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부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적응 어려움과 대처 방식 = The Difficulties of Adaptation and Coping Behaviors of Single Parent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5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sub-domains were identified. The two main domains were ``challenges in adaptation`` and ``adaptation mechanism``. The challenges in adaptation were in regard to ``economic instability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and preparation for later years``, ``adaptation barriers as immigrant minorities``, ``the childrearing`s double burden of being a North Korean defector and single parent’, and ``stress due to recurrent family disorganization`` The adaptation mechanism was regarding ``economic dependency``, ``seeking for employment preparation opportunity that allows a grace period’, ``proactive help-seeking only for social capital``, ``optimal utilization of childrearing support system``, ``acceptance of life as a single parent and North Korean defector``, ``positive thinking``, ``strategic distancing from stress`` and ``effort to restore health``.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single-parent famil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sub-domains were identified. The two main domains were ``challenges in adaptation`` and ``adaptation mechanism``. The challenges in adaptation were in regard to ``economic instability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and preparation for later years``, ``adaptation barriers as immigrant minorities``, ``the childrearing`s double burden of being a North Korean defector and single parent’, and ``stress due to recurrent family disorganization`` The adaptation mechanism was regarding ``economic dependency``, ``seeking for employment preparation opportunity that allows a grace period’, ``proactive help-seeking only for social capital``, ``optimal utilization of childrearing support system``, ``acceptance of life as a single parent and North Korean defector``, ``positive thinking``, ``strategic distancing from stress`` and ``effort to restore health``.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single-parent famil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옥희, "현대사회와가족복지" 신정 2004

      2 박정옥, "해체가정과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차이" 대한가정학회 45 (45): 61-70, 2007

      3 장혜경, "한부모가정 자녀양육비 지원 법제화" 한국아동복지학회 2003

      4 현은민, "한부모가 인지한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자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1 (1): 167-189, 2004

      5 김순옥, "한부모 연구에 대한 고찰 —가족관련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09-229, 2011

      6 신혜경, "한부모 가정의 아동 지원을 위한 실천분석 연구" 3 (3): 25-50, 2007

      7 허경옥, "편모가정과 일반가정의 자녀양육비지출 비교 분석" 33-54, 1995

      8 이성림,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69-179, 2004

      9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175-223, 2002

      10 윤인진, "탈북자 문제의 실태와 분석" 18 : 3-32, 2000

      1 채옥희, "현대사회와가족복지" 신정 2004

      2 박정옥, "해체가정과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 차이" 대한가정학회 45 (45): 61-70, 2007

      3 장혜경, "한부모가정 자녀양육비 지원 법제화" 한국아동복지학회 2003

      4 현은민, "한부모가 인지한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자원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1 (1): 167-189, 2004

      5 김순옥, "한부모 연구에 대한 고찰 —가족관련 전문학술지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209-229, 2011

      6 신혜경, "한부모 가정의 아동 지원을 위한 실천분석 연구" 3 (3): 25-50, 2007

      7 허경옥, "편모가정과 일반가정의 자녀양육비지출 비교 분석" 33-54, 1995

      8 이성림,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169-179, 2004

      9 이기영,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175-223, 2002

      10 윤인진, "탈북자 문제의 실태와 분석" 18 : 3-32, 2000

      11 이기영, "탈북자 가족의 남한사회적응과정" 2000

      12 박미석, "탈북자 가족의 남한사회 적응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 방안" 17 : 3-74, 1999

      13 이화진,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탈북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4 김창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통일학신서 5>"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15 이순형, "탈북가족의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출반부 2007

      16 이기영, "탈북가족구성원의 가족관계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 탈북자 가구주 및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17 (17): 243-271, 2001

      17 조영아,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7-36, 2005

      18 조영아,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509-527, 2010

      19 전경근, "적정한 양육비의 산정 및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2005

      20 권복순, "저소득층 건강검진 유소견자의 의료이용 양상 및 관련요인" 28 (28): 87-105, 2003

      21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22 김은주,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생활실태 및지원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2004

      23 곽민주, "재무비율을 이용한 편모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4 (14): 55-71, 2003

      24 김연희, "장기 정착 새터민의 빈곤특성 연구: 남한 빈곤층과의 비교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95-218, 2009

