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관련 하위변인과 조절변인의 심층 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ocusing on Sub-factors and Moder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9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17일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관련된 총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가 0.906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변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자기주도적 경력관리(0.862), 가치지향성(0.79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직무만족(0.902), 고용가능성(0.880), 경력만족(0.819)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연구물특성변수인 출판연도, 출판유형, 표본크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연구대상의 특성인 성별, 세대, 학력, 경력, 직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의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17일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17일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관련된 총 49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가 0.906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변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자기주도적 경력관리(0.862), 가치지향성(0.79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직무만족(0.902), 고용가능성(0.880), 경력만족(0.819)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연구물특성변수인 출판연도, 출판유형, 표본크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는 연구대상의 특성인 성별, 세대, 학력, 경력, 직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의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영,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3 (13): 3-23, 2015

      2 황형서,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 영업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3 유현옥,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9

      4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 1-18, 2010

      5 박혜영 ;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T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9-45, 2015

      6 김이준 ; 김봉환,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관련성 탐구" 인문사회 21 9 (9): 185-200, 2018

      7 김태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장경진,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9 신소영 ; 이수용,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95-121, 2017

      10 신소영,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 박혜영,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13 (13): 3-23, 2015

      2 황형서,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 영업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3 유현옥,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9

      4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 1-18, 2010

      5 박혜영 ;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T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7 (17): 19-45, 2015

      6 김이준 ; 김봉환, "프로티언 커리어와 구성주의 진로상담의 관련성 탐구" 인문사회 21 9 (9): 185-200, 2018

      7 김태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장경진,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9 신소영 ; 이수용,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95-121, 2017

      10 신소영,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1 박윤희 ; 정홍전 ; 오미래, "프로티언 경력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외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1-35, 2018

      12 소병한,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의 통합적 개념모형과 측정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13 김대영 ; 이민영 ; 김만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무경계 경력 태도: 측정 도구 검증 및 구성 개념 간 상관관계 메타 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21 (21): 87-114, 2019

      14 이영광 ; 박선영 ; 김진관 ; kittituch orisoon,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1 (51): 21-41, 2019

      15 배을규 ; 강선희, "평생교육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활동의 매개효과" 한국성인교육학회 23 (23): 53-85, 2020

      16 유수란 ; 배을규 ; 이민영,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85-104, 2018

      17 김숙희,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8 유수란,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9 송성숙, "평생교육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및 경력 몰입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6

      20 김선자 ; 최성우, "초등 교사의 평생학습 참여 경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및 주관적 경력 성공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1 (11): 71-94, 2015

      21 손정은 ; 박재한 ; 김성혜 ; 장원섭,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습과 성장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641-660, 2019

      22 홍세희 ; 이현정 ; 이현정 ; 조기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8) : 173-194, 2019

      23 김동윤 ; 진성미,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31-53, 2018

      24 김명희, "직업상담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및 지속학습활동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25 임지연, "직업상담사의 고용불안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6 박선효, "직업상담사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2

      27 이재봉 ; 진성미, "직업군인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 경력태도 관점의 한・미군 비교" 한국국방연구원 28 (28): 145-173, 2012

      28 고명숙 ; 최지수 ; 조대연, "직무역량과 직무만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인력개발학회 22 (22): 27-52, 2020

      29 박상오 ; 김대영,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 대한 LMX와 학습조직의 조절된 조절 효과" 교육연구소 26 (26): 947-977, 2020

      30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구성원들을 중심으로-" 133-152, 2015

      31 구은정, "중년층 직장인의 프로틴 경력태도, 상사의 코칭,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 (6): 41-60, 2019

      32 황애영 ; 탁진국,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09-428, 2011

      33 황애영,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34 유재영, "주관적 경력성공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35 김미혜, "조직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6 신수진 ; 홍아정, "조직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과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서 경력 메타역량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73-98, 2013

      37 윤덕수, "제약산업 종사자의 상사 코칭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8 지현민, "전직지원컨설턴트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주관적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39 김대영,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 교육연구소 25 (25): 203-223, 2019

      40 김희영, "유아교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무형식 학습경험 및 교수창의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41 박성은, "외국계 기업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네트워크 행동 매개 효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3

      42 이동희, "여성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5

      43 노경란 ; 허선주 ; 임현선, "여성의 취업경험별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31-50, 2014

      44 최수찬 ; 민진아, "여성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관한 직위별 비교 연구: 개인역량, 조직관리, 사회적 지원 변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159-188, 2021

      45 윤기찬, "여성공무원의 경력패턴과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육아휴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39-62, 2014

      46 황성동, "알기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47 이정호, "세대별 프로틴 경력 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1

      48 고윤승, "성인학습자의 프로틴 경력과 무경계 경력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6 : 13-29, 2016

      49 김병숙 ; 이희수 ; 송영선, "서울시 여성인력개발기관 종사자의 프로틴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25-50, 2015

      50 신수림 ; 정진철,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6 (46): 183-213, 2014

      51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52 윤지혜, "비서직 종사자가 인식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53 이신주, "보육교사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11-631, 2020

      54 김인숙, "방과후학교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55 최순호, "민간탐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몰입 및 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 (12): 1205-1216, 2021

      56 김은경 ; 조대연,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7 (17): 1-24, 2021

      57 하종원 ; 송해덕,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경력전략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4 (14): 1-24, 2012

      58 이규형 ; 이영면, "무경계 경력태도가 직장이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과 외국계 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225-246, 2015

      59 최지현 ; 김준희, "멘토링기능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4 (24): 159-185, 2022

