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관계의 질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Relationship Quality Scale in the armed forces for the Military Sold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82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the Military i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issues. A new measure of soldiers’ relationship quality in the armed forces can help their future research for adjustment in the military. Relationship Quality Scales in the armed forces for the Military Soldiers (RQS-MS)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military, which i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adjustment during military service. Initial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work-alliance and social network, interviews with soldiers, and consultation with commander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sample 1(N=400) and sample 2(N=269). 3 domains of ‘bond’, ‘unity’ and ‘autonomy’ were identified for the subscale ‘Commander-Soldier Relationship Scale’ and 2 domains of ‘bond’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the subscale ‘Soldier-Soldier Relationship Scale’ were identified by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were subsequently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eries of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the two separate samples, including assessment of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RQS-MS demonstrates adequat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ppears well suited for use in further studies related to soldiers’ adjustment and well-being.
      번역하기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the Military i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issues. A new measure of soldiers’ relationship quality in the armed forces can help their future research for adjustment in the military. Relationship Quality Scales in t...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the Military i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issues. A new measure of soldiers’ relationship quality in the armed forces can help their future research for adjustment in the military. Relationship Quality Scales in the armed forces for the Military Soldiers (RQS-MS)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military, which i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adjustment during military service. Initial items were gener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 work-alliance and social network, interviews with soldiers, and consultation with commander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sample 1(N=400) and sample 2(N=269). 3 domains of ‘bond’, ‘unity’ and ‘autonomy’ were identified for the subscale ‘Commander-Soldier Relationship Scale’ and 2 domains of ‘bond’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the subscale ‘Soldier-Soldier Relationship Scale’ were identified by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were subsequently confi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eries of validation was performed with the two separate samples, including assessment of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RQS-MS demonstrates adequat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appears well suited for use in further studies related to soldiers’ adjustment and well-be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개인의 심리적 적응은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되므로, 군에서의 맺고 있는 대인관계의 질에관한 척도를 마련하는 것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및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들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선행과제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관계의 질 척도(Relationship Quality Scales in the armed forces for the Military Soldiers; RQS-MS)는 복무 중 군 생활 만족및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대인관계의 질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업동맹 및 사회관계망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군 장병들과의 면담, 그리고 지휘관 자문 등을토대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으며, 표본 1(N=400)과 표본 2(N=269)로부터 각각 자료를 수집하고분석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지휘관-병사 관계의 질 소척도’에서는 ‘유대’, ‘단결’, ‘자율’의 3개 하위요인이, ‘병사-병사 관계의 질 소척도’에서는 ‘유대’과 ‘관계만족’의2개 하위요인이 추출되고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을 통한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타당도 평가를통해 각 소척도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관계의질 척도가 강건한 심리측정적 특성을 보여주며, 군 복무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및 심리적 건강에대한 후속 연구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개인의 심리적 적응은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되므로, 군에서의 맺고 있는 대인관계의 질에관한 척도를 마련하는 것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및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들을 위해서 무엇보...

      개인의 심리적 적응은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되므로, 군에서의 맺고 있는 대인관계의 질에관한 척도를 마련하는 것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및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들을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선행과제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관계의 질 척도(Relationship Quality Scales in the armed forces for the Military Soldiers; RQS-MS)는 복무 중 군 생활 만족및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대인관계의 질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작업동맹 및 사회관계망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군 장병들과의 면담, 그리고 지휘관 자문 등을토대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으며, 표본 1(N=400)과 표본 2(N=269)로부터 각각 자료를 수집하고분석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지휘관-병사 관계의 질 소척도’에서는 ‘유대’, ‘단결’, ‘자율’의 3개 하위요인이, ‘병사-병사 관계의 질 소척도’에서는 ‘유대’과 ‘관계만족’의2개 하위요인이 추출되고 확인되었다. 신뢰도 분석을 통한 척도의 내적 일치도와 타당도 평가를통해 각 소척도의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병사가 지각하는 부대 내 관계의질 척도가 강건한 심리측정적 특성을 보여주며, 군 복무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 및 심리적 건강에대한 후속 연구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화,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2 정성모,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장병의 군복무 부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2016

      3 장정기,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군 생활 적응간의 구조관계적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회 7 (7): 97-125, 2014

      4 최영희, "한국판 청소년또래애착 척도 타당화 연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273-296, 2012

      5 윤민재,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자살사고에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165-193, 2008

      6 양정연,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1263-1296, 2020

      7 고현종, "지휘관의 윤리적 리더십이 개인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의 조절효과" 화랑대연구소 76 (76): 143-168, 2020

