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연구 =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Focused on Suppression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4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which analyzed suppression effects of active/passive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35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wo waves. In order to ...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which analyzed suppression effects of active/passive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total of 35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wo wave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s of students' coping strategies and academic burnout,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and the Korean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Student Survey(MBI-SS) were used. Latent variables were constructed with standardized residuals computed from a simple linear regression in order to capture the intra-individual changes between two time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i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under stress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simultaneously. Second, significant suppression effects were revealed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That is, when controlling passive coping strateg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controlling active coping strateg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passive coping strategy and the change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value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업소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에 있어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유형 간 존재하는 억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단기 종단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

      본 연구는 학업소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에 있어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유형 간 존재하는 억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단기 종단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중학생 357명이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와 학업소진 척도(MBI-SS)를 사용하였다. 두 시점 자료에 존재하는 개인 내적인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방정식으로부터 표준화된 잔차를 산출하여 각 변수의 변화량 잠재변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하나의 대처방식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유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유형의 대처방식 변화량은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즉,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의 경우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보다 소극적 대처 변화량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부적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한편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적극적 대처방식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발견되었다. 이는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 간 억제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소극적 대처를 줄이고, 적극적 대처를 강화할 때 학생들의 소진을 영향력 있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복,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암교육학회 15 (15): 59-78, 2009

      2 모상현,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재적 변인탐색과 보호요인 효과에 관한 연구" 한독교육학회 14 (14): 1-19, 2009

      3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 김여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 오미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15 : 63-95, 1994

      6 문경숙,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29 (29): 285-299, 2008

      7 이영복,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한태영, "청소년의 학교장면 스트레스: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2 (2): 177-197, 2005

      9 이동수, "청소년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광주.전남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 125-148, 2007

      10 이강우, "청소년의 여가활동 선호 유형과 자아개념 관계 연구" 12 (12): 343-354, 2001

      1 이영복,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암교육학회 15 (15): 59-78, 2009

      2 모상현,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재적 변인탐색과 보호요인 효과에 관한 연구" 한독교육학회 14 (14): 1-19, 2009

      3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 김여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 오미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15 : 63-95, 1994

      6 문경숙,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29 (29): 285-299, 2008

      7 이영복,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한태영, "청소년의 학교장면 스트레스: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2 (2): 177-197, 2005

      9 이동수, "청소년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광주.전남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 125-148, 2007

      10 이강우, "청소년의 여가활동 선호 유형과 자아개념 관계 연구" 12 (12): 343-354, 2001

      11 신현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9 : 189-225, 2001

      12 유재충,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감, 스트레스 및 자아정체감과 스포츠관람 간의인과관계" 39 (39): 179-194, 2000

      13 이선애, "청소년스트레스가 인터넷 이용시간에 미치는 경로분석-자아통제부모애착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103-122, 2008

      14 이장호,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 1 (1): 24-45, 1988

      15 정의숙,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그림 반응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71-82, 2008

      16 김정희, "중년 여성의 적응과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정서적 경험의 관계" 4 (4): 54-68, 1992

      17 김민선,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및 신체화의 관계: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29 (29): 725-745, 2010

      18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19 김경숙,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통제감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20 한성열, "스트레스상황 특성에 따른 적응적인 대처양식" 6 (6): 123-143, 2001

      21 이경아, "스트레스, 자아존중감및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 693-704, 1998

      22 최미경,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81-298, 2005

      23 이자영,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3-42, 2008

      24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589-607, 2008

      25 서경현, "대학생의 스트레스, 문제중심 대처 및 상/하향비교 대처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17-236, 2011

      26 조성연, "대학생의 부모됨의 동기에 대한 부모됨의 의미와 감정이입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8 (28): 219-233, 2007

      27 이은희,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12 (12): 69-84, 2000

      28 이자영, "나이에 따른 학업소진 차이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9 김민애, "과중한 학업 요구와 학업 소진과의 관계 : 통제감 역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0 최승혜,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원과 증상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1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32 Paulhus, D. L., "Two Replicable Suppressor Situations in Personality Research" 39 (39): 303-328, 2004

      33 Lazarus, R., "Toward better research on stress and coping" 55 : 665-673, 2000

      34 Skovholt, T. M.,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Allyn and Bacon 2001

      35 Kato, T.,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of coping to stress and depression" 72 : 57-63, 2001

      36 Tolan PH, "The relation of patterns of coping of inner-city youth to psychopathology symptoms" 12 : 423-449, 2002

      37 Koole, S. L., "The psychology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23 : 4-41, 2009

      38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 99-113, 1981

      39 Leiter, M. P.,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9 : 297-308, 1988

      40 Scahufeli, W. B., "The conceptualization & measurement of burnout: Common ground & worlds apart" 19 (19): 256-262, 2005

      41 Meier, S. T., "The burn-out college student: A descriptive profile" 26 : 63-69, 1985

      42 Morgan, C.,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ctiviti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Sample of College Freshmen" 6 (6): 133-142, 2003

      43 Aldwin, C. M., "The California Coping Inventory" 1994

      44 Maslach, C., "The Burnout syndrome in the day care setting" 6 (6): 100-101, 1977

      45 Cheung, G. W., "Testing mediation and suppression effects of latent variables: Bootstrapp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11 (11): 296-325, 2008

      46 Weisberg, J., "Teacher'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Burnout: Impact on Intention to Quit" 133 (133): 333-339, 1999

