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농촌지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82725
2017
Korean
rural area ; youth ; well-being ; individual factor ; family factor ; school factor ; community factor ; 농촌지역 ; 청소년 ; 행복감 ; 개인요인 ; 가족요인 ; 학교요인 ; 지역사회 요인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1-351(2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농촌지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해 보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농촌지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족적, 학교적, 지역사회요인을 확인한다. 둘째, 이들 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2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을수록 유의미하였고, 가족요인인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요인으로는 학교급, 성적, 교사지지, 지역사회요인으로는 동네유대감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 하여 결론부분에서는 농촌지역 청소년의 행복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factors having an effect on well-being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th in rural area. In this regard,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ecks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factors having an effect on well-being for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th in rural area. In this regard,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hecks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well-being of youth in rural area. Second, it is intended to grasp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se factors. To this end, 298 youths living in rural area of Jeollabuk-do were surveyed. SPSS 20.0 was used for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as self-esteem, individual factor, increased, and as depression decreased, it was significant. And it was verified that, as economic status, family factor, improved, and as parental attachment improved, an effect was produced on well-being. School, school record and teacher support as school factors and neighborhood bond as community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well-being of youth in rural area we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철,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Ⅱ):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63-109, 2008
2 임미향, "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질 지각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05-222, 2005
3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649-665, 2009
5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혜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9-297, 2007
7 구재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18, 2006
8 한상철, "성인의 청소년기 위험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201-218, 2008
9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경희, "빈곤지역아동의 거주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우리 동네살이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09-131, 2011
1 김의철, "한국 사회와 교육적 성취(Ⅱ):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 63-109, 2008
2 임미향, "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질 지각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205-222, 2005
3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649-665, 2009
5 이혜경,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혜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9-297, 2007
7 구재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18, 2006
8 한상철, "성인의 청소년기 위험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201-218, 2008
9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경희, "빈곤지역아동의 거주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우리 동네살이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09-131, 2011
11 김웅수,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83-203, 2010
12 이두휴, "도시와 농촌간 교육양극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121-148, 2011
13 박영신,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 지역, 부모의 기대, 부모자녀갈등,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5-41, 2011
14 이선민, "도·농지역 청소년의 물리적 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주거학회 25 (25): 73-83, 2014
15 이두휴, "농촌학교에서 행복이 실현되기 위한 조건" 48-59, 2014
16 이채식,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 실태와 활성화방안"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57-71, 2007
17 김미현, "농촌지역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5-27, 2002
18 최혜정, "농촌지역 청소년의 동네살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17-234, 2015
19 서재복, "농촌지역 청소년 일탈행동 예방프로그램의 지속적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19, 2007
20 서재복, "농촌지역 청소년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의 즉시적 효과와 지속적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33-253, 2006
21 정현웅, "농촌지역 실업계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충동성과 공격성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9 (9): 601-614, 2008
22 이경준, "농촌지역 노인들의 이동권 증진을 위한 교통복지적 대안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247-268, 2013
23 오현이, "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우울정도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5 (35): 124-133, 2010
24 최성광, "농촌 소규모 초등학교 공간의 특수성 연구"
25 김순규, "가족 환경 요인이 청소년학업 중퇴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1 (11): 43-64, 2004
26 Anthony, E. K., "Youth perceptions of neighborhood hassles and resources : A mixed method analysis" 30 : 1246-1255, 2008
27 Lyubomirsky, S.,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131 (131): 803-855, 2005
28 Brewster, A. B., "Teacher support and the school engagement of Latin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risk of school failure" 21 (21): 42-67, 2004
29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 34-43, 2000
30 Peterson, C.,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2 : 149-156, 2007
31 Suldo, S., "Longitudinal academic outcomes predicted by early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psychopathology, and mental health status yielded from a dual factor model" 6 (6): 17-30, 2011
32 Ben-Zur, H., "Happy adolescents : The link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internal resources, and parental factors" 32 (32): 67-79, 2003
33 Vartanian, T. P., "Childhood and Adolescent Neighborhood Effects on Adult Income : Using Siblings to Examine Differences in OLS and Fixed Effect Models" 79 : 60-94, 2005
34 Gilman, 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report very high life satisfaction" 35 (35): 293-301, 2006
35 Park, N.,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levels and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36 (36): 444-456, 2005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부모지지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상담 실천의 통합 절충적 4단계 모형 연구: 탐색-통찰-실행-유지
중학교 기초학력미달 학생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0-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