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가 인식하는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 은유분석을 통해 = Awareness of Parents’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Based on Metaphor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4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들이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267명이 제시한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에 대한 은유표현이며, 연구방법은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들이 인식하는 부모 역할에 대해 은유를 통해 알아본 결과 11개로 범주화되었다. 도출된 범주 유형의 이름은 부모들이 제시한 은유를 근거로 명명하였으며 범주 유형은 네비게이션, 치어리더, 환경제공자, 적극적 행동자, 거울, 협력자, 기다리는 사람, 친구, 관찰자, 질문자, 방해꾼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창의성교육에 있어서 영유아기 부모들에게 제공해야 할 부모의 역할 등을 포함한 창의성 관련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들이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267명이 제시한 ...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들이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267명이 제시한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에 대한 은유표현이며, 연구방법은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들이 인식하는 부모 역할에 대해 은유를 통해 알아본 결과 11개로 범주화되었다. 도출된 범주 유형의 이름은 부모들이 제시한 은유를 근거로 명명하였으며 범주 유형은 네비게이션, 치어리더, 환경제공자, 적극적 행동자, 거울, 협력자, 기다리는 사람, 친구, 관찰자, 질문자, 방해꾼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창의성교육에 있어서 영유아기 부모들에게 제공해야 할 부모의 역할 등을 포함한 창의성 관련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promoting creativity. Methods: Metaph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perceived their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in creativity educati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explain how metaphors relate to parents’ roles in creativity edu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s’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11 categories: navigation (n = 63, 23.6%), cheerleader (n = 40, 15.0%), the physical environment (n = 38, 14.2%), active actor (n = 37, 13.9%), mirror (n = 22, 8.2%), partner (n = 16, 6.0%), “wait and see” (n = 16, 6.0%), friend (n = 15, 5.6%), observer (n = 9, 3.4%), questioner (n = 6, 2.2%), and troublemaker (n = 5, 1.9%). Conclusion: Creativity education does not only take place in school but also through one’s entire life. Young children spend time with par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are numerous. Thus, parents need to think about their roles in promoting their children’s creativity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for a parents’ education program regarding.
      번역하기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promoting creativity. Methods: Metaph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perceived their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in c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promoting creativity. Methods: Metaph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perceived their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in creativity educati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explain how metaphors relate to parents’ roles in creativity edu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s’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11 categories: navigation (n = 63, 23.6%), cheerleader (n = 40, 15.0%), the physical environment (n = 38, 14.2%), active actor (n = 37, 13.9%), mirror (n = 22, 8.2%), partner (n = 16, 6.0%), “wait and see” (n = 16, 6.0%), friend (n = 15, 5.6%), observer (n = 9, 3.4%), questioner (n = 6, 2.2%), and troublemaker (n = 5, 1.9%). Conclusion: Creativity education does not only take place in school but also through one’s entire life. Young children spend time with par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are numerous. Thus, parents need to think about their roles in promoting their children’s creativity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for a parents’ education program regar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순련,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유아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17-34, 2016

      2 서울대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 모임, "창의혁명" 코리아닷컴 2018

      3 한신실,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4 김경민,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5 강현숙,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735-759, 2014

      6 박숙희,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5) : 151-170, 2008

      7 전정희, "창의성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양육태도 및 유아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9 이경화, "창의성" 동문사 2014

      1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잠재력"

      1 하순련,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유아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17-34, 2016

      2 서울대학교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수 모임, "창의혁명" 코리아닷컴 2018

      3 한신실,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4 김경민,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5 강현숙,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735-759, 2014

      6 박숙희,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5) : 151-170, 2008

      7 전정희, "창의성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양육태도 및 유아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9 이경화, "창의성" 동문사 2014

      10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잠재력"

      11 오형엽, "인지언어학적 은유론의 수사학적 고찰 - 레이코프와 존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02) : 499-528, 2008

      12 한안나, "은유분석을 통한 영유아기 부모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인지발달중재학회 10 (10): 85-100, 2019

      13 류수민, "은유(metaphor)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169-188, 2015

      14 김용주,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15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10 : 167-187, 2007

      16 정민자,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17 김경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8 김형재, "유아기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8 (8): 51-68, 2017

      19 신혜경,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6 (16): 41-61, 2016

      20 남미경, "예비보육교사의 창의성에 따른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및 일반적 교사역할인식의 차이" 16 (16): 129-143, 2007

      21 조연순, "예비 초등교사가 발견한 학생 창의성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교육과학연구소 43 (43): 137-164, 2012

      22 정옥분, "영유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15

      23 김정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지위 및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4 심미영,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 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2 (22): 509-536, 2018

      25 정미라,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01-122, 2015

      26 고선옥,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27 이송연, "아동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부모 · 교사교육 국내 연구동향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77-201, 2015

      28 박정연,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29 이현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 자기주도성과 사회정서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225-244, 2014

      30 김경회,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거부적 양육태도, 유아의 인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53-70, 2017

      31 안선희, "미술활동과 생각도구를 통한 창의성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6

      32 Runco, M. A., "간결한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교육. 교실에서의 창의성 교육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학지사 355-379, 2014

      33 김진희, "가정연계 상상프로젝트 창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34 책키, "[창의]세계 각국의 창의성 교육" 네이버 블로그

      35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6, 1983

      36 Sternberg, R. J., "The nature of creativity" 18 (18): 87-98, 2006

      37 Csikszentmihalyi, M., "The creative personality" 29 (29): 36-40, 1996

      38 Schmitt, R.,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10 (10): 358-394, 2005

      39 이순복, "STEAM(융합인재교육)기반 미술교육이 유아의 미술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10 (10): 25-46, 2019

      40 천미애,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창의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가상적 내러티브 구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6 (6): 23-37, 2015

      41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42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43 Dacey, J. S.,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of highly creative adolescents" 23 (23): 263-271, 1989

      44 Berk, L. E.,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Allyn & Bacon 2010

      45 Urban, K. K.,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5-8, 1995

      46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47 Cropley, A. J., "Creativity and mental health in everyday life" 3 (3): 167-178,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 1.298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