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석기조성으로 본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변동과 의미 = Changes and Meaning of Livelihood style in Neolithic Reviewed by Stonetool composition rat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3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양상과 변화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를 분류하고, 시기적으로 도구 현황과 석기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생업경제는 크게 3단계로 구분되었다. 1단계에는 초창기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수렵과 채집을 통해 자연에서 식료를 획득하였다. 즉 홀로세 기후환경 변화에 맞추어 ‘수렵채집경제 : 새로운 획득경제의 적응’으로 나아갔다. 2단계는 조~전기로 이전 시기의 수렵과 채집에 초기농경과 어로가 추가된 혼합경제가 이루어졌다. 세부적으로 지역 환경과 시기에 따라 수렵과 채집, 어로와 농경 등의 생업 비중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생업 양상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이 단계는 낮은 수준의 식료생산경제로의 변화를 가지는 ‘혼합경제Ⅰ: 혼합경제의 도입과 적응’이라 할 수 있다. 3단계는 중서부지역에 자리한 집단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중기와 확산 이후 사회 전반에 잡곡농경이 정착화되고 지역성이 생성되는 후기이다. 생업경제는 잡곡농경을 기본으로 하고 어로와 채집, 수렵이 보조하는 ‘혼합경제Ⅱ : 혼합경제의 확산(남하)과 고착화’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석기시대의 생업경제의 현상과 변화의 동인은 기후 변동 및 초기농경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인구증감에 따른 공간점유압박(전염병 등) 및 내부결속도 등 다양한 가능성을 들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한국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양상과 변화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를 분류하고, 시기적으로 도구 현황과 석기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생...

      본고에서는 한국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의 양상과 변화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를 분류하고, 시기적으로 도구 현황과 석기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석기시대 생업경제는 크게 3단계로 구분되었다. 1단계에는 초창기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수렵과 채집을 통해 자연에서 식료를 획득하였다. 즉 홀로세 기후환경 변화에 맞추어 ‘수렵채집경제 : 새로운 획득경제의 적응’으로 나아갔다. 2단계는 조~전기로 이전 시기의 수렵과 채집에 초기농경과 어로가 추가된 혼합경제가 이루어졌다. 세부적으로 지역 환경과 시기에 따라 수렵과 채집, 어로와 농경 등의 생업 비중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반적인 생업 양상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이 단계는 낮은 수준의 식료생산경제로의 변화를 가지는 ‘혼합경제Ⅰ: 혼합경제의 도입과 적응’이라 할 수 있다. 3단계는 중서부지역에 자리한 집단의 확산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중기와 확산 이후 사회 전반에 잡곡농경이 정착화되고 지역성이 생성되는 후기이다. 생업경제는 잡곡농경을 기본으로 하고 어로와 채집, 수렵이 보조하는 ‘혼합경제Ⅱ : 혼합경제의 확산(남하)과 고착화’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석기시대의 생업경제의 현상과 변화의 동인은 기후 변동 및 초기농경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인구증감에 따른 공간점유압박(전염병 등) 및 내부결속도 등 다양한 가능성을 들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상영, "홀로세 온난기와 신석기시대 조 전기 사회변화" 한국신석기학회 84-94, 2020

      2 김건수, "호남지방의 신석기시대 생업" 호남고고학회 7 : 29-40, 1998

      3 소상영, "한반도 신석기시대 인구변동-방사선 탄소연대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71-79, 2021

      4 길경택, "한국선사시대의 농경과 농구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7) : 89-129, 1985

      5 윤혜나, "한국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의 석기조성과 생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임상택, "한국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연구 : 문화변동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윤정국, "한국 신석기시대 석기제작과 체계" 학연문화사 2020

      8 윤정국, "한국 신석기시대 석기제작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15

      9 임상택,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에 대한 초보적 검토Ⅰ-석기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창간) : 2000

