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 A Study of Concept Mapping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Service Training Need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service training need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and thus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in-service training system reflecting these career stages. The study employed a concept map, which is useful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ubjects in depth and comparing small groups. The subjects are 22 in number, 11 of whom wer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the other 11 of whom were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As a result, there were 90 and 62 core sentences reflecting in-service training needs among those who were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in the career growth stage, respectively. As for concept maps of in-service training needs according to career stage, the map for the career formation stage consisted of three clusters of “administration and consultation”,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in two dimensions of “man versus organization” and “formal versus informal”. The concept map for the career growth stage was comprised of four clusters of “counseling and program”, “examining the latest trends and becoming an expert in a certain area”,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and “consultation, research, and self-management” in two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versus practicality” and “counselor versus client”. Based on those findings, the investigator compare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with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in terms of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importance, and analyzed whether to reflect the results on actual in-service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led to an explora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y the kinds of in-service training and a discussion abou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the career stag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service training need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and thus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in-service training system reflecting these career sta...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service training need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career stages and thus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in-service training system reflecting these career stages. The study employed a concept map, which is useful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ubjects in depth and comparing small groups. The subjects are 22 in number, 11 of whom wer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the other 11 of whom were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As a result, there were 90 and 62 core sentences reflecting in-service training needs among those who were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and in the career growth stage, respectively. As for concept maps of in-service training needs according to career stage, the map for the career formation stage consisted of three clusters of “administration and consultation”, “counseling and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in two dimensions of “man versus organization” and “formal versus informal”. The concept map for the career growth stage was comprised of four clusters of “counseling and program”, “examining the latest trends and becoming an expert in a certain area”, “psychological evaluation and qualifi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and “consultation, research, and self-management” in two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versus practicality” and “counselor versus client”. Based on those findings, the investigator compared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career formation stage with those in the career growth stage in terms of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importance, and analyzed whether to reflect the results on actual in-service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led to an explora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y the kinds of in-service training and a discussion abou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the career stag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연수 요구를 경력 단계에 따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경력 단계를 반영한 체계적 연수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소수집단 간에도 비교가 가능한 개념도 방법을 사용한 연구였으며, 경력 단계별로 형성기 전문상담교사 11명과 성장기 전문상담교사 11명, 모두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형성기 교사들의 연수 요구 90개와 성장기 교사들의 연수 요구 62개의 핵심문장을 도출하였고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 개념도를 얻었다. 형성기의 개념도는 ‘행정 및 자문’, ‘상담 및 자기 관리’, ‘심리평가 및 자격 연수’의 3개 군집으로 구성되었으며 ‘사람 대 조직’, ‘공식 대 비공식’의 2차원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의 개념도 역시 2차원이었는데 1차원은 ‘전문성 대 실용성’이었고 2차원은 ‘상담자 대 수요자’이었으며, ‘상담 및 프로그램’, ‘최신 경향 파악 및 특정 분야 전문가 되기’, ‘심리평가 및 자격 연수’, ‘자문, 연구 및 자기 관리’의 4개 군집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형성기와 성장기 전문상담교사들의 연수 요구 간 유사점과 차이점, 중요도를 비교하였으며 실제연수에의 반영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연수 종류별로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효과적 연수시스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연수 요구를 경력 단계에 따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경력 단계를 반영한 체계적 연수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경...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연수 요구를 경력 단계에 따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경력 단계를 반영한 체계적 연수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소수집단 간에도 비교가 가능한 개념도 방법을 사용한 연구였으며, 경력 단계별로 형성기 전문상담교사 11명과 성장기 전문상담교사 11명, 모두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형성기 교사들의 연수 요구 90개와 성장기 교사들의 연수 요구 62개의 핵심문장을 도출하였고 경력 단계별 연수 요구 개념도를 얻었다. 형성기의 개념도는 ‘행정 및 자문’, ‘상담 및 자기 관리’, ‘심리평가 및 자격 연수’의 3개 군집으로 구성되었으며 ‘사람 대 조직’, ‘공식 대 비공식’의 2차원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의 개념도 역시 2차원이었는데 1차원은 ‘전문성 대 실용성’이었고 2차원은 ‘상담자 대 수요자’이었으며, ‘상담 및 프로그램’, ‘최신 경향 파악 및 특정 분야 전문가 되기’, ‘심리평가 및 자격 연수’, ‘자문, 연구 및 자기 관리’의 4개 군집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형성기와 성장기 전문상담교사들의 연수 요구 간 유사점과 차이점, 중요도를 비교하였으며 실제연수에의 반영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연수 종류별로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 전문상담교사 경력 단계별 효과적 연수시스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merica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2 정일환, "현직연수의 발전방향" 교육부교육행정 연수원 7 : 24-32, 1998

