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쓰기 피드백 연구 동향과 과제 = Research Trends of written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4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studies in written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from 2000 to 2021. A total of 10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type, object, proficiency, subject, feedback type, writing stage, and research sub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ies of written feedback account for a small proportion of writing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ntermediate learners from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dditionally, since research on explicit written feedback centered on teachers has been conducted in the post-writing stage, so the necessity for feedback study reflecting process-oriented writing has been confirmed. Furthermore, feedback manuals and related case studies are needed, and continuous research on online feedback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improvement in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and inform the direction of future written feedback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studies in written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from 2000 to 2021. A total of 10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type, object, proficiency, subject, feed...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studies in written feedbac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from 2000 to 2021. A total of 10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type, object, proficiency, subject, feedback type, writing stage, and research sub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ies of written feedback account for a small proportion of writing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ntermediate learners from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dditionally, since research on explicit written feedback centered on teachers has been conducted in the post-writing stage, so the necessity for feedback study reflecting process-oriented writing has been confirmed. Furthermore, feedback manuals and related case studies are needed, and continuous research on online feedback a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improvement in the writ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and inform the direction of future written feedback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어 교육 연구 중 쓰기 피드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01편을 대상으로 연도별·유형별, 대상별·숙달도별·주체별, 피드백 종류별, 제시 단계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 분야의 쓰기 관련 연구에서 피드백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그리 높지 않으며, 대학 부설 기관의 학습자나 학부 유학생 중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쓰기 후 단계에서 교사 중심의 명시적 서면 피드백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과정 중심 쓰기를 반영한 피드백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피드백 지침서나 이에 대한 사례 연구 등이 필요하고 온라인 피드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위한 기초 연구로 삼고, 향후 피드백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어 교육 연구 중 쓰기 피드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01편을 대상으로 연도별·유형별, 대상별·숙달도별·주체별, 피드�...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어 교육 연구 중 쓰기 피드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01편을 대상으로 연도별·유형별, 대상별·숙달도별·주체별, 피드백 종류별, 제시 단계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교육 분야의 쓰기 관련 연구에서 피드백 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그리 높지 않으며, 대학 부설 기관의 학습자나 학부 유학생 중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쓰기 후 단계에서 교사 중심의 명시적 서면 피드백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과정 중심 쓰기를 반영한 피드백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피드백 지침서나 이에 대한 사례 연구 등이 필요하고 온라인 피드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위한 기초 연구로 삼고, 향후 피드백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56) : 314-339, 2014

      2 안연진,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개선을 위한 재형태와 피드백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 2020

      3 박인애, "한국어 학습자간 피드백 활용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김은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바일 메신저 기반 교정 피드백 연구" 연세대학교 2020

      5 김선정, "한국어 표현 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6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7 김성숙, "한국어 작문과정 모형과 단계별 전략 탐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1-47, 2007

      8 조윤경, "한국어 쓰기에 있어서의 오류일지의 효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21-248, 2007

      9 나원주,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 개발 연구: 메타 분석과 실천적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9

      10 곽혜윤,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개별 채점 특성 피드백의 효과 연구: 미숙련 채점자들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2017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피드백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56) : 314-339, 2014

      2 안연진,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개선을 위한 재형태와 피드백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 2020

      3 박인애, "한국어 학습자간 피드백 활용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김은혜,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바일 메신저 기반 교정 피드백 연구" 연세대학교 2020

      5 김선정, "한국어 표현 교육론" 형설출판사 2010

      6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7 김성숙, "한국어 작문과정 모형과 단계별 전략 탐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1-47, 2007

      8 조윤경, "한국어 쓰기에 있어서의 오류일지의 효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21-248, 2007

      9 나원주, "한국어 쓰기 피드백 지침서 개발 연구: 메타 분석과 실천적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9

      10 곽혜윤,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개별 채점 특성 피드백의 효과 연구: 미숙련 채점자들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2017

