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를 둔 초기성인 자녀의 진로결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Experiencing Different Parenting Styles on their Early Adult Children’s Career Dec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arly adulthood children having parents with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their impact on career decisions. For this reason, we distributed a parenting attitude test questionnaire,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arly adulthood children having parents with inconsistent parenting attitudes, their impact on career decisions. For this reason, we distributed a parenting attitude test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e-on-one in depth interviews with eight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who experienced a large difference in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ir mother and father and have experience in deciding their career path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re are 4 categories, 11 subcategories, and 47 core concepts across 2 areas, such as the experience of a child who grew up from a parent whose care attitude was inconsistent due to research problems, and the experience of deciding the course of a child who experienced inconsistent c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who had received inconsistent parenting ha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xperiences, which were not only negative but also positive, and concerning the parenting attitude, they had a contradictory perception for each parent. It was also found that, despite parents' inconsistent rearing attitudes, if the patents had the same opinion on the child's career problem, or if one of the parents supported the child, the child could choose and decide on the desired career. When such results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를 둔 초기성인 자녀의 경험과 그 경험이 진로결정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인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설문지...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를 둔 초기성인 자녀의 경험과 그 경험이 진로결정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본인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설문지를 배포하여 부와 모의 양육태도 점수차이가 크고 진로결정의 경험이 있는 20대 성인남녀 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통해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에게서 성장한 자녀의 경험, 불일치한 양육을 경험한 자녀의 진로결정경험과 같이 2개의 영역에 걸쳐 4개의 범주, 11개의 하위범주, 47개의 핵심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는 부모의 자녀들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경험을 하였는데, 부정적인 경험뿐 아니라긍정적인 경험도 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서는 부모 각각에 대해 상반된 지각을 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불일치하더라도 자녀의 진로문제에 있어서 부모의 의견이 같거나 부모 중 한쪽이라도자녀를 지지한다면 자녀가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논의와 함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ill, C. E.,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탐구의 실질적 접근" 학지사 2016

      2 송지영,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1 (31): 979-992, 1992

      3 임승현, "학령기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연문희, "학교상담" 양서원 2002

      5 김덕주 ; 권혁철, "특성화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부적응적 방어기제 및 만성적 지연행동과 진로미결정수준간의 관계"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587-605, 2013

      6 서경현,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07-226, 2012

      7 서석남 ; 이상구 ; 임상호,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327-333, 2012

      8 신복기 ; 이성진, "청소년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우울불안,자살 간의 관계 ―가정위탁, 양육시설, 쉼터,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4) : 281-318, 2012

      9 윤운영, "청소년기 상실 경험과 학교상담자의상실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7

      10 한유리, "질적 연구 입문" 박영스토리 2020

      1 Hill, C. E.,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 현상탐구의 실질적 접근" 학지사 2016

      2 송지영,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 :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1 (31): 979-992, 1992

      3 임승현, "학령기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온정성 및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연문희, "학교상담" 양서원 2002

      5 김덕주 ; 권혁철, "특성화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부적응적 방어기제 및 만성적 지연행동과 진로미결정수준간의 관계"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587-605, 2013

      6 서경현,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07-226, 2012

      7 서석남 ; 이상구 ; 임상호,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327-333, 2012

      8 신복기 ; 이성진, "청소년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우울불안,자살 간의 관계 ―가정위탁, 양육시설, 쉼터,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4) : 281-318, 2012

      9 윤운영, "청소년기 상실 경험과 학교상담자의상실상담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2017

      10 한유리, "질적 연구 입문" 박영스토리 2020

      11 김향란 ; 유승래 ; 손은령, "진로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2000년∼2016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75-193, 2017

      12 박경환, "직장인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가 핵심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243-264, 2011

      13 裵成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애착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6

      14 하정희 ; 정은선 ; 송수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상담학회 11 (11): 1375-1392, 2010

      15 이현숙 ; 조한익,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목표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89-105, 2004

      16 이소미,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7 정윤성,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에 따른 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이찬숙 ; 현은자, "유아의 기질, 사회적 유능감, 감성지능, 도덕성 및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9 (29): 223-238, 2008

      19 최정혜,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55-71, 2015

      20 이원영,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 발달과의 관계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3

      21 최은희, "아동학대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2002

      22 김지현,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와 진로성숙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23 박은미,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기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24 장희순,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성인진입기 인식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7 (17): 307-332, 2020

      25 윤성민, "성인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아분화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9 (19): 757-779, 2014

      26 김봉환 ; 배주연 ; 오효정 ; 윤영선 ; 제갈원,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2년~2011년)"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729-752, 2012

      27 이지연, "사회적 지원 및 성취상황에서의 부모태도가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8 (8): 691-705, 2007

      28 오은영,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웅진씽크빅 2011

      29 장은옥 ; 이승희 ; 곽수란, "부부갈등과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을 매개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23-42, 2010

