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진출 한국기업 중국인 관리자들의 이직의도 = Turnover Intentions of Chinese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7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경제가 매년 7~8%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임금 상승이 가속화되면서 중국진출 한국기업들의 경영환경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유래를 찾기 힘든 초고속 경제성장으로 개인주의와 물질주의적 성향이 크게 높아진 중국의 젊은 근로자들은 임금을 비롯한 근로조건에 따라 직장을 옮기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에 투자한 한국기업의 경영에서 중국인 관리자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한국인 최고경영층과 중국인 근로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적 장벽이나 문화적 차이를 줄여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이들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중국인 근로자들의 이직보다 이들 중국인 관리자들의 이직은 한국기업의 경영 성과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이들의 이직의도를 줄이고 나아가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진출 한국기업 중국인 관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중국 산동성 지역에 소재한 21개 한국기업의 중국인 관리자 20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임금수준, 분배공정성, 상사와의 관계, 직무몰입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수준, 분배공정성,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중국경제의 기록적인 고속 성장으로 임금수준과 물가상승이 가속화되면서 비교적 높은 교육을 받은 중국인 관리자들의 임금 욕구도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진출 한국기업에서 중국인 관리자들이 보상의 배분에서 한국인 관리자들과 비교해 공정함을 느낄 때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애착을 갖게 될 것이며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중국진출 한국기업은 공정한 임금수준 산출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보상과 평가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평가기준과 평가결과를 공개하는 것 역시 중국 진출 한국기업들에게 요구되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직의도가 상사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는 중국인 관리자들과 원만하고 유익한 관계 형성을 위한 한국인 경영층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사와 좋은 관계를 통해 중국인 관리자들이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조직에서 생기는 갈등을 상사와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특히 좋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비공식적인 경로나 수단들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중국진출 한국기업은 중국인 관리자들의 직무가 보다 충실해질 수 있도록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신의 직무에 열의를 갖고 임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런 노력은 직무로부터 느끼는 가치와 자긍심 그리고 몰입을 높여 현재의 직장을 위해 의욕적으로 일하려는 자세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중국경제가 매년 7~8%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임금 상승이 가속화되면서 중국진출 한국기업들의 경영환경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유래를 찾기 힘든 초고속 경제...

      중국경제가 매년 7~8%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이루어내는 과정에서 임금 상승이 가속화되면서 중국진출 한국기업들의 경영환경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유래를 찾기 힘든 초고속 경제성장으로 개인주의와 물질주의적 성향이 크게 높아진 중국의 젊은 근로자들은 임금을 비롯한 근로조건에 따라 직장을 옮기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에 투자한 한국기업의 경영에서 중국인 관리자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한국인 최고경영층과 중국인 근로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언어적 장벽이나 문화적 차이를 줄여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이들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중국인 근로자들의 이직보다 이들 중국인 관리자들의 이직은 한국기업의 경영 성과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이들의 이직의도를 줄이고 나아가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진출 한국기업 중국인 관리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중국 산동성 지역에 소재한 21개 한국기업의 중국인 관리자 20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그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임금수준, 분배공정성, 상사와의 관계, 직무몰입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수준, 분배공정성,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중국경제의 기록적인 고속 성장으로 임금수준과 물가상승이 가속화되면서 비교적 높은 교육을 받은 중국인 관리자들의 임금 욕구도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진출 한국기업에서 중국인 관리자들이 보상의 배분에서 한국인 관리자들과 비교해 공정함을 느낄 때 기업에 대한 만족도와 애착을 갖게 될 것이며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중국진출 한국기업은 공정한 임금수준 산출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보상과 평가의 공정성 및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평가기준과 평가결과를 공개하는 것 역시 중국 진출 한국기업들에게 요구되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직의도가 상사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는 중국인 관리자들과 원만하고 유익한 관계 형성을 위한 한국인 경영층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사와 좋은 관계를 통해 중국인 관리자들이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조직에서 생기는 갈등을 상사와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특히 좋은 관계를 바탕으로 한 비공식적인 경로나 수단들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중국진출 한국기업은 중국인 관리자들의 직무가 보다 충실해질 수 있도록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이 자신의 직무에 열의를 갖고 임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런 노력은 직무로부터 느끼는 가치와 자긍심 그리고 몰입을 높여 현재의 직장을 위해 의욕적으로 일하려는 자세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ese manag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China. These managers play a role as a link between Korean executives and Chinese workers, who help to decrease the language barrier or cultural differences. Turnover of these Chinese managers, therefore, would have bigger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than general Chinese workers, a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find way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s of Chinese managers. We examined antecedents of turnover intentions of Chinese manger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in their rela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set and tested through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from 205 Chinese managers of 21 Korea companies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in China.
      In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turnover intentions are lower as the wage level, the distributive justice,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the job involvement are higher. In addition, the impacts of wage level,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are moderated by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you can find that the Chinese managers with relatively good education desire increase in their wages along with the record-breaking high-speed growth of the Chinese economy. In particular, if Chinese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feel fairness in the distribution of incentives between them and Korean managers, their turnover intentions would decrease. Therefore, Korean companies in China should try hard to have a reward system that calculates a fair wage level.
      In addition, the turnover intentions could chang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s and their superiors. This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top management to try hard to establish amicable and beneficial relationships with Chinese managers. Through a good relationship, superiors should actively induce Chinese managers to resolve any problems at work or conflicts in the organization together with them. In particular, based on the good relationship, informal channels or ways could display positive effects. Moreover, Korean companies in China should redesign the duties of Chinese managers to be more enriched, and to induce involvement in their job. Such efforts will be enable Chinese managers to work more enthusiastically for their current companies by increasing the meaning, self-esteem and immersion that they feel from their job.
      번역하기

