook. Finally, as mere repetitive exposure to words leads to failure in acquisition of the pragmatic function. the tasks should offer chanc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참고문헌 (Reference)
1 노구치 타카히로, "한국어교육 전공자용 한국어 전문어휘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강현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학습용 워크북 개발 모형 연구 -그림 어휘사전 워크북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0, 2009
3 엄소연, "한국어 중급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급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3 : 201-231, 2013
4 강현화,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45-67, 2010
5 이정민, "한국어 독학용 어휘학습 교재 개발 방안 -좁은 독서를 통한 점증적 어휘학습 전략 활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31-252, 2008
6 김정숙, "한국어 교재론 최종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재단 2006
7 김은영, "한국어 교육용 학술어 선정과 공기관계 연구 : 명사 분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8 오미정,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45-167, 2004
9 金貞淑,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10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19, 2000
1 노구치 타카히로, "한국어교육 전공자용 한국어 전문어휘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강현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학습용 워크북 개발 모형 연구 -그림 어휘사전 워크북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1-30, 2009
3 엄소연, "한국어 중급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급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3 : 201-231, 2013
4 강현화,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45-67, 2010
5 이정민, "한국어 독학용 어휘학습 교재 개발 방안 -좁은 독서를 통한 점증적 어휘학습 전략 활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231-252, 2008
6 김정숙, "한국어 교재론 최종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재단 2006
7 김은영, "한국어 교육용 학술어 선정과 공기관계 연구 : 명사 분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8 오미정,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교재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45-167, 2004
9 金貞淑,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과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10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19, 2000
11 김선숙,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술도구어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김유미,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어휘 선정 연구 -한국어·문학, 경영학, 컴퓨터공학 전공을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89-112, 2008
13 원미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변인 연구: 이해어휘와 표현어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193-213, 2013
14 김소영,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 어휘 선정 연구 : 언론정보학 전공 과목을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5 김낭예,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인문계열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유해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 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 인문·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7 황성은,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술어휘 선정을 위한 말뭉치 자료 구축 방안 연구" 한말연구학회 (35) : 341-366, 2014
18 최호철, "우리말에 담긴 뜻을 찾아 ,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2000
19 이유경, "외국인의 대학 수학을 위한 어휘 목록 선정의 필요성 연구 -한국어 교육 전공 논문의 명사 어휘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29) : 297-320, 2005
20 조현용,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재 연구" 외국어교육연구소 22 (22): 181-202, 2008
21 이유경, "외국인 대학생들의 한국어 유의어에 대한 인식 조사-학술 기본 어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133-161, 2014
22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원리 및 방법" 한국어학회 6 (6): 117-133, 1997
23 최호철, "어휘 , 의미론과 서술소의 의미 분석" 한국어학회 14 (14): 67-108, 1996
24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25 김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1993
26 신명선,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7 양명희, "고급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반교어문학회 (29) : 141-162, 2010
28 이현정, "경영학 전공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 선정 연구 : 어휘의 공기 관계 분석 및 조어 단위 접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9 Ellis. N.,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2-139, 1997
30 Nation, I. S. P.,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Heinle & Heinle Publishers 1990
31 Nation. P.,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2 Laufer, B.,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3 Nation, I. S. P.,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4 Huckin. T,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in a second language: A riview" 21 (21): 181-194, 1999
35 Higgings, J. J., "Hard facts" 21 : 1996
36 Xue, G., "A University Word List" 3 : 1984
이덕무(李德懋)의 『관독일기(觀讀日記)』 에 나타난 자아상
1930년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과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