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9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만 5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는 106.50(SD=12.49)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의 특성의 발현 정도는 순차처리가 가장 높았고, 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52.57%로, 중간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가 보통 집단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전체적인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영역에서 높은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에 따라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가 각 놀이 영역별로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만 5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는 106.50(SD=12.49)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과정의 특성의 발현 정도는 순차처리가 가장 높았고, 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52.57%로, 중간 정도의 일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가 높은 집단의 유아가 보통 집단의 유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전체적인 인지 과정 특성의 발현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유 선택 활동의 놀이 영역별로 살펴보면, 언어 영역에서 높은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sistency of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is manifested in the hours of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as per interest area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were shown to be of an average with 106.50(SD=12.49), sequential process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lanning, simultaneous processing and attention. Second, the extent of consistency for children's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showed a middle level of consistency rate of 52.57. Third, the extent of consistency for children's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dependent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indicated that children of the group with a higher extent of manifestation had a higher extent of consistency than those with the average group(high: 60.54%, average: 47.80%). Fourth, The extent of consistency of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ing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average group in language area when considered as per play a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sistency of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is manifested in the hours of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as per interest area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The 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onsistency of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is manifested in the hours of indoor free choice activities as per interest area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were shown to be of an average with 106.50(SD=12.49), sequential processing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lanning, simultaneous processing and attention. Second, the extent of consistency for children's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showed a middle level of consistency rate of 52.57. Third, the extent of consistency for children's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dependent 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indicated that children of the group with a higher extent of manifestation had a higher extent of consistency than those with the average group(high: 60.54%, average: 47.80%). Fourth, The extent of consistency of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ognitive proces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ing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average group in language area when considered as per play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수백, "종합인지기능 진단검사 실시요강" 학지사 2007

      2 김시영,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홍우, "인지학습의 이론" 교육출판사 1973

      4 李敬任,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慶尙大學校 大學院 1996

      5 이정모,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6 하미애, "유아의 지능, 언어능력 및 학습준비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유지은, "유아의 조형활동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소영,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이차숙, "유아의 음운 인식과 단어읽기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6, 2008

      10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21 (21): 55-79, 2001

      1 문수백, "종합인지기능 진단검사 실시요강" 학지사 2007

      2 김시영,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홍우, "인지학습의 이론" 교육출판사 1973

      4 李敬任,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慶尙大學校 大學院 1996

      5 이정모, "인지심리학" 학지사 2009

      6 하미애, "유아의 지능, 언어능력 및 학습준비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유지은, "유아의 조형활동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소영,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이차숙, "유아의 음운 인식과 단어읽기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6, 2008

      10 유혜령, "유아의 역할 놀이 경험 양식과 그 교육적 의미" 21 (21): 55-79, 2001

      11 최진숙, "유아의 사고능력 수준과 놀이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 정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12 정선아, "유아의 물감과 찰흙 조형 매체 탐색 경험의 의미 -예술적 경험과 앎의 과정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25-349, 2011

      13 채금숙, "유아의 놀이 영역 선호도 및 놀이 행동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박선희, "유아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평가척도 개발 연구" 20 (20): 99-124, 2000

      15 주영희, "유아언어발달과 교육" 교문사 2003

      16 이경순,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5 (25): 95-110, 2004

      17 최성숙, "유아기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25 : 493-510, 2000

      18 나은숙,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9-78, 2011

      19 단현국, "유아 놀이 지도. 2007학년도 유치원감 자격 연수 교재"

      20 단현국, "유아 놀이 지도"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1

      21 양옥승, "언어적 계획 및 평가 프로그램의 효과" 14 (14): 57-78, 1995

      22 노명완, "언어 현상과 국어교육학의 이론화전략" 9 : 15-50, 1993

      23 Berk, L. E.,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설정: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창지사 1995

      24 Berk, L. E., "아동발달" 정민사 2007

      25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8

      26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1

      27 Shaffer, D. R.,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28 지성애, "미술교육방법이 유아의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21 (21): 177-202, 2001

      29 박새롬, "만 5세 과잉행동성향 유아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30 신은수,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11

      31 Johnson, J.,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32 千順玉, "놀이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와 유아의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33 박나래, "그림 동화를 이용한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4 노명완, "국어과 교육론" 갑을출판사 1997

      35 이인선, "교사와 유아의 심미적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36 김준규, "과학탐구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지각적 충실도와 조언이 유아의 과제성취도 및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3 (23): 49-69, 2002

