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 인식과 요구에 기초한 현직교육 방안 모색 = Inquiring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Infant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영아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현직교육(in-service educ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아교사의 직전교육, 유아교육기관, 현직교육에서의 음악교육 경험 인식에 따른 요구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영아교사를 위한 음악 현직교육의 내용, 방법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영아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현직교육(in-service educ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영아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현직교육(in-service education)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영아교사의 직전교육, 유아교육기관, 현직교육에서의 음악교육 경험 인식에 따른 요구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영아교사를 위한 음악 현직교육의 내용, 방법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in order to inquir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0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the content analyzed.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were sub-categorized by experiences of pre-service education perio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enter period and in-service educa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pecific direction of in-service program for music education were suggeste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its operating metho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in order to inquir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0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centers located...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in order to inquir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0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the content analyzed. Early childhood teachers’perceptions and needs on experienc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were sub-categorized by experiences of pre-service education perio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enter period and in-service educa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pecific direction of in-service program for music education were suggested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its operating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영아교사의 음악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과 요구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숙, "협동적 개념도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31-349, 2004

      2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홍혜경, "한국 영유아 교원양성대학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5-32, 2004

      4 김광자,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이민정,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59-187, 2002

      6 길애경, "음악교육의 제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및 저학년 아동의 창작지도" 14 : 1-14, 1995

      7 Hoffer. C. R., "음악교육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3

      8 김은심, "유치원교사의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 및자질향상노력과 음악교수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57-374, 2007

      9 이경미,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통합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권종애,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조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1 이효숙, "협동적 개념도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31-349, 2004

      2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홍혜경, "한국 영유아 교원양성대학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5-32, 2004

      4 김광자,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이민정,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59-187, 2002

      6 길애경, "음악교육의 제 접근법을 적용한 유아 및 저학년 아동의 창작지도" 14 : 1-14, 1995

      7 Hoffer. C. R., "음악교육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3

      8 김은심, "유치원교사의 음악에 대한 전문적 자질 및자질향상노력과 음악교수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57-374, 2007

      9 이경미,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통합적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0 권종애,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조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11 전인옥, "유아음악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2002

      12 Andress, B.,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 교문사 1984

      13 강은덕, "유아교사의 음악적 지식의 증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유영옥, "유아교사를 통해 본 유아미술교육 관련 현직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33-156, 2009

      15 유선아,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직교육의 실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나연, "유아 음악 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7 백선희, "영유아보육법 개정에 따른 보육시설장 및 보육교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39): 171-195, 2004

      18 공미선, "영아전담기관의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및 실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43-165, 2010

      19 임진형,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분석" 한국보육학회 4 (4): 193-215, 2004

      20 유지형, "영아의 발달 과정에 따른 청각적 자극에 대한 음색 구별 반응연구" 7 (7): 24-46, 2005

      21 김옥주, "영아음악활동 방법연구 : 만2세를 대상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2 조혜진,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37-262, 2007

      23 김지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7-216, 2009

      24 황인주, "영아교사의 음악활동 현황 및 음악활동에 대한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133-156, 2008

      25 탁정화,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73-103, 2012

      26 김희진, "영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매뉴얼" 창지사 2005

      27 유은숙, "영아 음악교육 방법 연구 : 영아 발달단계에 의한 놀이음악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8 이진희,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이 교사의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33-260, 2011

      29 오미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부천시를 중심으로" 가톨릭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8

      30 Berk, L. E., "아동발달" 정민사 2005

      31 김옥주, "만2세아의 음 개념 중심 통합적 음악활동 모형" 한국아동학회 30 (30): 179-194, 2009

      32 황인주,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3 송연아, "리듬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2

      34 윤현진, "대학의 유아음악 교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5 김은심,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31-56, 2005

      36 김성재,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의 유아체육교수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의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3-49, 2009

      37 박수미, "구성주의 교사교육 관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수업의 효과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36, 2006

      38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1999

      39 이기영,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40 Mullins, J. 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qualification and student learning: A study of standard one classroom in Belize, Central America" Harvard University 1993

      41 Niland. A., "The power of musical play : The value of play-based. child-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23 (23): 17-21, 2009

      42 Gluschankof, C., "The local musical style of kindergarten children : A description and analysis of its natural variables" 4 (4): 37-50, 2002

      43 Nichols, B, L., "The influence of an inservice music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usic" 113 : 19-29, 1995

      44 Stauffer, S., "Preparing the caregivers: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 (4): 20-29, 1998

      45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46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Publisher 2000

      47 McDonald, D. T., "Musical growth and development: Birth through six" Schirmer Books 1989

      48 Swanwick, K., "Music, mind and education" Routledge 1988

      49 Littleton, D., "Music learning and child’s play" 12 (12): 8-15, 1998

      50 Campbell, P. S., "Music in Childhood" Schirmer Books 2002

      51 Barry, N. H., "Music an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usic methods class" 2 (2): 16-23, 1992

      52 Jinyoung Kim, "Investigation of Pre-Service Teachers’ Self Perception on Musical Knowledge and Teaching Efficacy" 한국유아교육학회 11 (11): 81-98, 2005

      53 Gardner, H.,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Harper and Row 1983

      54 Cherubini, L., "Exploring prospective teachers’critical thinking : Case-based pedagogy and standards of professional practice" 25 : 228-234, 2009

      55 Freeman, J. G., "Emerging consider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es for science teachers" 15 (15): 111-131, 2004

      56 Morin, F. L., "Cultivating music play; The need for changed teaching practice" 14 (14): 24-29, 2001

      57 Westervelt, G.,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erson Merrill Prentice Hall 2009

      58 Burchinal, M., "Caregiver training and classroom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6 : 2-11, 2002

      59 Shannon, K.,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in music for child-care personnel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Kansas University. 1999

      60 Neimeyer, R. A., "An appraisal of constructivist psychotherapies" 61 (61): 221-234, 1993

      61 Greata, J. D.,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mson Delmar Learning 2006

      62 Murphy, M. K., "A comparison of perferences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34 : 134-139, 1986

      63 Gordon, Edwin E.,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GIA Publication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