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보육교사의 진로탐색에 대한 고찰 :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38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을 중심으로 예비보육교사의 고 민과 걱정에 관한 진로탐색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 역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 10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졸업하기 전에 취업과 동시에 학업에 대한 고민 또한 함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할 분야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 생활의 아쉬움은 학과선택에서의 후회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학과 특성상 보육교사와 사회복지사 두 개의 자격 증을 취득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어린이집 취업을 선택한 학생에 한해서는 보육교사로서 깊이 있게 배우지 못한 아쉬움,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한 후회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쉬움과 후회는 다양한 경험에 대한 지원 요구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실습을 이미 경험했음에도 불구 하고 이들은 보육실습 만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어린이집 취업 이후를 걱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교사 역할 수행 능력, 대인관계, 보육교사 처우, 보육교사 인식 등에 대한 걱정이 있었고, 지원요구로는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멘토, 보육교사 처우 및 인식 개선을 위한 것들이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진학에 대한 고민은 보육교사로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함께 보육교사로 서의 인식 개선을 위해 스스로가 선택했다는데 긍정적인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심화과정을 통한 학사학위 취득의 경우 어린이집 근무 여건 상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심화과정의 시간 및 방법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을 중심으로 예비보육교사의 고 민과 걱정에 관한 진로탐색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 �...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을 중심으로 예비보육교사의 고 민과 걱정에 관한 진로탐색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 역 3년제 대학교 보육관련학과 졸업반 학생 10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졸업하기 전에 취업과 동시에 학업에 대한 고민 또한 함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할 분야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 생활의 아쉬움은 학과선택에서의 후회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학과 특성상 보육교사와 사회복지사 두 개의 자격 증을 취득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어린이집 취업을 선택한 학생에 한해서는 보육교사로서 깊이 있게 배우지 못한 아쉬움,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한 후회 등이 있었다. 이러한 아쉬움과 후회는 다양한 경험에 대한 지원 요구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실습을 이미 경험했음에도 불구 하고 이들은 보육실습 만으로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고 어린이집 취업 이후를 걱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교사 역할 수행 능력, 대인관계, 보육교사 처우, 보육교사 인식 등에 대한 걱정이 있었고, 지원요구로는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멘토, 보육교사 처우 및 인식 개선을 위한 것들이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예비보육교사들의 진학에 대한 고민은 보육교사로서 부족한 부분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구와 함께 보육교사로 서의 인식 개선을 위해 스스로가 선택했다는데 긍정적인 의미가 있었다. 하지만 심화과정을 통한 학사학위 취득의 경우 어린이집 근무 여건 상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심화과정의 시간 및 방법의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deep understanding and to analyze the career searches of pre-service teachers whom are third year child care students at a three college.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ten students repetitiou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er searches of pre-service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4 theme clusters and 11 themes. The themes dusters are "worries about the choice of career after graduation," "regret and disappointment of college life," "difficulties in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worries about going to an advanced course." The worries and anxieti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concrete, which showed that they had a demand for problem-solving. Based on these desires and regrets, the participants had the following support needs: As a child care teacher, there was a need for various training and experience for improving skills, mentoring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management and methods in advanced cours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deep understanding and to analyze the career searches of pre-service teachers whom are third year child care students at a three college.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ten students repetitious. Data was coll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deep understanding and to analyze the career searches of pre-service teachers whom are third year child care students at a three college.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ten students repetitiou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er searches of pre-service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4 theme clusters and 11 themes. The themes dusters are "worries about the choice of career after graduation," "regret and disappointment of college life," "difficulties in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worries about going to an advanced course." The worries and anxieti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concrete, which showed that they had a demand for problem-solving. Based on these desires and regrets, the participants had the following support needs: As a child care teacher, there was a need for various training and experience for improving skills, mentoring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management and methods in advanced cour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환남,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분석" 한국보육학회 13 (13): 123-144, 2013

      2 서현아,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69-94, 2011

      3 김연옥, "학점은행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따른 보육교사의 이미지 변화" 11 (11): 5-30, 2014

      4 엄은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01-128, 2015

      5 이경선, "이러닝 예비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0 (10): 113-129, 2010

      6 이석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 인성교육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61-183, 2014

      7 박영희, "예비유아교사의 영아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오정희, "예비유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23-145, 2015

      9 안지령,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이야기 - 반성적 내러티브를 통하여 -"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65-184, 2014

      10 이경선,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습기관에서의 수업실연의 어려움 분석" 한국보육학회 15 (15): 211-230, 2015