      37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38 Miller, S. A.,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for knowledge acquisition" 4 (4): 325-356, 2003

      39 Snow, R. E., "Toward a theory of cognitive aptitude for learning from instruction" 76 : 347-376, 1984

      40 Bodrova, E., "Tools of the mind: The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errill/Prentice Hall 1996

      41 Brown, A. L.,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Erlbaum 458-482, 1980

      42 Cowan, N.,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development of short-term memory : Age differences in the verbal span of apprehension" 70 : 1082-1097, 1999

      43 Yang, O. S., "The effects of verbal plan and review training on preschooler's reflectivity" ERIC Clearinghouse 1986

      44 Smilansky, S., "The effects of certain learning conditions on the programs of disadvantaged children of kindergarten age" 4 : 68-81, 1966

      45 Szepkouski, G. M., "The development of planning skill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mental retardation" 15 : 187-206, 1994

      46 Bauer, P. J., "The development of memory in childhood" London University College Press 83-111, 1997

      47 Cuffaro, H. K., "The block book" NAEYC 75-102, 1996

      48 Miller, P., "Symbolic play: 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Academic Press 101-130, 1984

      49 Schickedanz, J. A., "Strategies for teaching young children" Prentice-Hall 1983

      50 Seefeldt, C.,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Merrill Prentice-Hall 2001

      51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The Guilford Press 2000

      52 Kopp, C. B.,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 A developmental view" 18 (18): 199-214, 1989

      53 Kirby, J. R., "Reading achievement, IQ, and simultaneous-successive processing" 70 : 58-66, 1977

      54 Rogers, C. S., "Play in the lives of children" NAEYC 1988

      55 Garvey, C., "Play" Harvard University Press 1977

      56 Rubin, K. H., "Play" John Wiley and Sons 1983

      57 Naglieri, J. A., "Planning-arousal-simultaneous-successive(PASS) : A model for assessment" 26 : 35-48, 1988

      58 Naglieri, J. A., "Planning, attention, simultaneous, and successive cognitive processes as a model for assessment" 19 (19): 423-442, 1990

      59 이경화, "PASS 모형에 근거한 유아용 인지과정 검사 개발을 위한 탐색적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49-373, 2006

      60 Harnishfeger, K. K., "New perspectives on interference and inhibition in cognition" Academic Press 176-204, 1995

      61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62 Dempster, F. N., "Memory span : Sources of individu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89 : 63-100, 1981

      63 Justice, E. M., "Means to the goal of remembering : Developmental changes in awareness of strategy use-performance relations" 65 : 293-314, 1997

      64 Stanovich, K., "Matthew effects in reading : Some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21 : 360-407, 1986

      65 Casey, M., "Learning to plan through play" 3 : 52-58, 1991

      66 Bowerman, M., "Language perspectives-acquisition, retardation, and intervention" University Park Press 191-210, 1974

      67 Owens, R. E.,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Allyn & Bacon 1996

      68 Kinsman, C. A., "Joining the block and housekeeping areas : Changes in play and social behavior" 35 : 66-75, 1979

      69 Bahrick, L. E., "Increasing specificity in perceptual development : Infants'detection of nested levels of multimodal stimulation" 79 : 253-270, 2001

      70 Peterson, E. A., "Free-choice time is a must" 16 (16): 10-12, 1997

      71 Garon, N.,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 A review using an integrative framework" 134 (134): 31-60, 2008

      72 Goncu, A., "Development of intersubjectivity in the dynamic play of preschoolers" 8 : 99-116, 1993

      73 Barnett, L. A., "Development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22 (22): 138-153, 1990

      74 Fischer, K. W., "Concurrent cycles in the dynamic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behavior" 3 (3): 15-16, 1995

      75 Krywaniuk, L. W., "Cognitive strategies in native children : Analysis and intervention" 22 : 271-280, 1976

      76 Leong, C. K., "Cognitive patterns of retarded and below-average readers" 5 : 101-117, 1980

      77 Flavell, J. H., "Cognitive development" Prentice Hall 1993

      78 Flavell, J. H., "Cognitive development" Prentice-Hall 2002

      79 Pressley, M., "Annals of child development" JAI Press 89-129, 1987

      80 Goncu, A., "Analyzing children's play dialogues" Jossey-Bass 5-22, 1984

      81 Das, J. P., "Academic performance and cognitive processes in EMR children" 83 : 197-199,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