      10 류리 천싱찬, "중국고고학-구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1 소상영, "홀로세 온난기와 신석기시대 조 전기 사회변화" 한국신석기학회 84-94, 2020

      2 김건수, "호남지방의 신석기시대 생업" 호남고고학회 7 : 29-40, 1998

      3 소상영, "한반도 신석기시대 인구변동-방사선 탄소연대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71-79, 2021

      4 길경택, "한국선사시대의 농경과 농구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7) : 89-129, 1985

      5 윤혜나, "한국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의 석기조성과 생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6 임상택, "한국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문화 연구 : 문화변동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윤정국, "한국 신석기시대 석기제작과 체계" 학연문화사 2020

      8 윤정국, "한국 신석기시대 석기제작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15

      9 임상택,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에 대한 초보적 검토Ⅰ-석기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창간) : 2000

      10 류리 천싱찬, "중국고고학-구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11 包艶玲, "중국 교동반도와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생업활동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2 하부 준코, "일본 조몬 고고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13 송은숙, "이주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38-53, 2010

      14 신숙정, "우리나라 남해안지방의 신석기문화 연구-동삼동 김해 남해도서지방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1994

      15 이기길,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주민들의 생계유형-암사동 동삼동 오산리 유적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 (7) : 5-45, 1991

      16 하인수, "영남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 연구 : 편년과 생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7 신종환, "신석기시대의 어로문화" 2006

      18 김은영, "신석기시대 후-말기 사회 변동과 고기후" 한국신석기학회 95-105, 2020

      19 박준범,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생업활동-석기분석을 중심으로-" 111-128, 2007

      20 유지인, "신석기시대 중 후기 중서부 해안지역 취락의 석기조성 양상" 2012

      21 중앙문화재연구원, "신석기시대 석기집성" 진인진 2016

      22 박근태, "신석기시대 석기의 용어와 분류" 한국신석기학회 2014

      23 박성근, "신석기시대 석기론" 진인진 220-249, 2016

      24 구자진, "신석기시대 마을의 변화를 통해 본 위기와 대응-중서부지역의 중~후기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3-20, 2021

      25 김영준, "신석기시대 뗀석기 기술과 생업활동 : 한강 유역 주거지 유적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2020

      26 하인수, "신석기시대 도구론" 진인진 2017

      27 최종혁, "신석기시대 남부지방 생업에 대한 연구" 2004

      28 윤정국,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변천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65 : 4-37, 2020

      29 성춘택, "수렵채집사회의 인구구성, 공간구조와 후기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 초의 인구등락" 중부고고학회 41-68, 2021

      30 최종혁, "생산활동에서 본 한반도 신석기문화-중서부지방과 동북지방의 패총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신석기학회 (2) : 2001

      31 이상규,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 어로문화 변동과정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2020

      32 김민구, "농업의 고고학" 사회평론 15-32, 2013

      33 안성희,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조성과 시기별 양상" 한국고고학회 2011

      34 한국신석기학회, "기후변화와 신석기시대 문화변동" 한국신석기학회 2020

      35 임상택, "교류와 교통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41-50, 2019

      36 이정재, "강원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생업경제에 대한 연구 : 석기조성과 그 변천을 중심으로"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09

      37 신종환, "韓國 新石器時代 社會 文化相 硏究" 경북대학교대학원 2018

      38 최종혁, "韓國 南部地方 農耕에 대한 硏究-石器組成을 中心으로-" 한국신석기학회 (10) : 2005

      39 조은하, "江原 嶺東地域 新石器時代 農耕 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40 윤정국, "南部內陸地域 新石器時代 石器의 변천과 양상" 한국신석기학회 (22) : 57-92, 2011

      41 안승모,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Ⅰ考古學篇" 一志社 717-732, 1987

      42 김민구, "[비평논문] 탄소연대를 이용한 신석기시대 인구변화 복원: 방법론적 고찰" 한국고고학회 2021 (2021): 289-307,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