      25 황은숙, "이혼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6 송다영, "여성가장 가족의 빈곤문제와 성인지적 탈빈곤 정책"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2 (22): 131-159, 2008

      27 조성연,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자녀양육방법" 한국생활과학회 12 (12): 579-593, 2003

      28 장혜경,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여성부 2001

      29 박정란,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한민족문화학회 28 (28): 97-135, 2009

      30 박정란, "성인지적 관점(Gender-Sensitive Perspective)에서의 여성 새터민 취업지원 방안"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남북한 통합 과제: 에너지·새터민·의식 22-50, 2008

      31 황은숙, "서울시 한부모 가정 실태조사 연구" 12 (12): 1-34, 2006

      32 조권중, "서울시 저소득층 복지수요조사" 서울복지재단 2005

      33 최명애, "새터민 중고령자의 남한에서의 치료추구행위 경험에 대한 연구" (창간) : 285-316, 2009

      34 윤인진, "새터민 여성·청소년 실태조사보고서" 북한인권정보센터 2007

      35 이혜경, "빈곤퇴치: 한국의 경험과 교훈" UNDP 한국대표부 1998

      36 김영란,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복지정책" 31 : 1-28, 1997

      37 성미애,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한국가족학회 21 (21): 1-28, 2009

      38 옥선화, "빈곤 여성가장의 모-자녀 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55-78, 2002

      39 한인영, "북한이탈주민의 이주형태 및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비교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0 (10): 121-142, 2002

      40 장혜경,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안정성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2000

      41 김영수,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문제" 9 : 102-117, 2000

      42 안연진,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문화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43 김연희,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19 (19): 141-174, 2010

      44 김유정,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 대한 지원 방안-레질리언스 관점을 중심으로-" 국가관리연구원 15 (15): 99-129, 2011

      45 이애란,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사회정착 현황과 조기정착 방안" 19 : 1-20, 2010

      46 김영희, "북한이탈주민 가족유형과 가족적응의 어려움"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6

      47 강해성,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사회 초기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48 박주현, "북한이탈아동의 부모관련요인과 문화적 지향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 (7): 23-40, 2010

      49 홍주은,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0 윤인진, "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89-108, 2007

      51 이미경, "북한의 모성이데올로기: 『조선녀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6 (26): 391-422, 2004

      52 임인숙,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한국가족학회 20 (20): 99-126, 2008

      53 조영아,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197-222, 2012

      54 이민영,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5 박현정, "근거이론을 이용한 새터민 어머니의 양육경험의 변화과정" 한국아동간호학회 17 (17): 48-57, 2011

      56 진미정,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 45 (45): 63-74, 2007

      57 변화순,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05-130, 2002

      58 조흥식, "가족복지학" 학지사 1997

      59 장혜경, "가족내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5

      60 Kitson, G. C., "The multiple consequences of divorce : A decade Review" 52 (52): 913-824, 1990

      61 McLoyd, V. C.,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61 : 311-346, 1990

      62 Richards, L. N., "Problems and strengths of single-parent families :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42 (42): 277-285, 1993

      63 Williams, 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 A handbook for clinicians" Disabled American Veterans 1987

      64 Hyman, I., "Post-migration stresses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 youth in Canada : A research note" 31 (31): 281-294, 2000

      65 Crnic, K. A.,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61 : 1628-1637, 1990

      66 Zelkowitz, P., "Live in stress: Women and depression" Sage 154-162, 1982

      67 Strauss, A.,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4

      68 Stern, P.,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Its uses and processes" 12 : 20-23, 1980

      69 Elliot, R, "Entering the circle: Hermaneutic Investigations in Psychology" SUNY Press 1989

      70 Weinraub, M.,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s on mother-child interactions in single and two-parent families" 54 : 1277-1311, 1983

      71 Simons, R., "Childhood experience, conceptions of parenting and attitudes of spouse as determinants of parental behavior" 55 : 91-106, 1993

      7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 and techniques (2nd ed.)" Sage 1998

      73 Hill, C. E.,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97

      74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1 북한이탈주민생활실태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1

      75 허선행, "2010 북한이탈주민경제활동 실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0

      76 보건복지부, "2005년 전국 아동 학대 현황 보고서"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