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김윤정·권순희, 2015)의 후속 연구로 현재 13-14세가 된 동일 참가자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부모-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89522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1-279(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김윤정·권순희, 2015)의 후속 연구로 현재 13-14세가 된 동일 참가자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부모-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김윤정·권순희, 2015)의 후속 연구로 현재 13-14세가 된 동일 참가자들의 의사소통 양상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rnes & Olson의 가족 간의 유형(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Ⅲ), Barnes & Olson(1982)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척도(PACI: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Schaefer, E. S.(1959)의 어머니의 양육태도 지각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세 가정 모두 초등 저학년 때와 비교했을 때 가족 의사소통 유형 인식에 변화가 있었는데, 엄마들의 자녀에 대한 태도 변화가 자녀의 의사소통 인식과 양상에 직접적 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는 종단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부모-자녀 간 대화 전략 개발, 부모의 대화 교육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민 계몽적 언어문화 개선 교육의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parent-child dialogue (Kim Yune-jung, Kwon Soon-hee, 2015) with lower grad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same participants who are now 13-14 years old and to sug...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parent-child dialogue (Kim Yune-jung, Kwon Soon-hee, 2015) with lower grad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same participants who are now 13-14 years old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good parent-child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III,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Barnes & Olson, 1982), Attitude perception test paper(Schaefer, ,1959) was used. All three households ha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s of family communication types as compared to their lower grades. Changes in mother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directly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and pattern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desirable parent-child dialogue strategies and parental dialogu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nges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education for improving enlightenment of language and cul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경, "한국 가족의 현실과 변화" 여성가족부청소년가족정책실 가족정책과 2004
2 이창덕,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9 : 351-388, 2006
3 안태숙, "표준화법에 관한 국민의 국어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0
4 이창덕, "표준화법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5 강영혜, "통계로 본 한국과 세계교육 시리즈 12: 학생의 삶"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김윤정,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183-230, 2015
7 최유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이 교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59-75, 2007
8 한국여성개발원, "청소년과 부모세대간 문화갈등 요인분석 및 문화소통 증진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6
9 고지은,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해소를 위한 성인아이 부모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개발 : 비폭력대화모델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4
10 유혜정, "청소년 자녀와 부모간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 - 부모자녀의 실제대화 UCC동영상을 활용한 대화분석을 토대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39-160, 2011
1 이재경, "한국 가족의 현실과 변화" 여성가족부청소년가족정책실 가족정책과 2004
2 이창덕,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9 : 351-388, 2006
3 안태숙, "표준화법에 관한 국민의 국어사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0
4 이창덕, "표준화법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5 강영혜, "통계로 본 한국과 세계교육 시리즈 12: 학생의 삶"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김윤정,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183-230, 2015
7 최유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이 교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59-75, 2007
8 한국여성개발원, "청소년과 부모세대간 문화갈등 요인분석 및 문화소통 증진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6
9 고지은,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해소를 위한 성인아이 부모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개발 : 비폭력대화모델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2014
10 유혜정, "청소년 자녀와 부모간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 - 부모자녀의 실제대화 UCC동영상을 활용한 대화분석을 토대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139-160, 2011
11 정승희, "장애아동을 둔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언어유형"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163-194, 2006
12 김종운,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17-435, 2019
13 박태영, "이혼위기로 인한 부인의 우울증과 아들의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8 (18): 27-61, 2010
14 유순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15 민선옥, "유치원에서의 부모코칭 적용과정탐색"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변화순, "영세지역 가족관계 및 사회적 연결망에 관한 연구" 여성정책연구원 1990
17 한호순,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부부대화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언어유형"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 (9): 133-147, 2005
18 김충현,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정서교양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이주행, "부모의 대화법에 관한 고찰" 10 : 91-121, 2007
20 박태영, "부모와 갈등을 겪는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에 대한 사례연구: 부모-자녀 간 ‘대화 장벽’ 허물기"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149-174, 2010
21 조재윤, "부모-자녀의 대화 방법 연구" 6 : 9-34, 2003
22 申秀貞,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전사춘기 자녀를 중심으로"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4
23 김연자,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2
24 최인경,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25 김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9
26 김은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감독과 청소년들의 위험 성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263-278, 2019
27 김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28 윤동화, "다문화가정 해체가 자녀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4
29 정문자, "가출청소년이 지각한 의사소통능력 및 가족갈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317-333, 2010
30 나은영, "가족평등대화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자기효능감과 가족갈등의 매개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5-49, 2009
31 이숙현, "가족체계 유형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6 : 215-226, 1992
32 김준호, "가족의 구조와 기능과 청소년 비행"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225-267, 2002
33 장해순, "가족과의 대화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성향" 한국화법학회 (21) : 287-318, 2012
34 김혜정, "가족 간 전화대화의 구조적 양상 분석 - 대학생 자녀와 부모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8) : 233-257, 2011
35 閔河榮, "靑少年 非行 程度와 父母-子女間 意思疏通, 家族의 凝集 및 適應과의 關係"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36 金璟媛, "親族關係網 紐帶特性에 관한 硏究: 서울市 主婦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9
37 Bienvenu, M. J.,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62 (62): 344-345, 1970
38 Barnes, H. L., "Family inventories" Family 1982
39 Duvall, E. M., "Family dilemmas with teen-agers" 14 (14): 35-38, 1965
40 Galvin, K. M., "Family communication : cohesion and change" Scott, Foresman 1986
41 윤상석,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 Conversations at Korean Homes -Discursive Construction of Parents’ Identity as Home Educators-" 한국어학회 56 : 149-181, 2012
42 임희진, "2008 청소년 가치관 국제비교 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아동청소년정책과 2009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읽기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