      8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3 (23): 155-170, 2003

      9 김윤성,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2003

      10 한국경제, "작년 軍 현역 복무 부적합 전역자 6200명 넘어…정신질환 등 심리적요인이 80%"

      1 이명화,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2 정성모, "현역복무 부적합 전역장병의 군복무 부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2016

      3 장정기,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군 생활 적응간의 구조관계적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회 7 (7): 97-125, 2014

      4 최영희, "한국판 청소년또래애착 척도 타당화 연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273-296, 2012

      5 윤민재,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자살사고에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165-193, 2008

      6 양정연, "집단상담 작업동맹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1263-1296, 2020

      7 고현종, "지휘관의 윤리적 리더십이 개인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의 조절효과" 화랑대연구소 76 (76): 143-168, 2020

      8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3 (23): 155-170, 2003

      9 김윤성,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2003

      10 한국경제, "작년 軍 현역 복무 부적합 전역자 6200명 넘어…정신질환 등 심리적요인이 80%"

      11 정은경,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군 생활 만족도가 제대 군인의 군 경험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군건강정책연구소 32 (32): 53-65, 2014

      12 이순묵, "일상우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37 (37): 411-430, 2018

      13 이대식,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9 (9): 5-31, 2016

      14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 oo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4) : 64-93, 2006

      15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6 김민정,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 증상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19-33, 2010

      17 이수현, "수퍼비전 작업동맹척도(WAI-T) 요인구조 탐색" 교육연구소 12 (12): 43-62, 2011

      18 손봉기, "성격적 강점이 군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9 고은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학회 8 (8): 97-129, 2017

      20 김경민, "상사의 관계적 행동과 리더-부하 교환수준 간의 관계에서 개인차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4)" 리더십학회 11 (11): 71-97, 2020

      21 오현철,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2 전수진, "사회 네트워크가 직무유효성 및 경력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23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8

      24 김두환,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회 45 (45): 128-168, 2011

      25 이은주, "복무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패턴"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501-511, 2020

      26 연미선, "병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매개효과와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7

      27 최용성, "병사의 사회적 지원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6 (6): 3-15, 2000

      28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개인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연구 :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29 정원철,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9-71, 2011

      30 박영주, "병사의 군 부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2 (22): 70-90, 2006

      31 김혜정, "병사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이 임파워먼트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2 곽금주, "또래 간 사회적 관계 부정적 측면에 관한 개관" 13 (13): 77-89, 2000

      33 유지은, "기업조직 내 사회관계망이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4 박현철,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5 고인곤, "군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사 신뢰 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36 금병규,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7 송영주, "군 조직의 의사소통에 대한 장병의 인식에 관한 연구: 수직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3

      38 정희정, "군 장병의 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군 생활 적응"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9 강명숙, "군 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40 최혜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743-1756, 2009

      41 엄덕희,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11 : 31-61, 2012

      42 성용은, "군 복무 부적응과 자살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16 (16): 59-74, 2020

      43 송경재, "개별성-관계성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8 (8): 1-12, 2007

      44 Thomas, M, Fabian, "Working Alliance Inventory-Short Revised(WAI-SR) : Psychometric properties in outpatients and inpatients" 17 : 231-239, 2010

      45 Waldrip, A. M., "With a little help from your friends :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friendships on early adolescent adjustment" 17 : 832-852, 2008

      46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Allyn and Bacon 2001

      47 Bordin, 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the working alliance" 16 : 252-260, 1979

      48 Andrusyna, T. P., "The factor structure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i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2001

      49 Furman, W.,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 33 (33): 470-478, 2009

      50 Horvath, A. O., "Research on the alliance : Knowledge in search of a theory" 28 (28): 499-516, 2018

      51 Toste, J. R., "Reconceptualiz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Applicability of the working alliance within classroom contexts" 116 (116): 31-48, 2015

      52 Schriesheim, C. A., "Leader-member exchange(LMX)research :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ory, measurement, and data-analytic practices" 10 (10): 63-113, 1999

      53 Tracey, T. J., "Factor structure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1 (1): 207-210, 1989

      54 Horvath, A. 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 36 (36): 223-233, 1989

      55 Furman, W.,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21 : 1016-1024, 1985

      56 Putnam, R., "Bowling alone : America’s decline in social capital" 6 : 65-78, 1995

      57 Dubow, E. F.,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18 : 52-64, 1989

      58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14

      59 Furman, W.,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63 (63): 103-115, 1992

      60 Mercken, L., "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of peer influence, peer selection, and smoking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British Schools" 31 (31): 450-45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Academy Of Leadership -> Korean Academy of Leadership KCI등재
      2019-01-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Leadership Quarterly -> The Korean Leadership Review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5 0.95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