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입지가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를 사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9738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33.33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Location on the Apartment Housing Price.: In the Case of Dankook University Jukjeon Campus

      • 형태사항

        vii,79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병량
        참고문헌: p.74-77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급속한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소득 증가가 지속되면서 국민들의 주거에 대한 관점도 서서히 변해왔다. 즉 1970년대에는 도심에 근접한 지역을 선호했으며, 1980년대 초반부터는 교통조건이나 교육환경이 좋은 곳 그리고 대단위 아파트 등이 주택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 후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이르러서는 공공편익시설에의 접근성과 교통의 편리성과 같은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택의 가치는 주택이 어느 지역에 입지해 있는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서 주택의 가격은 주택 자체의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가 커지게 되었고, 이러한 사실은 유사한 물리적, 입지적 특성을 가진 주택임에도 불구하고 그 주택이 입지한 지역의 차별적인 근린특성이 주택가격 결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주택이 입지한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특성 등이 주택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 서울시 내에서 죽전지역으로 이전한 단국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헤도닉가격결정모형으로 추정해 본 바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로 설정되었던 대학이 입지한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질수록 아파트가격에 부(-)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회귀모형의 추정에 의한 검증을 통해 채택될 수 있었는데, 이 때 대학까지의 거리변수는 가격결정함수모형에서 -.134로 추정되었으며 유의확률은 .05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지역그룹별 분석을 통해 캠퍼스 인접지역엔 영향력이 있으나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진 지역엔 영향력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대학 캠퍼스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교 인접지역 일부에 국한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학 입지가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학이라는 환경적 요소가 가지는 경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삶의 질적 수준의 증대와 대학 및 근린환경 요소의 경제적 가치를 증명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도시계획의 기본방향 설정에 참고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급속한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소득 증가가 지속되면서 국민들의 주거에 대한 관점도 서서히 변해왔다. 즉 1970년대에는 도심에 근접한 지역을 선...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급속한 도시화?산업화로 인해 소득 증가가 지속되면서 국민들의 주거에 대한 관점도 서서히 변해왔다. 즉 1970년대에는 도심에 근접한 지역을 선호했으며, 1980년대 초반부터는 교통조건이나 교육환경이 좋은 곳 그리고 대단위 아파트 등이 주택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그 후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이르러서는 공공편익시설에의 접근성과 교통의 편리성과 같은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택의 가치는 주택이 어느 지역에 입지해 있는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서 주택의 가격은 주택 자체의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됨을 의미한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욕구가 커지게 되었고, 이러한 사실은 유사한 물리적, 입지적 특성을 가진 주택임에도 불구하고 그 주택이 입지한 지역의 차별적인 근린특성이 주택가격 결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주택이 입지한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특성 등이 주택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에 서울시 내에서 죽전지역으로 이전한 단국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헤도닉가격결정모형으로 추정해 본 바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로 설정되었던 대학이 입지한 지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질수록 아파트가격에 부(-)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회귀모형의 추정에 의한 검증을 통해 채택될 수 있었는데, 이 때 대학까지의 거리변수는 가격결정함수모형에서 -.134로 추정되었으며 유의확률은 .05이하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지역그룹별 분석을 통해 캠퍼스 인접지역엔 영향력이 있으나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진 지역엔 영향력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대학 캠퍼스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학교 인접지역 일부에 국한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를 중심으로 대학 입지가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학이라는 환경적 요소가 가지는 경제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삶의 질적 수준의 증대와 대학 및 근린환경 요소의 경제적 가치를 증명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도시계획의 기본방향 설정에 참고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keep the increase of the income by continued high growth,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namely the point of view about housing slowly changed. To 70's it preferred the proximate area from city center and to opening 80's the profitable place for the traffic condition or education environment and large unit apartment operate the element which is important. When it follows in survey, it more rise in interest about circumference environment like the proximity of public convenient facility and the traffic convenience latter half 80's until 90's.
      The value of residence is affected by which area is it located. It says again, the price of house is not decided on only the physical element of residential form itself but also the various element which compose the house environment. It more rise in interest about the quality of life because of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simultaneously the desire has increased about the quality improvement, like this fact means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have not a little influence on the residence price decision, in spite of the house where has similar phys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Exactly, the soci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etc. of the area where the house located have a discriminative influence on the residence pr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bout on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location on the apartment price through the case of Dankook University where this university campus recently removed from in Seoul City to Jukjeon area, as sell through the Hedonic Price Function, and the main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 supposition that the more it become distant from university location, its work as negative attribute to apartment price, built up as a research hypothesis, adopted through the inspection by presumption of regression model, at this time the distance variable to university is supposed to be -.134 in the price determination functional model, mean difference was less than 0.05,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is variable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rough the analysis by regional groups,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nfluenced to neighbor region of campus, but it was not really working to the region at a distance. It means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campus location on the apartment price determined on the only partial neighbor region of university.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performed through means of the scientific verification, especially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nfluences of the area centering around Dankook University Jukjeon Campus on the price of apartment in the neighborhood, the economic value hel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iversity could be confirmed. With these works,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 economic value of neighbor university and of its environmental factors were verified. Thus, it is believ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served as a reference when devising a urban planning, especially initiated by public organizations, to rejuvenate the regional economy or when setting the basic frame work for th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번역하기