      60 공윤영, "대학병원 종사자들의 경력개발지원 인식 및 프로틴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개인-직무 적합성과 경력관리 행동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일반대학원 2018

      61 김은석 ; 정철영,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71-189, 2011

      62 신수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지속학습활동, 경력정체성 및 경력적응성,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간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63 이민영 ; 배을규 ; 장민영 ; 박상오, "뉴커리어(New Career) 연구 동향: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무경계 경력태도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97-124, 2019

      64 박용호 ; 한억천,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정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53-79, 2013

      65 이재은 ; 조영아, "기업근로자의 이직의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 경력관리행동, 일 몰입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3 (53): 29-54, 2021

      66 김보경 ; 정철영,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요인 및 성별조절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 메타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3-148, 2013

      67 최명빈 ; 조대연 ; 이윤수, "기업 근로자의 경력성공에 관한 메타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1 (21): 1-22, 2019

      68 이재봉 ; 진성미, "군 장교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교육학회 (22) : 89-112, 2011

      69 이재봉, "군 간부의 프로틴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70 오수현, "국내·외 프로티언 경력태도 연구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71 강지연 ; 송영수, "국내 기업 직장인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경력연계학습(CRCL),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1 (51): 73-102, 2019

      72 권재용 ; 이동영 ; 전병렬, "경쟁고용 장애인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개인 및 조직특성에 대한 다층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3-66, 2017

      73 김정원,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74 이고은,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여성의 직업소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75 이유진, "경력계획과 프로틴 경력태도과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력장애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76 김지석, "개인-직무 적합성, 주도성, 경력개발지원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77 Duval, S., "Trim and fill :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56 (56): 455-463, 2000

      78 Cohen, 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Sage Publications, Inc 31-67, 1988

      79 Kenney, M., "The rise of the platform economy" 32 (32): 61-, 2016

      80 Nabi, G. R.,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mong men & women" 22 (22): 457-474, 2001

      81 Shim, M. Y.,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success: The role of career development" Korea University 2012

      82 Hall, D. T., "The protean career : A quarter-century journey" 65 (65): 1-13, 2004

      83 Abele, A. E., "The longitudinal impact of self-efficacy and career goal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74 (74): 53-62, 2009

      84 Briscoe, J. P.,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 Combination and implications" 69 (69): 4-18, 2006

      85 Crowley-Henry, M., "The international protean career : Four women’s narratives" 20 (20): 245-258, 2007

      86 Shadish, W. R.,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Russell Sage Foundation 1994

      87 Sullivan, S. E., "The evolution of the boundaryless career concept : Exami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mobility" 69 (69): 19-29, 2006

      88 Hofmans, J., "The career satisfaction scale : Response bias among men and women" 73 (73): 397-403, 2008

      89 Arthur, M. B.,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employment principle for a new organiz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90 Seibert, S. E.,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8 : 1-21, 2001

      91 Peluchette, J. V. E., "Subjective career success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 family,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43 (43): 198-208, 1993

      92 Ng, T. W. H.,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meta-analytic review" 85 (85): 169-179, 2014

      93 Hedges, L. V., "Statistical methods for meta" Academic Press 1985

      94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26): 155-176, 2005

      95 Hall, D. T.,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10 (10): 8-16, 1996

      96 De 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97 Briscoe, J. P.,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 An empirical exploration" 69 (69): 30-47, 2006

      98 Segers, J.,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 A study on potential motivators" 73 (73): 212-230, 2008

      99 Wiernik, B. M.,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 orientations : A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66 (66): 280-307, 2019

      100 Volmer, J.,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and objective career success" 43 (43): 207-218, 2011

      101 Zafar, J.,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Cross-Cultural Perspective" 8 (8): 1-10, 2021

      102 Ng, T. W., "Predictor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meta-analysis" 58 (58): 367-408, 2005

      103 Aydogmus, C, "Millennial knowledge workers : The roles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24 (24): 297-314, 2019

      104 Kundi, Y. M., "Linking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to Subjective Career Success A Serial Mediation Model" 29 (29): 263-282, 2021

      105 Johnson, C. D., "In search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areer success" The University of Georgia 2001

      106 박용재, "IT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대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07 권우석 ; 김예진 ; 이규민, "Hospitality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40 (40): 51-68, 2016

      108 World Economic Forum, "Future of Jobs"

      109 Quintana, D., "From pre-registration to publication : A non-technical primer for conducting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correlational data" 6 : 1549-, 2015

      110 Haenggli, M., "Exploring the dynamics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n action regulation theory approach" 131 : 103650-, 2021

      111 Sargent, L. D.,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a protean career orientation : values and image violations" 12 (12): 545-564, 2007

      112 Enache, M., "Examining the impact of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17 (17): 459-473, 2011

      113 Greenhaus, J. H.,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33 (33): 64-86, 1990

      114 Briscoe, J. P., "Coping with an insecure employment environment : The differing roles of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 orientations" 80 (80): 308-316, 2012

      115 De Vos, A.,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success : The mediating role of employability" 79 (79): 438-447, 2011

      116 Hall, D. 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2002

      117 Artur, M. B., "Career success in a boundaryless career world" 26 (26): 177-202, 2005

      118 Egger, M.,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315 (315): 629-634, 1997

      119 Spurk, D.,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bjective versus subjective career success : Competing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s" 45 (45): 35-69, 2019

      120 Judge, T. 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48 (48): 485-519, 1995

      121 Thompson, E. R., "A brief index of affective job satisfaction" 37 (37): 275-307, 2012

      122 Seibert, S. E., "A Social capital theory of career success" 23 (23): 679-70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 2.1 2.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1 3.561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