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 The relationship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ffective-rej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4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행동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 측면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취학전 유아를 둔 어머니 22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의 t검증 및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단순 및 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유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녀 유아 어머니 모두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애정적 양육행동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부적 양육행동의 경우 남아의 어머니는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거부적 양육행동도 증가하지만 여아 어머니의 경우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진다고 해서 거부적 양육행동이 높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의 영향은 남아와 여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아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애정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거부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의 영향은 차이가 나타나지만, 남녀 유아 모두 자기조절이 어머니의 양육행동보다 양육스트레스에 의해 보다 많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행동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 측면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취학전 유아를 둔 어머니 229명을 대상으로 질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행동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 측면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취학전 유아를 둔 어머니 22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의 t검증 및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단순 및 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유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녀 유아 어머니 모두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질 때 애정적 양육행동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부적 양육행동의 경우 남아의 어머니는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거부적 양육행동도 증가하지만 여아 어머니의 경우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진다고 해서 거부적 양육행동이 높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의 영향은 남아와 여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아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거부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애정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자기조절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적 양육행동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거부적 양육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의 영향은 차이가 나타나지만, 남녀 유아 모두 자기조절이 어머니의 양육행동보다 양육스트레스에 의해 보다 많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ffective-rejective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229 mothers who had preschooler in Daegu and Gyou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single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Win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affective parenting for both sons and daughters. Child-rearing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rejective parenting for only daughters. (2)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rejective parent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ns' self-regulation. But child-rearing stress and affective parent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ughters' self-regulation.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more influential predictor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an mothers' affective or rejective parenting.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ffective-rejective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229 mothers who had preschooler in Daegu and Gyou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ffective-rejective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229 mothers who had preschooler in Daegu and Gyou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single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Win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affective parenting for both sons and daughters. Child-rearing str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rejective parenting for only daughters. (2)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rejective parent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ns' self-regulation. But child-rearing stress and affective parent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ughters' self-regulation.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more influential predictor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an mothers' affective or rejective parent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혁준,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 42 (42): 109-122, 2004

      2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방임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8) : 137-169, 2009

      3 김혜순, "유아의 지능, 가정양육환경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7-26, 2005

      4 송혜영, "유아의 정서적 행동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2007

      5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2003

      6 유우영,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양육스트레스원, 사회적지지,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36 (36): 65-78, 1998

      7 김현주,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2009

      8 박호선,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발달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2002

      9 김미숙,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3 (43): 25-35, 2005

      10 송미혜,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65-183, 2007

      1 문혁준,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 42 (42): 109-122, 2004

      2 홍순혜,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방임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8) : 137-169, 2009

      3 김혜순, "유아의 지능, 가정양육환경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7-26, 2005

      4 송혜영, "유아의 정서적 행동적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경북대학교 2007

      5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2003

      6 유우영,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양육스트레스원, 사회적지지,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36 (36): 65-78, 1998

      7 김현주,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2009

      8 박호선,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발달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2002

      9 김미숙,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3 (43): 25-35, 2005

      10 송미혜,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65-183, 2007

      11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2 (22): 115-132, 2001

      12 권연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1995

      13 김영옥,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05-228, 2008

      14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279-298, 2004

      15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19 (19): 27-42, 1998

      16 김미정, "어머니의 양육가치, 양육목표, 양육신념 및 조정행동과 유아의 순응행동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2001

      17 조영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련성 탐색" 성균관대학교 2008

      18 이주리, "어머니의 수용-거부와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경험: 양육 경험의 중재효과 탐색"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2 (12): 17-27, 2008

      19 이주리, "어머니의 수용 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9 (29): 57-71, 2008

      20 문혜련,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1999

      21 정현희, "아동의 자아통제능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39 (39): 175-188, 2001

      22 이경님,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39 (39): 46-68, 2001

      23 이영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변인 연구 : 자아개념, 부모, 교사, 친구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07

      24 안미경,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1996

      25 유은희,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97-106, 2006

      26 나은숙, "부모의 자녀수용-거부와 통제 척도에 대한 한국 타당화 검사: 유아 부모용"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15-247, 2008

      27 이완정, "보육시설의 질과 아동의 기질에 따른 걸음마기 영유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18 : 175-195, 1999

      28 도현심,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도 및 지식정도: 그 실태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0 (30): 127-143, 2009

      29 박성연,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9 (29): 109-124, 2008

      30 Kochanska, 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the first four years of life" 72 : 1091-1111, 2001

      31 Abidin,R.P,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s" 21 (21): 401-412, 1992

      32 Kuczynski,L, "Socialization goal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strategies for long term and short term compliance" 20 : 1061-1073, 1984

      33 Bronson,M.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 Nature and nurture" The Guilford Press 2000

      34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47 : 1020-1029, 1979

      35 Featherstone,B, "Research review : Parenting stress and externalizing child behavior" 7 : 219-225, 2002

      36 Deater-Deckard,K, "Parenting stress and child adjustment: Some old hypotheses and new questions" 5 : 314-332, 1998

      37 Grolnick, W. S, "Parenting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in Handbook of parenting 5" Erlbaum Associates 89-110, 2002

      38 Karreman, A,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A Meta-Analysis" 15 : 561-579, 2006

      39 Fristod, M. A, "Norms for the children report of parental behavior inventory modified form" 62 : 665-666, 1988

      40 Kochanska,G, "Multiple pathways to conscience for children with different temperament: from toddlerhood to age 5" 33 : 228-240, 1997

      41 Kochanska, G, "Mother-child mutually positive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ompliance to requests and prohibitions, and maternal control as correlates of early internalization" 66 : 236-254, 1995

      42 Crnic, K. A,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61 : 1628-1637, 1990

      43 Rothbart, M. K,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in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1" Erlbaum 37-86, 1981

      44 Kochanska, G, "Children’s emerging regulation of conduct: Restraint, compliance, and internalization from infancy to the second year" 68 : 1378-1389, 1998

      45 Crockenberg, S, "Autonomy as competence in 2-year-olds : Maternal correlates of child defiance,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26 : 961-971, 1990

      46 Kopp,C,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 perspective" 18 (18): 199-214, 1982

      47 Kuczynski, L, "A developmental interpretation of young children’s noncompliance" 23 (23): 799-806, 1987

      48 강희경,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어머니의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22 (22): 41-55, 1999

      49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