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9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writ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entering school, and in contrast with it, it is Korean listening that the least difficult one for them. In consequence, Teaching Korean listening for them has been neglected. It is true that the ability of children’s Korean listening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higher than other skill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ir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children’s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As in Krashen(1982), ‘Listening’ is the skill that helps leaners acquire a language, which makes it important in language learning. The underachieve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eir entering school is related to their lack of Korean listen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them Korean listening, to do this, reviews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if their listening skill is lower than general children in reality and what the causes are. Then this study goes over how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listening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et in ‘KSL curriculum’ officially announced in July of 2012.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part presented is examined. Based on this, chapter 4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re is how to give input data whic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get enough during their growth, how to design listening tasks to develop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how to draw their interest to perform listening activities not by listening itself but by listening, watching and acting.(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writ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entering school, and in contrast with it, it is Ko...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writ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art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entering school, and in contrast with it, it is Korean listening that the least difficult one for them. In consequence, Teaching Korean listening for them has been neglected. It is true that the ability of children’s Korean listening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higher than other skill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ir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children’s from families with Korean parents. As in Krashen(1982), ‘Listening’ is the skill that helps leaners acquire a language, which makes it important in language learning. The underachieve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eir entering school is related to their lack of Korean listening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teach them Korean listening, to do this, reviews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if their listening skill is lower than general children in reality and what the causes are. Then this study goes over how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listening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set in ‘KSL curriculum’ officially announced in July of 2012.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part presented is examined. Based on this, chapter 4 proposes a method to teach Korean listening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re is how to give input data which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d not get enough during their growth, how to design listening tasks to develop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how to draw their interest to perform listening activities not by listening itself but by listening, watching and acting.(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가장 크게 어려움을 겪는 영역은 쓰기이며, 가장 어려움이 덜한 영역이 듣기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듣기 교육은 등한시되어 왔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이 다른 기술에 비해 뛰어난 것이 사실이나 일반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 비해 듣기 기술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Krashen(1982)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듣기’는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학업 부진의 문제는 이들의 부족한 듣기 능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서 실제로 듣기 기술이 부족한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목표를 2012년 7월에 고시된 ‘KSL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핵심적인 것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성장 과정에서 충분히 제공 받지 못했던 입력 자료를 최대한 제공해 주는 방안, 추론적 이해 능력을 기르는 데 주력하는 방안, 듣기 활동을 듣기라는 단일 기능만으로 구성하지 않고 들으면서, 보면서, 행동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가장 크게 어려움을 겪는 영역은 쓰기이며, 가장 어려움이 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가장 크게 어려움을 겪는 영역은 쓰기이며, 가장 어려움이 덜한 영역이 듣기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듣기 교육은 등한시되어 왔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듣기 능력이 다른 기술에 비해 뛰어난 것이 사실이나 일반 한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에 비해 듣기 기술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Krashen(1982)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듣기’는 언어 습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 후 겪는 학업 부진의 문제는 이들의 부족한 듣기 능력과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을 위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서 실제로 듣기 기술이 부족한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목표를 2012년 7월에 고시된 ‘KSL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듣기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중 핵심적인 것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성장 과정에서 충분히 제공 받지 못했던 입력 자료를 최대한 제공해 주는 방안, 추론적 이해 능력을 기르는 데 주력하는 방안, 듣기 활동을 듣기라는 단일 기능만으로 구성하지 않고 들으면서, 보면서, 행동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아라, "한국어 어휘 능력에 따른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이야기 산출 및 이해 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권미림,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유 이해 능력 분석"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2

      3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4 양성오,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5 양성오,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37-57, 2009

      6 배소영,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146-156, 2010

      7 김영기, "초등 다문화 가정 아동의 단락 듣기 이해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1

      8 안성우, "저소득층 일반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81-94, 2008

      9 임성혜, "이야기 이해 및 회상산출에 나타난 저소득층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2

      10 김정숙,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및 모형" 이중언어학회 (15) : 103-122, 1998

      1 조아라, "한국어 어휘 능력에 따른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이야기 산출 및 이해 능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 권미림,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유 이해 능력 분석"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2012

      3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4 양성오,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5 양성오,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8 (18): 37-57, 2009

      6 배소영,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146-156, 2010

      7 김영기, "초등 다문화 가정 아동의 단락 듣기 이해력"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1

      8 안성우, "저소득층 일반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의음운인식능력 비교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81-94, 2008

      9 임성혜, "이야기 이해 및 회상산출에 나타난 저소득층 다문화가정아동의 언어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2

      10 김정숙, "숙달도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및 모형" 이중언어학회 (15) : 103-122, 1998

      11 김경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해어휘능력 및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12 신영주,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음운인식 발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37-53, 2008

      13 권미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간 음운처리에 관한 메타언어능력의 비교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4 윤경동,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 실태조사 및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5 성두원,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어휘 이해 능력 실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황상심,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7 (17): 81-102, 2008

      17 박미경,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 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8 Krashen, C. J.,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19 이은경, "7, 8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언어능력 - 지역 간 차이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17-331, 2011

      20 강금화, "5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읽기, 음운인식 능력에 관한 연구"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0

      21 강금화, "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언어, 읽기,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9 (19): 143-158, 2010

      22 유승애, "4, 5, 6세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실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