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B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이며, 연구 방법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40316
2013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89-109(21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B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이며, 연구 방법은 ...
이 연구의 목적은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B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이며, 연구 방법은 사전사후 통제반 실험설계이고, 수업에 적용한 단원은 5학년 2학기 실과 ‘7. 정보 기기와 사이버 공간’ 이다. 실험반은 2012년 10월 1주부터 2012년 11월 1주까지 5주간에 걸쳐서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시하였고 통제반에는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정보교육에 대한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학생들의 정보교육에 대한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연구를 통해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on students’ affective peculiar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5th graders in B elementary school in Goyang city, Gye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on students’ affective peculiar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5th graders in B elementary school in Goyang city, Gyeongi-province and this study was adapted to chapter 7 ‘Information Devices and Cyberspa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through the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class was designed to have an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for five weeks, whereas the control class was designed to have an existing educational program. It started from the first week of October to the first week of November, 2012. After experimenting Information Education adapting STEAM with the students, we have examined t-test using SPSS 20.0 statistic program which set the significant level to 5%.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it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udents' self-efficacy. Second,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tudents' interest towards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hird,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s has proved that the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s effective to the students' affective peculiarities. We could know that informa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dapting STEAM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education fiel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재주, "화학영역의 통합적 STEM 발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65-188, 2011
2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3 전병이,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통합교육과정이 학습흥미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5 김정희, "초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 교과-예술 통합형 문화 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
6 임경희, "초등학생 진로인식을 위한 학습흥미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11 : 231-257, 2000
7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금영충,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95-216, 2012
9 김우진,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D-Frame 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박소정, "중학교 전자 기계 기술 단원에서 활용할 오토마타 만들기 STEAM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199-220, 2012
1 조재주, "화학영역의 통합적 STEM 발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65-188, 2011
2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11 (11): 1-19, 1997
3 전병이,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통합교육과정이 학습흥미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5 김정희, "초중등학교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 개발 연구 : 교과-예술 통합형 문화 예술교육 교안 개발 매뉴얼"
6 임경희, "초등학생 진로인식을 위한 학습흥미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11 : 231-257, 2000
7 서주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금영충,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95-216, 2012
9 김우진,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D-Frame 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박소정, "중학교 전자 기계 기술 단원에서 활용할 오토마타 만들기 STEAM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199-220, 2012
11 배선아, "중학교 전기전자기술 영역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1-22, 2011
12 김아영, "자기효능감과 측정" 51-64, 1996
13 한혜진,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5 이철현, "융합인재교육(STEAM)의 스마트러닝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123-147, 2012
16 박성진,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 흥미 및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7 박혜원,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백윤수, "융합인재 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9 이학용, "융합교육(STEAM)을 활용한 고등학교 물리수업방법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이철현, "실과 교과 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139-161, 2011
21 금지헌, "실과 가정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실과에 대한 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61-71, 2012
22 이창훈,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초등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189-207, 2013
23 김진영,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24 이용대, "담임교사와 전담교사의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배선아,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47-64, 2011
26 김진수,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29, 2007
27 조재주,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210-227, 2011
28 홍시내, "교과통합 직업탐색 프로그램이 아동의 직업인지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9 송진웅, "과학기술, 교육, 문화의 융합 시너지 효과 제고의 위한 한국과학창의재단운영방안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30 이동윤,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차정은, "STEAM 교육이 성공하려면" 2011
32 류청산, "SPSS 14.0 for Windows" 도서출판 엘리트 2006
33 문성환,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87-314, 2012
탄소 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중학년용 저탄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한 초등교사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대한 연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의 인지적 목표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