      1 김환남,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척도(KMCI)를 활용한 보육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분석" 한국보육학회 13 (13): 123-144, 2013

      2 서현아,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69-94, 2011

      3 김연옥, "학점은행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따른 보육교사의 이미지 변화" 11 (11): 5-30, 2014

      4 엄은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01-128, 2015

      5 이경선, "이러닝 예비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0 (10): 113-129, 2010

      6 이석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 인성교육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61-183, 2014

      7 박영희, "예비유아교사의 영아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오정희, "예비유아교사들이 보육실습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23-145, 2015

      9 안지령,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이야기 - 반성적 내러티브를 통하여 -"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65-184, 2014

      10 이경선,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습기관에서의 수업실연의 어려움 분석" 한국보육학회 15 (15): 211-230, 2015

      11 조성연,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에 대한 이미지" 7 (7): 27-43, 2011

      12 박숙희, "예비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 프로파일 패턴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분석-H대학교 아동보육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10 (10): 5-18, 2014

      13 원혜경, "예비영유아교사의 교직 적ㆍ인성 분석: 보육관련 학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327-348, 2015

      14 김태연,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5 (15): 193-209, 2015

      15 박은주,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6 (16): 163-182, 2016

      16 박수미, "예비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 실습에 관한 소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35-159, 2011

      17 탁정화,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93-218, 2015

      18 정계숙, "예비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0) : 217-241, 2015

      19 이명숙, "예비보육교사의 인형극 공연 경험이 교사효능감과 자기이해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331-350, 2013

      20 이선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현장 봉사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97-216, 2011

      21 김나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이미지와 갈등의 변화 분석" 한국보육학회 13 (13): 277-304, 2013

      22 김양은,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전문적 자질과 개인적 자질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93-619, 2016

      23 이선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79-200, 2012

      24 김현정,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직무에 대한 인식 연구 : 보육실습 전·후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7 (7): 65-82, 2011

      25 강인설, "예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3) : 171-198, 2015

      26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13-131, 2012

      27 배문조,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8) : 139-164, 2013

      28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 전문성 발달 목표와 걱정이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1-185, 2012

      29 정지언,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1-28, 2014

      30 김연주,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특수아동이해」교과목의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적용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31 김영태,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143-5151, 2015

      32 홍우현,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과 교직 희망 동기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33 성은영,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느끼는 어려움 탐색 : 영아와 유아의 실습대상에 따라 겪게 되는 어려움의 차이를 중심으로" 10 (10): 39-55, 2014

      34 임명희, "예비보육교사 신념과 보육관련 교과목 이수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6 (6): 117-141, 2006

      35 한종화, "예비교사를 위한 영아관련 수업의 효과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43-164, 2016

      36 유흥옥, "예비․현직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심각성 및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 13 (13): 241-257, 2013

      37 고연경, "예비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2 (2): 19-34, 2013

      38 노은호,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 적·인성과 핵심 역량 비교 분석 연구" 한국보육학회 13 (13): 205-221, 2013

      39 고경필,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77-98, 2013

      40 김춘경, "예비 영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곤란이 인성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유형 별 차이검증" 한국보육학회 16 (16): 183-203, 2016

      41 송지연, "예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93-321, 2011

      42 박성남, "예비 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43 이상미,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지원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479-501, 2014

      44 안소영,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에 중점을 둔 예비 보육 교사교육에서 예비 교사가 경험하는 배움의 과정" 한국보육학회 12 (12): 39-61, 2012

      45 유병민, "보육실습에서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관심수준 변화 연구" 21 (21): 41-61, 2011

      46 김정원,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 교사-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1-19, 2012

      47 유병예,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143-157, 2013

      48 임현숙, "보육교사가 되어 가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4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보육교사 전문성 및 역량 강화 시리즈1- 보육공공성"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50 김현주, "보육교사 양성대학 관련학과 예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49-565, 2013

      51 이부미, "보육교사 되어 가기: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95-135, 2013

      52 변영신, "보육 관련 학과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57-80, 2010

      53 박숙희, "마이크로티칭을 경험한 예비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변화와 성찰적 사고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139-160, 2014

      54 강희신, "남자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 (20): 323-355, 2016

      55 이정미,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사교육의 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56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57 Colaizzi, P.,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 Press 1978

      58 Berns, R.,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Cengage Learning 2013

      59 신혜원, "2급 예비보육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보육필수영역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 15 (15): 347-368, 2015

      60 김의향, "2급 예비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개요 개정 고찰" 한국보육학회 14 (14): 229-25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