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The Intermediary Effect of Self-Si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2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silence in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for early adult college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have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when college students complain of difficultie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counseling scene, they seek practical intervention factors in counsel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obl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effectively form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41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about eight weeks from February 3 to March 27, 20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ilence."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ird, the "self-silence" of college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issues." Fourth, the "self-silence" of a college stud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internalized shame" and "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it has first confirmed the relevance of internalized shame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further empirically verified how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e. Seco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depression or loneliness through the medium of self-silence,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expanded the study on the role of self-silence by confirming that internalized shame also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silence in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for early adult college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have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when college students 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elf-silence in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for early adult college students who are beginning to have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when college students complain of difficultie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counseling scene, they seek practical intervention factors in counseling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obl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effectively form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41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about eight weeks from February 3 to March 27, 20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ilence."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of a college stud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ird, the "self-silence" of college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issues." Fourth, the "self-silence" of a college stud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internalized shame" and "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in that it has first confirmed the relevance of internalized shame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further empirically verified how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silence. Seco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depression or loneliness through the medium of self-silence,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expanded the study on the role of self-silence by confirming that internalized shame also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성인 초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데에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즉, 대학생들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할 때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관점에서 상담의 실천적 개입요소를 찾고자 하며,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412명을 연구대상으로 2020년 2월 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8주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자기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내재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이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여, 자기침묵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성인 초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데에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즉, 대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대인관계를 맺기 시작하는 성인 초기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데에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즉, 대학생들이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할 때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관점에서 상담의 실천적 개입요소를 찾고자 하며,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412명을 연구대상으로 2020년 2월 3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8주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자기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재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대인관계문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침묵”은 “내재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더 나아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이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여, 자기침묵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경,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19

      2 장은경,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 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19

      3 이인숙,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1951-1969, 2009

      4 선다영,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간의 관계에서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2016

      5 홍은수, "수치심의 이해 및 치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지영,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수치심, 자기침묵 행동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2015

      7 임문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2019

      8 김지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355-378, 2019

      9 구세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21, 2018

      10 한경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 장은경,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19

      2 장은경, "중년 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외로움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 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19

      3 이인숙,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1951-1969, 2009

      4 선다영,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간의 관계에서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2016

      5 홍은수, "수치심의 이해 및 치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6 김지영,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수치심, 자기침묵 행동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2015

      7 임문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2019

      8 김지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26): 355-378, 2019

      9 구세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21, 2018

      10 한경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1 양지혜,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람들에게서 멀어짐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자기 방어적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2019

      12 차혜련,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3-401, 2016

      13 명은정,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서강대학교 2019

      14 이기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15 박정란,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20

      16 김보람, "거절민감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과도한 재확인 추구와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4

      17 서지영, "거부민감성이 자기침묵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과 타인인정욕구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17

      18 배서윤,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침묵과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2018

      19 O. Ayduk, "Tactical differences in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 The role of prevention pride" 29 (29): 435-448, 2013

      20 J. Tan, "Self-silencing, anger an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35 (35): 5-18, 2018

      21 V. E. Whiffen, "Self-silencing mediates the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24 (24): 993-1006, 2017

      22 E. D. Eaker, "Marital status, marital strai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or total mortality :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69 (69): 509-513, 2017

      23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 3. Loss:Sadness and depression" Basic Books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