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s of Military Sold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9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 of military soldi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oldier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among soldiers serving in the military unit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15 people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a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for 10 times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ability sco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uman relationships of the military peer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as a way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uman relations of military soldier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 of military soldi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oldier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human relations of military soldi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soldier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among soldiers serving in the military unit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15 people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a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for 10 times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ability sco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uman relationships of the military peers.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ilitary peer counseling program as a way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uman relations of military soldi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간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군부대에 복무중인 병사들 중에서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3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0회기의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 척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차이에 대한 공분산분석과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프로그램 실시 후 참여자들의 소감문을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능력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인간관계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간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군부대에 복무중인 병...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간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군부대에 복무중인 병사들 중에서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3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0회기의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 척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 차이에 대한 공분산분석과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프로그램 실시 후 참여자들의 소감문을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능력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인간관계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인간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병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군 또래상담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덕엽,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2 송정화, "여자 중학생에 의한 동료상담이 선도대상 학생의 비행성향감소에 미치는 효과"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이경리,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박영희, "또래상담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상담자의 의사소통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6 박영희, "또래상담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상담자의 의사소통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8) : 7-32, 2014

      7 박건자, "또래상담훈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류부열, "또래상담자 훈련이 고등학생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현림,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91-308, 2003

      10 채유경, "대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및 효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126-136, 2003

      1 류덕엽,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2 송정화, "여자 중학생에 의한 동료상담이 선도대상 학생의 비행성향감소에 미치는 효과"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이경리,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박영희, "또래상담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상담자의 의사소통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6 박영희, "또래상담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상담자의 의사소통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8) : 7-32, 2014

      7 박건자, "또래상담훈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8 류부열, "또래상담자 훈련이 고등학생의 공감능력, 친사회적 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현림,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91-308, 2003

      10 채유경, "대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및 효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126-136, 2003

      11 김태식, "군 동료상담자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2 B. Y. Koo, "Youth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II"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1995

      13 S. Schle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4 M. J. Yang, "The Military Solian Peer Counseling Training Program"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2008

      15 D. H. Nam, "The Effects of the Peer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ir Human Relation and Class-Relation Attitude" Dong-A University 2001

      16 D. H. Kim, "The Effects of the Peer Counselor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in Middle School Students" Dankook University 2002

      17 E. Y. Choi,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Kosin University 2004

      18 H. S. Choi, "The Effects of Peer Counsling Training and Activities on Peer Counselor and Their Classes" Yeungnam University 2006

      19 J. Y. Kang,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on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Leadership"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9

      20 E. M. Kim,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Training on a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and Self-Concept"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21 H. H. Kim,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Training on Attitude Related to School Activity and Human Relationship" Hanseo University 2005

      22 A. R. Oh,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Affects Self-Esteem of Peer Counselor and Adaptation of School Life" Mokpo University 2014

      23 M. S. Hwang,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Activity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Attitude Towards School Life of Peer Counselor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7

      24 M. S. KIm,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er Counselor Training Experience 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Woosuk University 2001

      25 S. H. Chu,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the Scene of Peer Group Counsel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87

      26 I. H. Jeong, "The Effectiveness of Peer Counselor Trai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Improvement" Yosu National University 2003

      27 H. G. Shin, "The Effectiveness of Peer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Sociality Development of Elementary Student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03

      28 K. H. Lee, "The Effect of Peer Counselor Training on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 Relationships and Attitudes Related to School Lif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00

      29 K. J. Hong, "The Effect of Peer Counselor Training Experience on the Self-actualization of Peer Counselors and Enhancement of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18 : 43-59, 1986

      30 Y. S. Lee, "Solrion Peer Counseling School Operation Model Development: Focusing on Operation Guidelines"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2012

      31 S. D. Noh, "School Peer Counseling" Hakjisa 2009

      32 S. H. Lee, "Research on Development of Peer Counseling Programs for Each Stage"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2000

      33 R. A. Carr, "Peer Helping in Canada" 11 (11): 15-18, 1993

      34 K. M. Seol, "Peer Counseling Training Theory" Hyungseol Publisher 1991

      35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Peer Counseling Operation School Guidelines and Teacher Manual" Korea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2019

      36 J. H. Kim, "Peer Counseling Operation Plan Research"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1999

      37 W. I. KIm, "Military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Hakjisa 2006

      38 H. D. Lee, "Interpersonal Training Practice" Central Aptitude Publisher 1996

      39 A. P. Bochner, "Interpersonal Competence: Rationale. philosophy, and Implement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21 : 279-301, 1974

      40 Chosun Newspaper, "If you apply for not being able to live in the military, you will be disqualified for service"

      41 E. W. Mou, "Development of a couple-adapted group counseling program through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training" Hanyang University 2001

      42 L.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age" 6 : 173-184, 1967

      43 B. Y. Choi,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Counseling Activities: Targeting Patients in the Armed Forces Field Hospital" Kwangwoon University 2006

      44 S. M. Moon,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Training Group Counseling" 19 (19): 195-203, 1979

      45 K. U. Kim, "A Study on Peer Counselor Training–Development and Evaiuation of Training Program for Cadets-" Ewha Womens University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