      11 김호정, "한국어 쓰기 교육의 원리와 교육 방안 탐색" 국어교육학회 (30) : 233-260, 2007

      12 동동,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교사 피드백 효과 연구 : 중국인 학습자 쓰기의 내용 및 형태 정확성 향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6

      13 백재파,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우리말학회 (44) : 251-281, 2016

      14 공유정,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상급자의 피드백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5

      15 서수정,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 방안 연구: 평가 질문지 구성 및 활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20

      16 최은지, "한국어 쓰기 교육론" 도서출판 하우 2019

      17 강승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1 : 1-35, 2014

      18 장훙롄, "한국어 쓰기 교수에서의 피드백의 양상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16

      19 박영지, "한국어 쓰기 과정에서의 동료 피드백 선행 교육 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배외순, "한국어 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효과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21 홍정호, "한국어 문장 쓰기 교육에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삽화 자동생성 모델 연구" 상명대학교 2019

      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14

      23 명민경, "한국어 과정 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교사 피드백 효율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백수혜,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웹 기반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 모형 설계 연구 - 자기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123-151, 2021

      25 이윤진, "학부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의 교사 피드백 연구 - 연세대학교의 ‘Beginning Korean Writing’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01-724, 2016

      26 김은정, "학문목적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수자의 첨삭 피드백 유형 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231-260, 2019

      27 서아람,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33 (33): 83-119, 2019

      28 이진주, "특정 항목을 대상으로 한 집중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29 교육부,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30 김수영,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화일지 쓰기 효용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31 최수원, "중급 한국어 쓰기에서 자가 점검식 주석 피드백의 효용성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2 이주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3 조용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의 동향" 한말연구학회 (31) : 309-339, 2012

      34 이수미, "재형태화 피드백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5 안연진, "재형태화 피드백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133-157, 2019

      36 황은하,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대화일지 쓰기 사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221-247, 2014

      37 김남미, "자기 글 읽기를 통한 작문 능력 신장 방안- 재외국민 학습자글에 대한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311-340, 2018

      38 신혜순,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 온라인 피드백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9 정혜란, "이메일을 통한 수정적 피드백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40 박영근,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맥 기반 실시간 국어 문장 교정" 한국정보과학회 44 (44): 1087-1093, 2017

      41 김경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쓰기 교육에서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모형 설계 연구" 동국대학교 2021

      42 박진철,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의 동료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 연구 - Zoom을 활용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9 : 181-200, 2020

      43 조영란, "온·오프라인 통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해외 국제학교의 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44 부수현, "오류일지와 다시 쓰기가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5 박선진, "언어 장벽을 경험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피드백 기반 수업의 활용"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9-142, 2018

      46 서정민, "쓰기 전 단계에서의 교사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2015

      47 장지영, "실시간 피드백을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405-433, 2020

      48 심윤진, "서면 피드백에 대한 현장 한국어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 (28): 141-171, 2017

      49 권유진, "모둠별 피드백 제공 훈련이 한국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50 동동, "면담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내용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100) : 175-208, 2014

      51 동동,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223-254, 2015

      52 이지용, "동료 평가가 한국어 작문에 미치는 영향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어문학회 39 : 91-121, 2008

      53 서효원, "대화주의 접근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작문 지도 연구: 단계별 첨삭 지도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20

      54 노혜남, "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5 김성숙, "내·외국인 학생 간의 작문 수정 결과 비교" 국어국문학회 (153) : 377-416, 2009

      56 정현정, "교사의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15

      57 김세영, "교사 피드백 후 학습자의 다시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58 김정애,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교육 방안 : 피드백을 이용한 다시 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9 주지현,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60 유영, "과정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전남대학교 2015

      61 Andrew Sangpil Byon, "고급 KFL 학습자 작문 교육에 관한 연구: “학습자 간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299-325, 2005

      62 박은성, "Learners' Perception of Indirect Written Feedback and Its Impact on Their Classroom Performance" 이중언어학회 (41) : 179-207, 2009

      63 Sheen, Y., "Corrective feedback, individual difference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Springer 2011

      64 Ellis, R., "A typology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types" 63 (63): 97-10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