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7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U시 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2개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U시 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2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4세 유아 30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그림책의 그림, 명화그림, 사진그림의 9가지에 대한 이야기를 총 9회 꾸며보고 그 활동결과를 책으로 만들어 보는 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의 유아들은 동화를 듣고 이야기를 다시 말해보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동화를 듣고 이야기를 다시 말해보는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전체 창의성과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4 attend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U city,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4 attend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U city, Gyeonggi-do.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story making activities 1 time 1 week, which were 9 times for 9 weeks, and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changes of creativity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reativity improvement sco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story making using picture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by fairy tales listening and retelling activities. Second, the improvement score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s sub-factors of the experiment group conducted by story mak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ed by fairy tales listening and retell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채, "토란스 TTCT(언어) A형" 현곡 R&D 2002

      2 전경원, "창의학" 학문사 2000

      3 조연순, "창의성: 21세기 교육의 키워드" 한국초등교육학회 3-9, 2009

      4 박미경,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지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최은주,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6 윤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신금호,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9

      8 김지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김순자,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정민자,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1 김수연,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2 채미영, "유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 평가 준거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3 이미애, "상상력이 포함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신유진,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임영심, "동화표상활동이 4세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1 (1): 91-110, 1997

      16 정서연,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17 배국현, "글 없는 그림책을 이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김지연,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9 오정은,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후속 이야기 짓기가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윤혜진, "교사의 질문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21 D'Angelo, K., "Wordless picture books and the young language-disabled child" 14 : 34-37, 1981

      22 Cliatt, M. J., "The storytime exchange : Ways to enhance it" 64 : 293-298, 1988

      23 Sternberg, R. J., "The concept of creativity : Prospects and paradigms, In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5, 1999

      24 Torrance, E. P., "Research review for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nd Verbal Form A and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2000

      25 Wright, A., "Pictures for language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26 Torrance, E. P., "Education and Creative Potential"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63

      27 Gardner, H., "Creating minds" Basic Book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