      3 김수한, "헤럴드 경제 신문. 2012년 3월17일"

      4 김인규, "한국의 학교상담체제" 교육과학사 2011

      5 김희대, "한국의 전문상담교사 제도" 서현사 2007

      6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7 권경인,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79-1010, 2007

      8 국민일보, "학교폭력 방치하면 국가 장래 암울해져"

      9 이현아,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중학생 내담자와 전문상담교사의 인식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0 연문희, "학교상담: 학생생활지도" 양서원 2010

      1 America School Counselor Association,

      2 정일환, "현직연수의 발전방향" 교육부교육행정 연수원 7 : 24-32, 1998

      3 김수한, "헤럴드 경제 신문. 2012년 3월17일"

      4 김인규, "한국의 학교상담체제" 교육과학사 2011

      5 김희대, "한국의 전문상담교사 제도" 서현사 2007

      6 최해림,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713-730, 2006

      7 권경인,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한국상담학회 8 (8): 979-1010, 2007

      8 국민일보, "학교폭력 방치하면 국가 장래 암울해져"

      9 이현아,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중학생 내담자와 전문상담교사의 인식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0 연문희, "학교상담: 학생생활지도" 양서원 2010

      11 손현동, "학교상담 수퍼비전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윤혜숙,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자비자율연수에 대한 인식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3 명세영, "초등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연수 요구 분석 : 연수기관의 직무연수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조수연, "초기상담에서 상담자 발달 수준에 따른 공감정확도와 상담 만족도 : 임상실제자료를 기반으로 한 내담자 지각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15 김소정, "중학교 교사의 직무연수 요구 분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김수혜, "조선일보. 2012년 3월 6일"

      17 김인규, "전문상담교사제도 발전방안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517-534, 2009

      18 이기학, "전문상담교사 운영 및 활동 매뉴얼" 교육과학기술 2008

      19 한세대학교 교육연수원,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한세대학교 교육연수원 2011

      20 공주대학교 교육연수원,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수원 2012

      21 강남대학교 교육연수원,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 연수 교재" 강남대학교 교육연수원 2010

      22 한국교육개발원, "위 프로젝트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2012

      23 김정훈, "우울한 통계, 학생과 교사의 자살률"

      24 송은화,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도와 실태, 만족도 연구 - 숙련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17-334, 2005

      25 민경화,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방법의 적용" 한국상담학회 8 (8): 1291-1307, 2007

      26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7 임고운, "상담자 발달수준 및 역전이 활용에 따른 상담성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8 최해림, "상담자 교육과 수퍼비전의 현재"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7 (17): 1-18, 1999

      29 심흥섭, "상담슈퍼비전에 대한 소고" 17 : 1-14, 1996

      30 김계현, "상담수퍼비전 교육 내용 요구분석: 상담자의 경력 수준을 중심으로" 12 (12): 1-18, 2000

      31 박세훈, "교원인사행정론" 교육과학사 2011

      32 김정희, "교사의 전문적 능력개발을 위한 현직연수제도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 7 (7): 411-436, 2003

      33 조선일보, "‘8년째 OECD 자살률 1위’ 원인을 찾아야 할 때다"

      34 Luke, M., "The school counseling supervision model: An extension of the discrimination model" 45 : 282-295, 2006

      35 Studer, J. R., "Supervising the school Counselor trainee: Guidelines for practice"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6

      36 Orlich, D. C., "Staff development: Enhancing human potential" Allyn and Bacon 1989

      37 Barnet, R. I., "School counselor certification and supervision: Overlooked professional issues" 26 : 50-55, 1986

      38 Katz., "Research currents: Teacher as learners" 62 (62): 778-782, 1985

      39 Goodyear, R. K., "In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an illustrtion" 52 (52): 236-242, 2005

      40 Gysbersr, N. C., "Developing and managing your school guidance programs(4thed.)"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6

      41 Kane, 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tion" Sage 2007

      42 Trochim, W. M. K.,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and evaluation" 12 : 1-16, 1989

      43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chool ->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1.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 2.4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