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9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 are 32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Data collection was to respond to questionnaire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as self-report. The collected data was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is was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study in research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b factor, amicability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showed the lowest. In resilience sub factor, interpersonal skill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sub factor, relieve emotional coping was the most low and wishful thinking coping appeared to be the highest.
      Second,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sub factor, sub factor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factors ha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wer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blem-focused coping correlated.
      Third,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b factor, Both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was found on a negative effect in stress coping strategist. there are positive effect in resilience. Also the resilienc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 are 32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 are 325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Data collection was to respond to questionnaire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esilience as self-report. The collected data was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is was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study in research set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b factor, amicability showed the highest, stability showed the lowest. In resilience sub factor, interpersonal skills showed the highest scor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sub factor, relieve emotional coping was the most low and wishful thinking coping appeared to be the highest.
      Second,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sub factor, sub factor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resilience factors hav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wer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blem-focused coping correlated.
      Third,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b factor, Both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was found on a negative effect in stress coping strategist. there are positive effect in resilience. Also the resilience in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325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식으로 성격특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회복탄력성 척도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해 각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격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우호성이 가장 높고 안정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완화적 대처가 가장 낮고, 소망적사고 대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특성의 하위요인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격특성과 문제중심적 대처만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격특성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특수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특수교사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325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기보고식으로 성격특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회복탄력성 척도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해 각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격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우호성이 가장 높고 안정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서완화적 대처가 가장 낮고, 소망적사고 대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특성의 하위요인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격특성과 문제중심적 대처만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격특성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도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회복탄력성-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2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3 김영한, "특수학급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특성"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1-231, 2010

      4 유수정, "특수학급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8

      5 이정현,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6 이임덕,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낙관성, 긍정적 환상과 심리사회적응간의 관계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담당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박주희, "특수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김미나, "특수교사의 성격강점,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고은아, "특수교사의 교직관과 정서적탈진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이정현, "특수교사 회복탄력성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1-17, 2013

      11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45-67, 2006

      12 최진성,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특성 비교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39-262, 2014

      13 윤다혜,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14 홍승희,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신현숙, "중학생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지각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김아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강인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7 강정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5

      18 김애경,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231-253, 2015

      19 백승민,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 중학생의 Big Five 성격특성검사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0 김진화, "성격과 전공만족도 관계에 대한 전공선택유형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21 문수정, "상담자의 애착,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6

      22 김정희,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03-120, 2014

      23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24 金貞姬, "知覺된 스트레스,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25 Chan, D. W., "The hierarchy of strengths : Their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teacher in Hong Kong" 25 : 867-875, 2009

      26 Reivich, K.,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2003

      27 Gu, Q., "Teachers resilience :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23 (23): 1302-1316, 2007

      28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9 Emery, D. W.,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nd ACT" 25 (25): 119-131, 2010

      30 Fraser, M. W.,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NASW Press 13-66, 2003

      31 김옥희, "NEO아동성격검사에 따른 초등학생의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안현의, "NEO 아동 및 청소년 성격검사의 해석과 활용" 한국가이던스 2006

      33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Free Press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