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화모임을 통한 참여자들의 부모-되기 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한 대화모임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현장은 다섯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3894
2022
Korean
Becoming-Parents ; Dialogue ; Dialogue Group Meeting ; Parent Education ; Adult Learning ; 부모-되기 ; 대화 ; 대화모임 ; 부모교육 ; 성인학습
KCI등재
학술저널
71-9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화모임을 통한 참여자들의 부모-되기 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한 대화모임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현장은 다섯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화모임을 통한 참여자들의 부모-되기 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한 대화모임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현장은 다섯 아버지들과 미혼 여자 구성원 한 명으로 구성된 한 대화모임이며, 연구 참여자는 다섯 아버지들로 설정하였다.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지자료조사의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부호화 및 범주화를 기초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의 부모-되기는 ‘허물기-만들기-대화와 현실 사이의 순환적 과정’이었다. 그들은 자녀에게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관점과 사회의 기준을 ‘허물었다’. 그러나 모임의 대화와 현실을 오가며 그들은 허물고 만들기를반복해갔다. 참여자들의 체험은 자녀만을 위하여 살게 되는 것이 아니라, 자녀를 통하여 더 나은 나로 성장하는 부모되기였다. 이를 통해 첫째, 대화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들의 대화는 실존적 대화로, 자녀와 자신의 더 나은삶을 “궁리하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형식적 교육 밖에서도 부모로서의 ‘더 나음’을 추구할 수 있는 교육적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용주,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위한 성인교육에서의 생애기술교육: 새로운 부모교육모듈을 위한 제안"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83-106, 2004
2 이관춘, "호모 키비쿠스, 실존적 자아실현을 위한 배움인간" 3 (3): 49-67, 2011
3 이미경, "한국 50대여성의 부모됨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2016
4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 인간다움과 교육적 삶" 교육과학사 2016
6 정효정 ; 이성아 ; 김민정,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부모학회 9 (9): 53-75, 2022
7 남미애 ;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70, 2011
8 Saldana, J.,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신정 2012
9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0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 신용주, "효과적인 부모교육을 위한 성인교육에서의 생애기술교육: 새로운 부모교육모듈을 위한 제안"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83-106, 2004
2 이관춘, "호모 키비쿠스, 실존적 자아실현을 위한 배움인간" 3 (3): 49-67, 2011
3 이미경, "한국 50대여성의 부모됨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남대학교 2016
4 엄태동, "하이데거와 교육 : 인간다움과 교육적 삶" 교육과학사 2016
6 정효정 ; 이성아 ; 김민정,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부모학회 9 (9): 53-75, 2022
7 남미애 ;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70, 2011
8 Saldana, J., "질적연구자를 위한 부호화 지침서" 신정 2012
9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0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1 박세원, "왜 존재론적 탐구인가? : 인간 언어성 분석을 통해 본 연구방법론적 과제" 대구교육대학교 30 (30): 1-21, 2014
12 황지애,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세 어머니의 육아경험과 어머니 됨의 의미" 원광대학교 2015
13 이석호 ; 이주연,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변인 연구 : 양육행동의 하위영역별 비교" 한국보육학회 12 (12): 111-130, 2012
14 이송은 ; 박성연,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수행귀인 및 부모역할 인식과 그에 따른 양육행동"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131-149, 2012
15 최인호 ; 김진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남녀 청소년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 21 (21): 81-102, 2013
16 박지현 ; 이동혁, "어머니의 양육행동 결정요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문제행동 간의 관계 : 일반청소년집단과 비행청소년집단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01-232, 2016
17 이영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한국가족학회 21 (21): 41-61, 2009
18 Bollnow, O. F., "실존철학과 교육학: 비연속적 교육형식의 모색" 학지사 2008
19 한지윤 ; 강선보, "실존주의 성인교육철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2 (22): 77-109, 2016
20 Lindeman, E. C., "성인교육의의미" 학이시습 2013
21 최성우, "부모학: 성인학습적 관점에서의 탐구"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2 (12): 143-165, 2016
22 Senior, J., "부모로 산다는 것" 알에이치코리아 2014
23 최혜순, "부모교육" 동문사 2011
24 전가일, "부모-되어감의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비교체험 연구" 2015
25 오명숙, "박물관활동을 통한 성인여성의 교육적 성장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2015
26 서덕희, "문화와 교육 개념의 실존성: ‘살아있는’ 교육인류학을 위한 소고" 한국교육인류학회 12 (12): 1-44, 2009
27 장지연, "마틴 부버의 '대화적 관계의 교육'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28 조선경, "대화모임에서 영아보육교사들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2011
29 이종태, "대안교육 이해하기" 민들레 2007
30 이진경, "노마디즘 2" 휴머니스트 2002
31 Hopkins, R. L., "내러티브, 학교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창지사 2013
32 Polkinghorne, D.,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 인문과학연구의 새 지평" 학지사 2009
33 최형성, "남녀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양육행동의 인과관계 모형"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21-137, 2005
34 서근원,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 탐색"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40, 2007
35 Ha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8
36 조용환, "고등학생의 학업생활과 문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37 박성제, "“양육할 자신 없어” 종이가방에 신생아 버린 20대 남녀 검거"
38 서덕희, "“나를 넘어선다는 것” : 홈스쿨링을 통해 본 ‘부모-되기’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철학회 (41) : 121-153, 2010
39 정민승, "‘부모역할’에서 ‘부모되기’로: 부모교육론 재구성을 위한 페미니즘적 탐색" 미래원격교육연구원 18 (18): 55-76, 2022
40 조영미, "['개저씨'로 본 혐오와 분노 사이] 약자 앞에선 군림, 강자에겐 굽신… 그대이름 '개+저씨'"
41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5
42 Yuen, L. H., "Personal growth and development of parent leaders through a group parent education program" 21 (21): 547-560, 2017
43 First, J. A., "Parent education outcomes : Insights into transformative learning" 44 (44): 104-109, 1995
44 Christopher, S., "Education for self-support : Evaluating outcomes using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50 (50): 134-142, 2001
45 To, S. M., "A qualitative analysis of parents'perceived outcomes and experiences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adopting a transformative approach" 27 (27): 79-94, 2013
초등학생 자녀의 원격수업 지원을 위한 학부모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경험 탐색
기초학력향상 지원 프로그램 새라배움(New Learning) 효과성: MTSS(Mutitiered system of support) 모델 사례
Q 방법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교양교과 선택 및 만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