      Chinese manag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China. These managers play a role as a link between Korean executives and Chinese workers, who help to decrease the language barrier or cultural differences...

      Chinese manager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China. These managers play a role as a link between Korean executives and Chinese workers, who help to decrease the language barrier or cultural differences. Turnover of these Chinese managers, therefore, would have bigger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than general Chinese workers, a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companies to find ways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s of Chinese managers. We examined antecedents of turnover intentions of Chinese manger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in their rela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set and tested through analyses of the data collected from 205 Chinese managers of 21 Korea companies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in China.
      In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turnover intentions are lower as the wage level, the distributive justice, the relationship with superior and the job involvement are higher. In addition, the impacts of wage level,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are moderated by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you can find that the Chinese managers with relatively good education desire increase in their wages along with the record-breaking high-speed growth of the Chinese economy. In particular, if Chinese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feel fairness in the distribution of incentives between them and Korean managers, their turnover intentions would decrease. Therefore, Korean companies in China should try hard to have a reward system that calculates a fair wage level.
      In addition, the turnover intentions could chang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s and their superiors. This implies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top management to try hard to establish amicable and beneficial relationships with Chinese managers. Through a good relationship, superiors should actively induce Chinese managers to resolve any problems at work or conflicts in the organization together with them. In particular, based on the good relationship, informal channels or ways could display positive effects. Moreover, Korean companies in China should redesign the duties of Chinese managers to be more enriched, and to induce involvement in their job. Such efforts will be enable Chinese managers to work more enthusiastically for their current companies by increasing the meaning, self-esteem and immersion that they feel from their job.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및 연구가설
      • Ⅲ. 연구 모형 및 실증연구
      • Ⅳ. 분석 및 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 및 연구가설
      • Ⅲ. 연구 모형 및 실증연구
      • Ⅳ. 분석 및 결과
      • Ⅴ. 결과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숙, "호텔기업종사원의 윤리경영에 대한 지각이 경영자신뢰, 자긍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61-80, 2011

      2 표용태, "호텔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종업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15 : 339-347, 1999

      3 이철우, "호텔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4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5 김성현, "한식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6 이경근, "한국의 중소기업에서 경영자에 대한 도덕성과 우리성 지각이 경영자 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심리 접근을 바탕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31-159, 2012

      7 위안, "한국과 중국에서 상사-부하간 꽌시(關係)와 교환관계(LMX)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경영학회 25 (25): 483-500, 2012

      8 이지우, "직무특성과 종업원 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직무몰입의 매개역할" 5 (5): 87-122, 1997

      9 장애화,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안녕감 및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10 이성진, "중국진출한국기업의 노무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 2008

      1 김은숙, "호텔기업종사원의 윤리경영에 대한 지각이 경영자신뢰, 자긍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61-80, 2011

      2 표용태, "호텔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종업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15 : 339-347, 1999

      3 이철우, "호텔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4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5 김성현, "한식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6 이경근, "한국의 중소기업에서 경영자에 대한 도덕성과 우리성 지각이 경영자 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심리 접근을 바탕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31-159, 2012

      7 위안, "한국과 중국에서 상사-부하간 꽌시(關係)와 교환관계(LMX)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대한경영학회 25 (25): 483-500, 2012

      8 이지우, "직무특성과 종업원 태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직무몰입의 매개역할" 5 (5): 87-122, 1997

      9 장애화,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안녕감 및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10 이성진, "중국진출한국기업의 노무관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노사관계대학원 2008