      In korea keep the increase of the income by continued high growth,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namely the point of view about housing slowly changed. To 70's it preferred the proximate area from city center and to opening 80's the profita...

      In korea keep the increase of the income by continued high growth,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alization, namely the point of view about housing slowly changed. To 70's it preferred the proximate area from city center and to opening 80's the profitable place for the traffic condition or education environment and large unit apartment operate the element which is important. When it follows in survey, it more rise in interest about circumference environment like the proximity of public convenient facility and the traffic convenience latter half 80's until 90's.
      The value of residence is affected by which area is it located. It says again, the price of house is not decided on only the physical element of residential form itself but also the various element which compose the house environment. It more rise in interest about the quality of life because of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simultaneously the desire has increased about the quality improvement, like this fact means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have not a little influence on the residence price decision, in spite of the house where has similar phys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Exactly, the social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etc. of the area where the house located have a discriminative influence on the residence pr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bout on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location on the apartment price through the case of Dankook University where this university campus recently removed from in Seoul City to Jukjeon area, as sell through the Hedonic Price Function, and the main analysis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the supposition that the more it become distant from university location, its work as negative attribute to apartment price, built up as a research hypothesis, adopted through the inspection by presumption of regression model, at this time the distance variable to university is supposed to be -.134 in the price determination functional model, mean difference was less than 0.05,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is variable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rough the analysis by regional groups, the result is as follows, it influenced to neighbor region of campus, but it was not really working to the region at a distance. It means the effect of the university campus location on the apartment price determined on the only partial neighbor region of university.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performed through means of the scientific verification, especially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nfluences of the area centering around Dankook University Jukjeon Campus on the price of apartment in the neighborhood, the economic value hel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iversity could be confirmed. With these works,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the economic value of neighbor university and of its environmental factors were verified. Thus, it is believ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served as a reference when devising a urban planning, especially initiated by public organizations, to rejuvenate the regional economy or when setting the basic frame work for th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2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2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1. 연구의 범위 = 3
      • 2. 연구의 방법 = 5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8
      • 제1절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특성 = 8
      • 1. 대학 캠퍼스의 개념 = 8
      • 2. 대학의 기능 및 시설 = 9
      • 3. 대학 캠퍼스의 역할 = 14
      • 제2절 대학과 도시발전의 이론 = 17
      • 1. 대학과 도시의 관계 = 17
      • 2. 대학이 도시발전에 미치는 영향 = 18
      • 제3절 주택의 특성 및 주택가격 = 27
      • 1. 주택의 특성 및 가격 = 27
      • 2. 주택가격 결정 이론 = 29
      • 3. 아파트가격의 결정 요인 = 37
      • 제4절 선행연구 = 41
      • 제3장 실증분석의 틀 = 45
      • 제1절 분석의 개요 = 45
      • 1. 연구 대상지 현황 = 45
      • 2. 대학 주변지역 아파트 현황 = 47
      • 제2절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 49
      • 1. 연구가설의 설정 = 49
      • 2. 분석모형의 설정 = 50
      • 3. 변수의 설정 = 51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 55
      • 제1절 기초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 55
      • 1. 기초통계 분석 = 55
      • 2.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 57
      • 제2절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의 영향력 분석 = 61
      • 1. 대상지 전체에 대한 분석 = 61
      • 2. 지역그룹별 분석 = 64
      • 제5장 결론 = 70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70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 72
      • 참고문헌 = 74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