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Fun of After School Dance Clas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8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8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u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76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wit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s. Third grad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 grade ones. Second, student participate in jazz and dancespor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participate in Korean d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dance class frequency, time, and duration. Thir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ll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Fo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health and self-display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consumption behavi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8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u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76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wit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s. Third grad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 grade ones. Second, student participate in jazz and dancespor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participate in Korean d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dance class frequency, time, and duration. Thir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ll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Fo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health and self-display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consumption behavi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중 현재 방과후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중학교를 지역별로 각 2개교씩 총 8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주 1회 이상 방과후 무용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총 273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요인과 김주희(2001)의 무용활동만족, 최윤영(2007)의 무용소비행동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활동만족이 높으며, 무용관람 및 참가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이 높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보다는 현대무용, 재즈댄스나 스포츠댄스 같은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무용수업 횟수와 시간, 기간에 따라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무용수업 횟수는 2회가, 무용수업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사이가, 무용참가 기간은 6개월 미만일 경우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셋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기술향상과 건강 그리고 성취감 요인은 무용활동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건강과 과시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중 현재 방과후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중학교를 지역별로 각 2개교씩 총 8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주 1회 이상 방과후 무용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총 273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요인과 김주희(2001)의 무용활동만족, 최윤영(2007)의 무용소비행동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활동만족이 높으며, 무용관람 및 참가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이 높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보다는 현대무용, 재즈댄스나 스포츠댄스 같은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무용수업 횟수와 시간, 기간에 따라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무용수업 횟수는 2회가, 무용수업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사이가, 무용참가 기간은 6개월 미만일 경우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셋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기술향상과 건강 그리고 성취감 요인은 무용활동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건강과 과시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강순,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무용교육 관심도와 이해도 조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 32 : 6-118, 2002

      2 이영미, "초등학교 무용특기적성 수업의 재미 촉진요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오소희, "초등학교 무용예술 강사수업의 재미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소정,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실태에 따른 만족도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박래근, "체육 특기·적성 교육 참여가 체력과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김현숙,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참가 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추구행동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20 (20): 1-20, 2010

      7 이칠성, "중학생의 방과 후 무용 활동 참여형태 및 유형에 따른 사회성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두이, "중학생의 무용수업 재미가 수업만족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9 조은숙,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교육학회 20 (20): 99-117, 2009

      10 이선영, "중학교 무용수업에 대한 대안 탐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이강순,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무용교육 관심도와 이해도 조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 32 : 6-118, 2002

      2 이영미, "초등학교 무용특기적성 수업의 재미 촉진요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 오소희, "초등학교 무용예술 강사수업의 재미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이소정, "초등학교 무용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실태에 따른 만족도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박래근, "체육 특기·적성 교육 참여가 체력과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김현숙,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참가 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무용추구행동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20 (20): 1-20, 2010

      7 이칠성, "중학생의 방과 후 무용 활동 참여형태 및 유형에 따른 사회성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두이, "중학생의 무용수업 재미가 수업만족 및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9 조은숙, "중학교 무용예술강사 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무용교육학회 20 (20): 99-117, 2009

      10 이선영, "중학교 무용수업에 대한 대안 탐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조진영, "중·고등학생의 학교 무용수업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무용활동만족 및 무용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12 유효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재미 요인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윤흥미,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 재미유발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491-506, 1996

      14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무지개사 2005

      15 서예원, "방과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에서의 무용 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교육학회 19 (19): 33-51, 2008

      16 김주희, "무용활동 참가가 무용활동 만족 및 자아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최영진, "무용학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18 김하정, "무용학원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19 정지혜, "무용수업의 재미가 수업만족과 무용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건강생활과학연구소 26 : 1-18, 2009

      20 최혜선,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21 국승희, "무용공연관람객의 공연선택 및 관람 후 행동모형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22 김수연, "무용 전공자들의 내적 동기와 무용 활동 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김정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예술상품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김영미,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과 여가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4 (44): 193-202, 2005

      25 최윤영, "관객가치 및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한 무용공연 관객개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박상룡, "개인적·사회적 심리요인이 웨딩미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27 최선,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활동 참가가 무용활동 만족 및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13 (13): 5-10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