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나 학계에서 유아영어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어교육전문기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1589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1-245(25쪽)
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나 학계에서 유아영어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어교육전문기관...
정부나 학계에서 유아영어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영어교육전문기관에서 파견한 교사가 그들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유아교육기관의 일과를 방해하고 유아교육과정과 통합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유아영어교육의 타당성을 언어습득에 관한 국내외 이론이나 뇌과학 연구, 유아기 영어교육 효과에 관한 국내연구, 사회적 변화와 외국의 유아영어교육실태 등의 관점에서 재조명해보았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과정과 통합하여 담임교사가 실시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영어와 영어권 문화에 관심을 갖고 친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영어를 접할 수 있도록 노래와 동화 그리고 동작을 활용한 교수방법을 소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pite of the negative attitude of government, English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re increasing. Most of the kindergartens use the English programs developed by a private English institute, which are neither...
In spite of the negative attitude of government, English programs for preschoolers in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re increasing. Most of the kindergartens use the English programs developed by a private English institute, which are neither integrated into the theme or unit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nor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validity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by reviewing language learning theory and brain science, and domestic researches on English education at preschool age, and to suggest an integrative English education model which preschool teachers are able to t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ither ‘the earlier the better’ principle nor the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language could not be supported. Second,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should focus on the affective aspects rather than cognitive domain, and include cultural education. Third, nursery rhymes and songs,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game were suggested as teaching strategies for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웅, "학령 전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교사·전문가의 인식 비교" 12 (12): 81-106, 1998
2 서현아, "취학전ㆍ후 영어교육 환경과 초등학교 3학년의 영어 유창성과의 관계 연구" 10 (10): 299-319, 2003
3 부경순, "초등학교 3학년 이전 어린이 영어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 10 (10): 133-154, 2003
4 조초희, "초등영어 노래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10 (10): 201-236, 2004
5 장복명, "천안지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 영어어문교육 (5) : 191-218, 1999
6 박상순, "주제중심 통합 영어학습이 취학 전 아동의 인지적.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부경순, "조기영어교육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효과-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9 (9): 123-148, 2003
8 임현숙,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황혜신,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3 (13): 497-506, 2004
10 우남희,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치원 원장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5 (25): 5-24, 2005
1 김광웅, "학령 전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교사·전문가의 인식 비교" 12 (12): 81-106, 1998
2 서현아, "취학전ㆍ후 영어교육 환경과 초등학교 3학년의 영어 유창성과의 관계 연구" 10 (10): 299-319, 2003
3 부경순, "초등학교 3학년 이전 어린이 영어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 10 (10): 133-154, 2003
4 조초희, "초등영어 노래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10 (10): 201-236, 2004
5 장복명, "천안지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 영어어문교육 (5) : 191-218, 1999
6 박상순, "주제중심 통합 영어학습이 취학 전 아동의 인지적.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부경순, "조기영어교육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효과-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9 (9): 123-148, 2003
8 임현숙,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황혜신,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3 (13): 497-506, 2004
10 우남희,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치원 원장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5 (25): 5-24, 2005
11 이승복, "이중언어의 습득 시기와 산출" 17 (17): 117-135, 2004
12 Kyung-RyungKim, "이중 언어 어휘 발달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3-332, 2003
13 마송희, "이야기노래(story songs)를 활용한 영어교육활동과 유아의 영어 이야기 회상" 8 (8): 57-76, 2004
14 김은아,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1996
15 마송희, "유아의 영어교육경험,상위언어능력,모국어 및 영어어휘력 간의 관계" 8 (8): 253-272, 2003
16 하연희, "유아의 영어교육 시작연령과 교육기관에 따른 모국어와 사회성 발달"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7 한유미, "유아의 모국어 능력,외국어 경험 정도와 상위언어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18 한유미, "유아의 모국어 능력, 외국어 경험 정도와 언어 능력간의 관계" 199-206, 1999
19 정동빈, "유아영어의 통합적 교수요목 모형 개발" 8 (8): 219-243, 2002
20 이경우, "유아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21 이대균,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분석" 10 (10): 95-120, 2006
22 김미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원장,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3 마송희, "유아영어교육 연구동향" 12 (12): 185-208, 2007
24 김성자, "유아기의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1996
25 신동주, "유아기 영어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11 (11): 349-374, 2007
26 장유경, "유아기 영어 학습경험이 상위언어능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16 (16): 69-81, 2003
27 정승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8 김진영, "우리나라 유치원 영어교육의 현황" 72-117, 2000
29 김애순, "외국인 교사에 의한 유아의 일일 영어학습량과 모국어 및 정서능력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2002
30 교육인적자원부, "외국어과 교육과정(I).별책 14"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31 우남희,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2
32 임현희, "영어학습 시작연령과 영어능력간의 상관관계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3 정은영, "영어교육이 유아의 모국어와 인지발달에 끼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34 김성민, "어린이집에서의 영어교육 실시 현황 및 원장의 인식 조사" 성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5 신귀련, "아동의 상위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22 (22): 173-188, 2002
36 김천홍, "새로운 영어 교육 정책의 방향" 1-8, 2006
37 "동화를 활용한 유아기의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2004
38 이옥로, "YUHA'S EARLY BILINGUAL READING" (1) : 47-67, 1982
39 Kitano,S., "Widening gap between families?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Japan" Paper presented at annual conference of Pecera 2007
40 Fillmore L.W.,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means losing the first" 6 : 323-346, 1991
41 Gasser,M., "Using songs and games in the ESL classroom" Newbury House 1979
42 Vygotsky,L.S., "Thought and language" MIT Press 1986
43 Indefrey,P., "The spatial and temporal signatures of word production components" 92 : 101-144, 2004
44 Patkowski,M., "The sensitive period for the acquisition of syntax in a second language" 30 (30): 449-472, 1980
45 Krashen,S., "The natural approach: Language acquisition in the classroom" Pergamon Press 1983
46 Hancock,C., "Second language study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10 : 1977
47 Weikart,P.S., "Round the circle. Key experiences in movement for children" High/Scope Press 1987
48 Chang,Chien-Ju,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pedagogy, and research" Paper presented at annual conference of Pecera 2007
49 이옥로, "Early Bilingual Reading for Bilingual Bicultural Adjustment" (4) : 89-108, 1987
50 Kim, K. S., "Distance cortical areas associated with native and second language" 388 (388): 171-174, 1997
51 Johnson,J.,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influence of maturational stat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21 : 60-99, 1989
52 Cummins,J., "Bilingualism and special education: Issues in assessment and pedagogy. Clevon, Avon" Mulilingual Matters 1984
53 남혜경, "3세, 4세 유아의 이중 언어 경험과 상위 언어능력" 서울대학교 2005
부-자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불안애착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부의 공감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삼일신고』의 우주관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협력중심 장애유아 통합교육 교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유아 인권관련 태도 평가 도구 개발 :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