      11 김우창,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현지인력 종업원 만족도가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12 석염염,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생산직 근로자의 이직 의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13 肖晴, "중국 진출 한국기업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 원인에 관한 연구 : 산동성 한국기업의 중국인관리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4 박영민, "중국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의 이직경험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생산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15 황호영, "종업원 이직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26 : 367-383, 1995

      16 정진경, "조직구성원 이직의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17 이수길, "임파워먼트가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2

      18 장우석, "임금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를 조절변수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9 홍기봉, "이직의사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 공기업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20 서원교, "이직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반도체 생산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6

      21 김용구, "여행사종사원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와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83 : 834-844, 2008

      22 이지우, "생산직 근로자들의 임금만족에 관한 연구" 26 (26): 101-109, 1993

      23 이지우, "분배공정성에 따른 직무부담과 혁신적 업무행동과의 관계"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24 정효수, "분배공정성, 승진기회인식, 역할갈등이 공군조종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동료구직행동 및 직무몰입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 24 (24): 2775-2809, 2011

      25 이상은, "대기업 신입사원이 인식하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 내적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6 Warner, M., "‘Making sense’ of HRM in China: Setting the scene" 20 (20): 2169-2193, 2009

      27 Boss, R. W.,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 revisited" 3 (3): 331-342, 1978

      28 Podsakoff, P. M.,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1 : 107-142, 1990

      29 Graen, G. B., "Toward a psychology of dyadic organizing" 9 : 175-208, 1987

      30 Price, J. L., "The study of turnover"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31 Alexander, S.,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1 (1): 177-198, 1987

      32 Sherman, J. 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turnover propensities among engineering and technical support personnel" 33 (33): 72-78, 1986

      33 Conger, J. A.,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13): 471-482, 1988

      34 Si, S. X.,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managers'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in the Chinese context" 19 (19): 932-944, 2008

      35 Lodahl, T. M.,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entory" 43 : 24-33, 1965

      36 Cook, 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empowerment" 2 (2): 9-13, 1994

      37 Morgan, R. M.,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58 (58): 20-38, 1994

      38 Price, J. L., "The International yearbook of organization studies" Routledge & Kegan Paul 217-236, 1979

      39 Meyer, J. P., "Testing the “side-be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69 (69): 372-378, 1984

      40 Graen, G. B., "Role of leadership in the employee withdrawal process" 67 : 868-872, 1982

      41 Moorman, R. 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76 : 845-855, 1991

      42 Price, J. L., "Reflections on the determinants of voluntary turnover" 22 (22): 600-624, 2001

      43 Huselid, M. A.,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turnover: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analysis" 76 : 380-391, 1991

      44 Cook, J.,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ment" 53 (53): 39-52, 1980

      45 Kanungo, R. N.,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67 (67): 341-349, 1982

      46 Palich, L. E., "Managing in the international context:Testing cultural generality of sources of commitment to multinational enterprises" 21 (21): 671-690, 1995

      47 Liu Jing, "LMX와 조직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48 Thurston, P. W. Jr., "Justice perceptions of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 25 (25): 201-228, 2010

      49 Saleh, S. D., "Job involvement:Concepts and measurements" 19 (19): 213-224, 1976

      50 김범성, "IT전문가의 이직행동의 요인 - 임금과 신뢰문화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177-196, 2010

      51 Liu, J., "Fulfilling obligations: Why Chinese employees stay" 23 (23): 35-51, 2012

      52 Morgan, D., "Employee involvement, organizational change and trust in management" 14 (14): 55-75, 2003

      53 Ralston, D. A., "Doing business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new generation of Chinese managers: A study of generational shifts in work values in China" 30 (30): 415-427, 1999

      54 Blau, G. J., "Conceptualizing how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 turnover and absenteeism" 12 (12): 288-300, 1987

      55 Thomas, K. W.,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15 (15): 666-681, 1990

      56 Rousseau, D. M.,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positions, and individuals: Contexts for attitudes and behavior" 23 : 521-540, 1978

      57 Michaels, C. E.,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67 (67): 53-59, 1982

      58 Bedeian, A. G., "Career commitment and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behavior" 39 (39): 331-343, 1991

      59 Mayer, R. C.,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20 (20): 709-734, 1995

      60 Mobley, W. H., "An evaluation of precursors of hospital employee turnover" 63 (63): 408-414, 1978

      61 Brown, S. P.,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organizational research on job involvement" 120 (120): 235-255, 1996

      62 Price, J. L.,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24 (24): 543-565, 1981

      63 前程无忧, "2013离职与调薪调研报告"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2.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7 2.17 3.20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