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그리고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새원중인 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64218
2010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28(24쪽)
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그리고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새원중인 만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그리고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새원중인 만 3. 4‘ 5 세 유아 130 명과 유아들의 부모 130명 등 총 260 명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그리고 유아의 또래유능성 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유아기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과 만 4. 5. 6세 유아들의 애착안정 성전체.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의 많은 하위요인들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유아들은 또래관계에서 배척성 . 비사교성 ‘ 불안정 성‘ 공격성 ‘ 과민성과 같은 기술을 잘 사용하지 않고 친사회적인 기술은 많이 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빛 부모교육 분야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ir preschool-children's attachment, and their peer competence. The study surveyed the 130 mothers of three to five year-old children, and 130 presc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ir preschool-children's attachment, and their peer competence. The study surveyed the 130 mothers of three to five year-old children, and 130 preschoolers through their teachers, total of 260, from child care centers in Seoul, Korea on the matter of mothers' happiness, preschoolers' attachment, and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 attachment level of the three to five-old children had a positive correlation. Also, the level of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 attachment level of the three to five-old children measured under the diverse sub-categories ha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general happiness of the mo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appier mothers tend to have children with higher peer competence. Happier mothers' children tend to use more pro-social skills than the children with less happier mothers. And also happier mothers' children tend to use less negative social skills than the children with less happier mot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Hoggard, L., "행복-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예담 2006
2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7 (7): 1-38, 2006
3 신의진, "한국 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임상적 특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155-174, 2003
4 김명수,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15-442, 2003
5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들의 행복도: 우리 청소년, 얼마나 행복한가" 1993
7 옥정, "청소년기 애착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8 송정,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9 김도란,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11-333, 2008
10 서소정,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87-310, 2006
1 Hoggard, L., "행복-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예담 2006
2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7 (7): 1-38, 2006
3 신의진, "한국 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임상적 특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155-174, 2003
4 김명수,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15-442, 2003
5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들의 행복도: 우리 청소년, 얼마나 행복한가" 1993
7 옥정, "청소년기 애착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8 송정,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9 김도란,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11-333, 2008
10 서소정,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87-310, 2006
11 이영, "유아의 애착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상호작용간의 관계" 20 (20): 19032-, 1999
12 양연숙, "영아의 타인양육 경험에 따른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정서조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3 김현정, "어머니의 우울 성향이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전현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15 강차현, "어머니의 애착유형과 결혼갈등, 자녀 양육행동 및 아동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6 남소현,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 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적응행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0
17 김형옥,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전효정,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메커니즘: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 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159-174, 2003
19 이배근,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 한국아동학회 3-19, 2008
20 박응임, "애착의 지속성에 대한 단기종단적 연구: 영아기의 낯선 상황 애착 유형과 유아기의 애착 안정성" 18 (18): 33-46, 1997
21 장미자, "애착의 세대간 전이-어머니의 내적 실행 모델과 영아의 애착 유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22 Biddulph, S., "아이에게 행복을 주는 비결 1" 북하우스 2005
23 이지희, "아동의 정서성,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1-14, 2008
24 이정숙, "아동의 애착과 자아지각 및 행동문제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49-168, 2004
25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박주희,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 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7 김선숙,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2 (32): 65-95, 2007
28 양애경,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유아-부모,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197-212, 2006
29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1995
30 박성연,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31 안동현, "건강과 심리적 측면의 아동 행복" 한국아동학회 23-35, 2008
32 조복희, "개정판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2006
33 조순옥, "개정 유아사회교육" 창지사 2010
34 김진영, "개정 영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창지사 2009
35 Alison, N., "“Right from the start”: Randomized trial comparing an attachment group intervention to supportive home visiting" 49 (49): 754-764, 2008
36 박숙경, "‘행복을 끌어오는 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자각, 행복한 사람들의 특성, 인간관계, 내적통제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69, 2002
37 Madigan, S., "Unresolved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s, disrupted maternal behavior and disorganized attachment in infancy: Links to toddler behavior problems" 48 (48): 1042-1050, 2007
38 Crick, N. R.,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67 : 2317-2327, 1996
39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40 Cassidy, J.,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 59 (59): 1994
41 Calkins, S. 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 59 (59): 1994
42 Howes, C.,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ren: Changes o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8 : 15-32, 1993
43 Lyubomirsky, S.,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131 (131): 803-855, 2005
44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95): 542-575, 1984
45 Russell, J. E. A.,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16 (16): 117-131, 2008
46 Bagwell, C. L.,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69 (69): 140-153, 1998
47 Seligman E. P., "Positive psychology" 55 (55): 5-14, 2000
48 Hartup, W. W., "Peer relation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4.)" Wiley 103-196, 1983
49 Ladd, G. W., "Parent’s management of children’s peer relations: Facilitating and supervising children's activities in the peer culture. in: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5-253, 1992
50 MacDowell, D. J., "Parental correlates of children's peer relations: An empirical test of a tripartite model" 45 (45): 224-235, 2009
51 Luster, T., "Multiple influences in parenting: Ecological and life-course perspectives. in: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Erlbaum 227-250, 1993
52 Werner, N. E., "Mothers’ cognitions about relational aggression: Associations with discipline responses, children’s normative beliefs, and peer competence" 18 (18): 77-98, 2009
53 Mize, J., "Mothers' social coaching, mother-child relationship styl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the medium the message?" 68 (68): 312-332, 1997
54 Laird, R. D., "Mother-child conversions about peers: contributions to competence" 43 (43): 425-432, 1994
55 Becker-Stoll, F., "Is attachment at ages 1, 6., and 16 related to autonomy and relatedness behavior or adolescents in interaction towards their mothers?" 32 (32): 372-380, 2008
56 Coulton, C. J., "Indicators of child well-being through a neighborhood lens" 84 (84): 349-361, 2007
57 Parker, J. G.,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29 : 611-621, 1993
58 Kochanska, G.,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ifferent attachment histories: The first three years" 72 (72): 474-490, 2001
59 Thompson, R. A., "Early sociopersonality development.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5th ed), Vol.3" John Wiley & Sons, Inc. 1998
60 Schwartz, D., "Community violence exposure as a predictor of aggression and peer victimization" 2000
61 Asher, S. R., "Children’s loneliness: A comparison of rejected and neglected peer status" 53 : 500-505, 1985
62 Sroufe, L. A.,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in: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51-71, 1986
63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1" Hogarth Press 1982
64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3, Loss: Sadness and depression" Hogarth Press 1980
65 McElwain, N. L., "A process model of attachment-friend linkages: Hostile attribution biases, language ability, and mother-child affective mutuality as intervening mechanisms" 79 (79): 1891-1906, 2008
66 신혜원, "3-4세 유아의 애착 행동과 어머니에 대한 표상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89-110, 2005
SERVQUAL기법을 통한 서울형 어린이집 보육서비스의 성과분석
보육 관련 학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예랑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