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운동중도탈락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는 대부분 ...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운동중도탈락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는 대부분 초등학교 때부터 본격적인 선수활동을 시작하고 있었으며, 입문의 계기는 스스로 흥미를 갖고 선수생활 시작하는 경우, 지도자 또는 부모님의 권유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가 운동중도탈락에 대해 고민하는 경우는 갑작스러운 부상, 경기력 저하, 불확실한 미래 등에 의해 나타났다. 셋째,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운동중도탈락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은 새로운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체육 관련단체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 선수들이 상담할 수 있는 공간 및 제도 마련, 지도자, 부모님과 충분히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조정기간, 심리 및 체육관련 등의 전문가들이 해결방안을 조언해 줄 수 있는 여건 마련, 태권도와 관련된 직업군에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태권도의 다양한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 제공, 학생운동선수들의 폭 넓은 진로방향을 위한 기초 학습권 보장 및 무리한 훈련 및 시합 출전은 자제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