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 현황, 요구의 측면에서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9587
2014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61-183(23쪽)
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 현황, 요구의 측면에서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 현황, 요구의 측면에서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연령, 가족소득, 예술경험의 정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년과 실습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는 3학년 보다는 4학년이, 4주 이상의 학교교육실습과 4주 이상의 보육실습을 모두 수행하거나 각각의 실습을 실시한 경우가 5주 이상의 정기적 관찰실습을 실시한 경우보다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연한이 많고 현장실습경험이 많을수록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 실습 강화, 교과목 개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정도에 따라 창의ㆍ인성교육의 인식과 실행 정도가 크게 변화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about to study what is recognition for pre-service teacher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344 pre-service teachers in Gyeunggi-Do, surveyed their recognition of creativity and pers...
This work is about to study what is recognition for pre-service teacher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344 pre-service teachers in Gyeunggi-Do, surveyed their recogni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Standard deviation, %, and t-test, ANOVA analysis using the SPSS 15.0+ computer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o need of teacher’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y responded to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But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learn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t that college and university. We fou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variables on age, family income, art experience degree, but Grade, type of practicum experience variables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pre-service teachers must learn abou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ed as soon as possible. Doing so, we will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순범, "초등학생의 창의 인성발달을 위한 교육용 로봇 활용방안" 19 (19): 155-157, 2011
2 이은주, "창의와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미래형 교실 환경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4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샘앤파커스 2011
5 Runco, M. A., "창의성 : 이론과 주제" 시그마프레스 2009
6 김한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61-72, 2010
8 남윤선, "창의·인성을 강조한 초등 과학 수업이 창의성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김종권, "창의·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수업 적용 사례 :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01-526, 2010
1 권순범, "초등학생의 창의 인성발달을 위한 교육용 로봇 활용방안" 19 (19): 155-157, 2011
2 이은주, "창의와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미래형 교실 환경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
4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샘앤파커스 2011
5 Runco, M. A., "창의성 : 이론과 주제" 시그마프레스 2009
6 김한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춘성,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0 (10): 61-72, 2010
8 남윤선, "창의·인성을 강조한 초등 과학 수업이 창의성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김종권, "창의·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과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수업 적용 사례 :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01-526, 2010
11 이해인, "창의·인성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과학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이재훈, "창의 인성교육을 통한 인천교육의 발전 방향과 과제" 2-18, 2010
13 이경민, "창의 인성교육 현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423-446, 2013
1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 인성교육 기본 방안"
15 장승희, "제주형 자율학교의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2011): 81-106, 2011
16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 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9 (9): 89-112, 2009
17 박창현,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7-143, 2012
18 양윤정,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3
19 이은순,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문미옥,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분석 연구" 20 (20): 225-227, 2000
21 백명자, "유아기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관심 및 실행"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22 안정숙,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7 (7): 1-17, 2007
23 김주영,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실태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4 김화숙,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김용성,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관련 배경변인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26 박상희, "유아교사의 창의성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165-185, 2005
27 장영숙,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인식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53-74, 2005
28 박옥자,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29 박순정,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30 이은정, "어린이집 교사의 발달단계, 효능감, 멘토링 경험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1 한국과학창의재단,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 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32 한국교육개발원, "미래 한국교육의 발전 방향과 전략; 2013 2017년 핵심 교육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2012
33 서유현, "내 아이의 미래가 달라지는 엄마표 뇌교육" 아이트리 2010
34 고은희, "교사의 창의적 인성 특성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35 홍혜정,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과 평가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6 Lucas, B, "creativity in education" Contiuuum 2001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유아의 학습행동을 통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 인식과 요구에 기초한 현직교육 방안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