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s needs for children’s visit to their mother’s parents’ home in order to build th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To a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85329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5-84(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s needs for children’s visit to their mother’s parents’ home in order to build th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To ac...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s needs for children’s visit to their mother’s parents’ home in order to build th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To achieve this aim, the purpose of the children’s visit to their mother’s parents’ home in Vietnam and the activities that the children should experience, as perceived by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 were examined. The participants of 151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 who applied for the supporting project for the multicultural children’s visit to their mother's parents' home organiz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Wome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urposes of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s children in visiting the mother’s parents’ home were to learn with interest in Vietnamese culture and language, to meet family members of their mother's parents' home and love each other, to have pride a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love and understand their mother, to be thankful for their daily life in Korea, and to grow into capable adults wh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oth Korea and Vietnam. The experiences that the Vietnamese marriage-immigrant women consider necessary for their children are to experience Vietnamese culture, to form a bond with their mother’s parents’ family members, and to share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y that the government support is urgently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programs that enable a continuous exchange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family members of the mother’s parents’ home and stimulate the children’s interest in the country of their mothers.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자녀 외가방문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자녀 외가방문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결혼이민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녀 외가방문의 목적과 베트남에서 경험해야 할 활동에 대한 결혼이민여성들의 인식을 살펴봤다. 연구대상은 한국여성재단 2013~2014년도 다문화아동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지원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51명의 지원신청서이다. 연구결과,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자녀 외가방문의 목적은 첫째, 베트남 문화와 언어에 관심 갖고 학습하기를 바람, 둘째, 외가가족을 만나 서로 사랑하기를 바람, 셋째, 다문화가정의 자녀로서 자긍심 갖기를 바람, 넷째, 엄마를 좋아하고 이해하기를 바람, 다섯째, 한국에서의 일상생활에 감사한 마음을 갖기를 바람, 여섯째, 한국과 베트남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람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험은 첫째, 베트남 문화체험, 둘째, 외가가족과의 유대감 형성, 셋째, 엄마의 어린 시절 경험 공유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의 엄마와 자녀들이 외가가족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엄마나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에 국가적 지원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중, "한전, 필리핀 다문화 가정 모국방문 행사 개최" 전남일보
2 김예나,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3 이예린,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 교육과학연구소 46 (46): 1-24, 2015
4 "주베트남대한민국대사관"
5 정재훈, "적십자사 도지사, ‘다문화가정 외가방문’ 출정식" 경기신문
6 남혜경, "자녀에게 모국어를 가르치는 결혼이주여성의 경험" 한국지역문화학회 1 (1): 53-74, 2014
7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8 김명숙, "유치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홍용희,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31-158, 2014
10 이현진, "유아 한국문화정체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다문화 수용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 김기중, "한전, 필리핀 다문화 가정 모국방문 행사 개최" 전남일보
2 김예나, "한국사회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 정체성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3 이예린,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 교육과학연구소 46 (46): 1-24, 2015
4 "주베트남대한민국대사관"
5 정재훈, "적십자사 도지사, ‘다문화가정 외가방문’ 출정식" 경기신문
6 남혜경, "자녀에게 모국어를 가르치는 결혼이주여성의 경험" 한국지역문화학회 1 (1): 53-74, 2014
7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8 김명숙, "유치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홍용희,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31-158, 2014
10 이현진, "유아 한국문화정체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다문화 수용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1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5-38, 2013
12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3 문영희, "여성결혼이민자 가정 자녀의 이중문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북 농촌 중심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3) : 47-68, 2010
14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15 신미명, "시설보호아동의 역할모델에 따른 학교적응 및 미래관의 차이" 대한가정학회 50 (50): 73-87, 2012
16 박안식, "산청군, 다문화가족 고향방문 지원 ‘눈길’" 아시아뉴스통신
17 나영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자녀교육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8 김혜전,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9 신유경,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109-122, 2010
20 장남혁,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 형성" 한국선교신학회 (42) : 217-247, 2016
21 전은희, "모계 국제결혼가정 아동들의 차이와 가시화에 대한 질적연구 : 중소 도시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83-112, 2012
22 김현철,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Ⅲ: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23 다누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개"
24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 이제는 자녀성장지원이다"
25 박지명, "다문화가족의 양육스트레스와 성인역할모델이 아동의 긍정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395-420, 2013
26 김승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학회 23 (23): 25-61, 2011
27 강기정,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6 (16): 5-22, 2011
28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29 김은주, "다문화가정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0 신부용,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 - 자녀관계와 성인역할모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3 : 1-24, 2016
31 이현주,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삶과 자녀교육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09-236, 2014
32 최운선, "다문화가정 부모 - 자녀관계에서 외국인 모와 자녀의 내적 표상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1 (21): 467-487, 2016
33 이은하,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권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이야기: 경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109-129, 2010
34 박현선,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65-388, 2012
35 서덕희, "농촌 국제결혼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대한 맥락적 이해"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101-140, 2017
36 강정원, "남원․정읍․무주․순창 다문화자녀, 베트남서 문화연수" 전북일보
37 최준호, "난생 처음 '해외 외갓집' 가는 세종 다문화가정 학생들" 충북일보
38 김용철, "금호타이어, 베트남 다문화가정 친정 나들이 지원" 시사포커스
39 박민정, "교사가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적 특성과 상호작용 행동유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40 유재명, "경기농협, 농촌 다문화 31가정 모국방문 지원" OBS
41 이승숙, "결혼이민자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려움 및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99-126, 2014
42 박현숙, "결혼 이민 여성의 모어 육아 및 가정 내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3 박종진, "aT, 다문화가정 외가ㆍ친정방문 환송회" 국제뉴스
44 Lyubomirsky, S., "The how of happiness : A new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Penguin Books 2007
45 Lichtenstein, H., "The dilemma of human identity" Jason Aronson 1977
46 Holder, M. D., "The contribution of social relationship to children’s happiness" 10 (10): 329-349, 2009
47 Robles de Melendez, W. J.,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Delmar Thomson Learning 2000
48 Ellis, A.,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Allyn & Bacon 1995
49 Graue, M. E.,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어린이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PowerBook 2014
50 Seefeldt, C.,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Pearson Education, Inc 2010
51 LaFromboise, T., "Psychological impact of biculturalism : Evidence and theory" 114 (114): 395-, 1993
52 Pleiss, M. K., "Mentors, role models, and heroes in the lives of gifted children" 30 : 159-169, 1995
53 National Council for Social Studies., "Expectations for excellence: Curriculum standards for socai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Social Studies 1994
54 Huebner, E. S.,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6 : 103-111, 1991
55 Herren, C., "Beliefs regarding child anxiety and parenting competenc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44 (44): 53-60, 2013
56 Nauta, M. M., "Assessing role model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nd vocational decisions" 9 : 81-99, 2001
57 행정자치부, "2015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자치부 2016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다문화 시대,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4 | 1.74 | 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1 | 1.84 | 1.857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