      30 허정철,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504-513, 2010

      31 선혜연 ; 황매향 ; 김영빈,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직업가치 추구" 한국상담학회 8 (8): 549-563, 2007

      32 정은선 ; 조한익,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209-227, 2009

      33 노지형, "부모의 양육태도 불일치가아동의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4 (4): 1-15, 2012

      34 곽윤영,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도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35 이세경 ; 김영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이 숨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5-266, 2011

      36 김진아 ; 한귀례, "부모양육태도와 정서문제의 관계구조" 한국상담학회 15 (15): 2379-2399, 2014

      37 이창숙, "부모양육태도와 애착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38 이정숙, "부모양육태도 차이가 청소년의 자신감과 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19-337, 2016

      39 최진 ; 권호장, "부모양육태도 불일치 연구동향과 측정도구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316-324, 2016

      40 서경현 ; 유제민 ; 최신혜, "부모간 양육태도 불일치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와 행동억제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255-272, 2007

      41 이재창 ;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93-407, 2007

      42 남수현,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3 유성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대인관계 친밀감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44 이혜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5 백승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명확성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6 김은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2016

      47 박미경 ; 김은하,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07-225, 2016

      48 임은미, "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과 개입요인 탐색" 한국상담학회 12 (12): 447-466, 2011

      49 황매향 ; 조효진 ; 조윤진 ; 방지원,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675-699, 2013

      50 김영혜, "대학생의 부모-자녀 유대와 진로결정 관계에서 성취압력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1 김은영, "대학생의 나르시시즘 성향과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52 손은령 ; 이순희, "국내 진로 집단지도 및 집단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과 후속연구과제 -2001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2 (32): 129-147, 2011

      53 박영숙, "교통사고로 가족을잃은 유가족의 경험과 회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양대학교 2018

      54 Shaw, D. S.,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ronic family adversity : A longitudinal study of low-income families" 37 : 545-553, 1998

      55 Warr, P., "Work, happiness, and unhappiness" Lawrence Elbaum Associates 2007

      56 Gati, I., "Validity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questionnaire : Counselee versus career counselor perceptions" 56 : 99-113, 1996

      57 Osipow, S. H.,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Prectice-Hall 1983

      58 Symonds, P. M.,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49

      59 Frost, R. O.,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14 (14): 449-468, 1990

      60 Baumrind, D.,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abuse" 11 : 56-95, 1991

      61 Weiss, B., "Some consequences of early harsh discipline : Child aggression and maladaptiv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163 : 1321-1335, 1992

      62 Parker, G., "Reported parental characteristics of agoraphobia and social phobias" 135 : 555-560, 1979

      63 Strauser, D. R., "Psychological well-being : its relation to work personality,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thoughts" 142 (142): 21-35, 2008

      64 Rapee, R. M., "Potential role of childrearing practices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17 : 47-67, 1997

      65 Flett, G. L., "Perfectionism and parental authority styles" 51 (51): 50-60, 1995

      66 Hudson, J. L.,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anxiety disorders : An observation study" 39 (39): 1411-1427, 2001

      67 Grolnick, W. S., "Parent Sty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ompetence in School" 8 (8): 143-154, 1989

      68 Emery, R. E., "Marriage,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Vol. 14)" Sage Publications 1999

      69 Emery, R. E., "Interparental conflict and the children of discord and divorce" 92 : 310-330, 1982

      70 Rohner, R. P., "Handbooks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Centre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1991

      71 Aquilino, W. S., "From adolescent to young adult : A prospective study of parent-child relation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59 : 670-686, 1997

      72 Tolbert, E. 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Houghton Mifflin Company 1980

      73 Becker, W. C.,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1 (1): 169-208, 1964

      74 Hill, C. 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An Update" 52 (52): 196-205, 2005

      75 Shaw, D. S., "Chronic family ad versity and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ms : A longitudinal study of low income families" 37 : 545-553, 1994

      76 Grych, J. H., "Children's Appraisals of Marital Conflict : Initial Investigations of the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64 (64): 215-230, 1993

      77 Katz, L. G., "Child-rearing disagreements" 63 : 170-, 1988

      78 Coe, W. C., "Challenges of personal adjustment" Rinehart Press 1972

      79 Crites, J. O.,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McGraw-Hill 1981

      80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 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 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81 Tschann, J. M., "Assessing interparental conflict : Reports of parents and adolescents in European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 families" 61 (61): 269-283, 1999

      82 Mills, R. S. L., "Are behavioral control and psychological control both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childhood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30 : 132-136, 1998

      83 Gamsa, A., "A note on a modification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60 (60): 291-294, 1987

      84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85 Schaefer, E. S.,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59 : 226-384, 1959

      86 Parker G.,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52 : 1-10,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4-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발달지원학회 -> 한국발달지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