      47 Kyriacou, C., "Teacher stress and burnout: An international review" 29 : 146-152, 1987

      48 Kyriacou, C., "Teacher Stress: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53 (53): 27-35, 2001

      49 Maassen, G. H., "Suppressor variables in path models" 30 : 241-270, 2001

      50 Noni K, GH., "Suppressor effects in coping research with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from low-income communities" 78 (78): 843-855, 2010

      51 Gaylord-Harden, N. K., "Suppressor effects in coping research with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from low-income commun-ities" 78 (78): 843-855, 2010

      52 Tzelgov, J., "Suppression situations in psychological research: Definitions,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109 : 524-536, 1991

      53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54 Lazarus, R.,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1984

      55 Borg, M. G., "Stress in Teaching: a study of occupatonal stress and its determinants, job satis 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mong primary school teachers" 11 (11): 59-75, 1991

      56 Bouchard, G., "Situational and dispositional coping: an examination of their relation to personality, cognitive appraisals, and psychological distress" 18 (18): 221-238, 2004

      57 Dumont, M., "Resilience in Adolescents: Protective Role of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on Experi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28 (28): 343-363, 1999

      58 McCarthy, M. 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tudent burnout" 31 (31): 211-216, 1990

      59 Folkman, S., "Positive affect and the other side of coping" 55 (55): 647-654, 2000

      60 Menaghan, E., "Measuring coping effectiveness: A panel analysis of marital problems and coping efforts" 23 (23): 220-234, 1982

      61 Smith, P., "Measuring change in psychological working conditions: Methodological issues to consider when data are collected at baseline and one follow-up time point" 65 : 288-296, 2008

      62 Forsythe, C. J., "Interaction of cognitive appraisals of stressful events and coping: Testing t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11 (11): 473-485, 1987

      63 Cotten, S. R., "Implications of Internet techonology for medical sociology in the new millennium" 21 : 319-340, 2001

      64 Punamäki, R. -L., "Impact of traumatic events on coping Strategies and their effectiveness among Kurdish children" 28 : 59-70, 2004

      65 Maslach, C.,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Taylor and Francis 1-16, 1993

      66 Mechanic, D., "Factors affecting receptivity to innovations in healthcare delivery among primary care phy sicians, In Politics, Medicine, and Social Science" John Wiley 69-87, 1974

      67 Steinhardt, M., "Evaluation of a resilience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strategies and protective factors and decrease symptomatology" 56 (56): 445-453, 2007

      68 Terry, D. J., "Employee adjustment to stress: The role of coping resources, situational factors, and coping responses" 8 (8): 1-24, 1995

      69 Gross, J. J., "Emotion regulation in adulthood: Timing is everything" 10 : 215-219, 2001

      70 Stone, A. A., "Effects of severe daily events on mood" 46 : 137-144, 1984

      71 Coyne, J. C., "Depression and Coping in stressful episodes" 90 : 439-447, 1981

      72 Hyojung Shin, "Cultural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Korean students" 교육연구소 12 (12): 633-639, 2011

      73 Billings, A. G.,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46 (46): 877-891, 1984

      74 Higgins, J. E., "Coping,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and somatic distress" 9 : 253-270, 1995

      75 Sandler, I. N., "Coping, Stress, and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Children of Divorce: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65 (65): 1744-1763, 1994

      76 Schnider, K. R., "Coping style use predicts post traumatic stress and complicated grief symptom severity among college students reporting a traumatic loss" 54 : 344-350, 2007

      77 Gan, Y., "Coping flexibility and locus of control as predictors of burnou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 35 (35): 1087-1098, 2007

      78 Ebata, A. T., "Coping and adjustment in distressed and healthy adolescents" 12 : 33-54, 1991

      79 Golembiewski, R. T., "Contours in Social Change: Elemental Graphics and a Surrogate Variable for Gamma Change" 11 (11): 350-366, 1986

      80 Moos, R. H.,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Free Press 212-230, 1982

      81 Jennett, H. K., "Commitment to Philosophy,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Among Teachers of Children with Autism" 33 (33): 583-593, 2003

      82 Skinner, E. A., "Children's coping in the academic domain, In Handbook of Children's Coping: Linking Theory and Intervention" Plenum Press 1997

      83 Schaufeli, W. 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33 : 464-481, 2002

      84 Taris, T. W., "Are ther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imensions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 review and two longitudinal tests" 19 (19): 238-255, 2005

      85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s (3rd ed.)" Erlbaum 2003

      86 Folkman, 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21 : 219-239, 1980

      87 Lee, J., "Academic Burnout Profiles in Korean Adolescents" JOHN WILEY SONS INC 26 (26): 404-416, 2010

      88 Capel, S. A., "A longitudinal study of burnout in teachers" 61 (61): 36-45, 1991

      89 Lee, R. T., "A longitudinal study of burnout among supervisors and managers: Comparisons between the Leiter, M. P., & Maslach, C. (1988).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9 : 297-308, 1988

      90 Tennen, H., "A daily process approach to coping: Link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5 : 626-636, 2000

      91 Dewe, P., "A closer examination of the patterns when coping with work-related stress: Implications for measurement" 76 (76): 517-524, 2003

      92 박일경, "5요인 성격특성과 학업 소진과의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81-93, 2010

      93 "2011 청소년 통계" 통계청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chool ->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1.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 2.4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