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의 직업유지와 대인적 지지 필요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직업유지와 대인적 지지 필요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제1차년도(2...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직업유지와 대인적 지지 필요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제1차년도(2008년)에서 제7차년도(2014년)까지의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장애인 3,225명을 추출하여 SPS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유지상태의 변화와 생활만족도 간을 동태적으로 살펴본 결과, 지속적으로 직업을 유지한 경우와 미취업에서 취업으로 전환된 경우에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적 지지 필요의 상태변화를 동태적으로 살펴본 결과, 장애인들은 지속적으로 도움이 필요 없는 경우와 과거에 도움이 필요했다가 현재 도움이 필요 없게 전환된 경우에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유지와 대인적 지지 필요의 종단적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동태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atus change of employment and interpersonal support need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For the study, 3,225 data derived from the 1st wave and the 7th wave data providing at K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atus change of employment and interpersonal support need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For the study, 3,225 data derived from the 1st wave and the 7th wave data providing a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SPSS program was used. The result was as follows. (1) Employment"s maintenance and employment"s status change from non-employment status to employment status were positively effected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2) Status change of interpersonal support need was positively effected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in case interpersonal support need was non-support continuously and interpersonal support need was changed from support status to non-support statu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discovering whether there are any influences of longitudinal status change of employment and interpersonal support need on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pos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r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논의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 눈에 보는 2015년 장애인 통계"

      2 김규석, "하타 요가(Hatha-Yoga) 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3 김광자,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진숙,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제적 지원과 욕구기반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2) : 25-46, 2013

      5 류호경, "척수장애인 삶의 질 측정척도 개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순옥,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우선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8 신은경, "지체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159-184, 2008

      9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10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43-367, 2009

      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 눈에 보는 2015년 장애인 통계"

      2 김규석, "하타 요가(Hatha-Yoga) 수련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3 김광자,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진숙,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지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경제적 지원과 욕구기반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2) : 25-46, 2013

      5 류호경, "척수장애인 삶의 질 측정척도 개발"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순옥,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4

      7 우선미, "지체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8 신은경, "지체장애인의 고용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159-184, 2008

      9 박현숙,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55-76, 2013

      10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43-367, 2009

      11 박용순, "중장년층 장애인의 정규직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 성별과 장애정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113-137, 2012

      12 송진영, "중년 남성의 다중역할 몰입,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9

      13 백은령, "중·노년 지체장애인 실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학회 7 (7): 71-104, 2009

      14 박창현, "정신지체 청소년의 여가참여와 여가만족도 및 생활 만족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15 신은경, "장애인의 일상생활·취업준비·일자리에서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269-292, 2015

      16 최병일, "장애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9 : 141-163, 2015

      17 이종남, "장애인의 양육부담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 2 (2): 51-70, 2012

      18 신승배,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285-312, 2009

      19 권육상, "장애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5

      20 임수정,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만족 요인에 관한 인과관계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115-142, 2011

      21 오세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삶의 질 비교연구 : 정신지체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0 (10): 38-62, 2006

      22 김호진, "장애인고용패널 자료에서의 비교가능성 증대 방안 - 일자리와 일상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실증분석을" 1-23, 2011

      23 이한나,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수준, 박탈경험, 고립감 및 생활만족도 연구 - 서울복지패널을 이용한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6 (16): 1-23, 2012

      24 손정녀, "장애인 직업재활 참여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2015

      25 윤재영, "장애인 자립생활의 의미와 측정 : 자립생활센터 이용장애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26 박준성,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업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167-186, 2011

      27 고용노동부,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28 이영미, "장애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 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1-16, 2011

      29 송진영, "장애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과 노후준비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13) : 21-45, 2014

      30 김성진,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317-334, 2010

      31 이영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창지사 2014

      32 류시문,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33 김연정, "여성 암환자의 외상후성장 구조 모형 구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4 김근홍,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학현사 2005

      35 이중섭, "빈곤 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광주광역시 기초생활수급 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79-105, 2009

      36 김경애, "맞벌이 부부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43-168, 2010

      37 오미희, "도시주부의 대인적 지지, 생활긴장감 및 만족감" 16 (16): 83-105, 1998

      38 최영상,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39 노승현, "노화에 따른 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구축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7

      40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24, 2009

      41 장현, "노인 생활만족도에 관한 시간적 차원의 연구" 16 (16): 137-150, 1996

      42 송미영,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143-155, 2011

      43 박주영,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44 정형진, "障碍人再活서비스의 生活滿足度 영향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2010

      45 House, J. 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ion-Wesley 1981

      46 Powdthavee, N., "What Happens to People after Moderate and Serious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Satisfaction with Different Areas of Life" University of York. 2008

      47 Stevenson, M. I., "Vital defenses: Social support appraisals of black grandmothers parenting grandchildren" 28 : 182-211, 2007

      48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Russell Sage Foundation 13-17, 1976

      49 Bardasi, E., "The impact of atypical employment on individual wellbeing: Evidence from a panel of British workers" 58 : 1671-1688, 2004

      50 Gollob, H. F., "Taking account of time lags in casual models" 58 (58): 80-92, 1987

      51 Krause, N, "Stressful Event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Men and Women" 46 (46): 84-92, 1991

      52 Liang, J, "Sex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36 (36): 85-89, 1982

      53 Collet, J, "Sex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ustralian Data" 39 : 243-245, 1984

      54 Beckles, M. B., "Poverty and Disabiity: Advocating to Eliminate Social Exclusion" National Cent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rinidad and Tobago 2004

      55 Amstrong, M.,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What we know" 14 (14): 269-281, 2005

      56 Clover, A,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Studies of Disabled Children" 18 (18): 423-426, 2008

      57 Hillman, K., "Life Satisafaction of Young Australians : Relationships between Further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and Genereal and Career Satifaction" Australian Council for Ecucational Research 2005

      58 Miller,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ultiple sclerosis: The impact of disability,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15 : 259-271, 2006

      59 Warren, L,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a sample of persons with neurotrauma" 33 (33): 404-408, 1996

      60 Chatfield, S. W,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Aged" 32 (32): 593-599, 1977

      61 Thoren-Jonsson, A. L., "Distress in everyday life in people with poliomyelitis sequela" 33 (33): 119-127, 2001

      62 Park, C. L.,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64 : 71-105, 1996

      6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0 기업체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