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의 경향과 거친 신체 놀이 유형을 성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885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3-142(20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의 경향과 거친 신체 놀이 유형을 성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
본 연구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의 경향과 거친 신체 놀이 유형을 성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27명의 바깥놀이를 8주간 관찰하여 신체 활동의 경향성의 빈도를 산출하였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 바깥놀이의 일반적인 신체 활동경향은 거친 신체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거친 신체 놀이는 도망가기와 잡기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동안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던 거친 신체 놀이가 유아들에게 의미 있고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 교사는 유아의 놀이상황을 교사가 깊게 관찰하여 거친 신체 놀이가 단순한 공격적인 행동인지, 교육적 가치가 있는 거친 신체 놀이인지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bserved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analyzed their general behavior tendencies and the rough-and-tumble play types seen in their outdoor play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ough-tumble play...
This study observed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analyzed their general behavior tendencies and the rough-and-tumble play types seen in their outdoor play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ough-tumble pl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of outdoor plays, the rough-and-tumble play type was seen the most frequently. Second, this study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frequency and leadership. In conclusion, the rough-and-tumble of outdoor play shows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so teachers are encouraged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rough-and-tumble play and to appropriately guide and observe young children so that rough-and-tumble play can be actively done in an outdoor play environ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현미, "치료놀이를 병행한 인간중심적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사회적 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767-792, 2010
2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3 박희순, "전통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2010
4 김성재,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1-387, 2011
5 이학선,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07
6 장우주, "유치원 실내 자유놀이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사회적 행동특성" 연세대학교 2011
7 양옥승,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변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15 (15): 145-161, 2003
8 김효정,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놀이성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57-182, 2011
9 우진아, "유아의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놀이 양상" 중앙대학교 2003
10 장윤희,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노현미, "치료놀이를 병행한 인간중심적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사회적 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767-792, 2010
2 박주희,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21-232, 2001
3 박희순, "전통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2010
4 김성재,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1-387, 2011
5 이학선,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2007
6 장우주, "유치원 실내 자유놀이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사회적 행동특성" 연세대학교 2011
7 양옥승,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변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15 (15): 145-161, 2003
8 김효정, "유아의 인기유형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놀이성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0 (10): 157-182, 2011
9 우진아, "유아의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놀이 양상" 중앙대학교 2003
10 장윤희,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서기남,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2009
12 이채호, "유아의 놀이유형과 리더십간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9 (9): 213-229, 2010
13 이연실,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13 (13): 33-48, 2010
14 홍희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369-390, 2013
15 이윤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2009
16 마혜린,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건국대학교 2013
17 왕혜원,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과 사회적 힘의 관계" 부산대학교 2012
18 김영아,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2007
19 김현숙,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성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2011
20 구명실,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공격성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2008
21 이시자, "유아의 Rough-and tumble 놀이에 대한 동물생태학적 고찰" 5 (5): 109-131, 1998
22 고여훈,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과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09
23 이경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24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1
25 김재숙, "유아교사를 위한 실외놀이 guide book" 정민사 2004
26 이채호, "유아 리더십과 사회적 능력,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89-303, 2009
27 김성숙,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2009
28 양옥승,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교육" 학지사 2004
29 전민희, "영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바람직한 교육적 접근방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0 이숙재, "어린이의 거친 신체 놀이와 사회적 능력연구" 19 (19): 131-140, 1998
31 김진금, "실외놀이터 바닥에 따른 유아의 바깥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 고무바닥과 모래바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11
32 최미숙, "실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91-112, 2013
33 장영숙,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87-205, 2009
34 김영아,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 양상 및 관련 변인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6 (16): 945-955, 2007
35 조성은, "만 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2
36 김기영, "또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2006
37 신은수, "놀이와 유아교육" 학지사 2001
38 이지영,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93-112, 2008
39 이지영,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2007
40 박성연,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1-14, 2005
41 김민선,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4
42 하희연, "교사가 인식한 남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또래놀이 행동 연구" 부산대학교 2009
43 양수영, "교사 제반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관리 능력 차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67-92, 2013
44 이미영,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부모 인식과 양육태도의 관계" 수원대학교 2013
45 조경자, "거친 동작 놀이의 교육적 의의" 1 : 113-131, 1996
46 Harlow, H., "The heterosexual affective system in monkeys" 17 : 1-9, 1962
47 Smith, P. K., "Temporal clust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behavior in children’s encounters" 33 : 271-282, 1973
48 Schafer, M.,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fighting and real fighting in primary school" 38 (38): 173-181, 1996
49 Humphreys, A., "Rough-and-tumble play, friendship and dominance in school children : Evidence for continuity and change with age" 58 : 201-212, 1987
50 Pellegrini, A, D., "Rough-and-tumble play, development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22 (22): 23-43, 1987
51 Dipietro, J. A., "Rough and tumble play : A function of gender" 17 (17): 50-58, 1981
52 이시자, "Rough and Tumble 놀이에 관한 연구 : 6세 아동의 유치원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36 (36): 255-279, 1998
53 Humphreys, A., "Play in animals and human" Basil Blackwell 241-266, 1984
54 Blurton, J. N., "Ethological studies of child behavi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7-129, 1972
55 Pellegrini, A, 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4 : 245-260, 1989
56 Neil, S.,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fighting in twelve to thirteen year old pre-adolescent boys" 17 : 213-220, 1976
57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리더십론
단국대학교 박재춘리더십
중앙대학교 박찬균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한국외국어대학교 설규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