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별유아의 뇌발달의 특성을 고려하고 유아 중심의 뇌기반 유아 요리활동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 1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36373
2022
Korean
뇌기반 ; 요리활동 ; 수업모형개발 ; 유아주도 ; brain base ; cooking activity ; class model development ; Infant-led
KCI등재
학술저널
65-86(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별유아의 뇌발달의 특성을 고려하고 유아 중심의 뇌기반 유아 요리활동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 1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
본 연구는 개별유아의 뇌발달의 특성을 고려하고 유아 중심의 뇌기반 유아 요리활동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 1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형개발, 2차 수업모형 적용, 최종 수업모형개발 흐름의 연구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최종 수업모형의 단계는 크게 사전활동, 본 활동, 확장활동의 세 단계와 각 하위단계로 사전활동은 주제알기, 계획의 단계이며, 본 활동은 심상, 오감탐색, 표현실행, 통합내면화의 단계, 확장활동은 나눔과 회상의 단계이다. 본 연구는 뇌기반 교육 원리 적용 및 유아의 뇌발달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아 두뇌발달 및 유아주도적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 일반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인지·정서·신체의 통합적 두뇌발달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임,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홍연홍,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 곽효경,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최선영,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한 유아의 수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633-1644, 2020
5 장주연,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손미, "초등학교에서의 인터넷 자원기반 탐구학습설계모형의 개발 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59-95, 2002
7 임철일, "제시용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의 형성적 연구" 7 (7): 29-57, 2001
8 김희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 뇌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43-163, 2019
9 권문희,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1 이정임,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홍연홍,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 곽효경,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최선영, "통합적 요리활동을 통한 유아의 수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1 (11): 1633-1644, 2020
5 장주연,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손미, "초등학교에서의 인터넷 자원기반 탐구학습설계모형의 개발 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59-95, 2002
7 임철일, "제시용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의 형성적 연구" 7 (7): 29-57, 2001
8 김희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 뇌 발달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43-163, 2019
9 권문희, "유치원에서의 요리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2007
10 홍승연, "유아영어 뇌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1 박상희, "유아를 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다중 지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유경숙, "유아 요리활동의 실태 및 교사 인식 -경기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63-80, 2010
13 서주영 ; 최봉순 ; 이인숙, "유아 대상의 요리 활동을 포함한 영양 교육 후 식생활 습관 및 식태도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 (20): 794-801, 2010
14 조현정, "요리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박현애 ; 최선영,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05-717, 2021
16 서유헌, "영유아기 뇌 발달과 유아교육" 2010 : 17-25, 2010
17 최복자 ; 정정희 ; 배재정, "식품안전에 기반한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식품안전에 대한 개념 및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81-209, 2013
18 강영희 ; 임영자 ; 심준영, "뇌체조와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아의 사회적기술 및 뇌파에 의한 집중력과 인지반응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95-116, 2016
19 정미라 ; 권정윤 ; 박수경 ; 이방실,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 모형"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65-286, 2012
20 신재한,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57-273, 2016
21 우미라,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초등문학교육 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129-151, 2007
22 안경숙 ; 김소향,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29-151, 2013
23 김유미, "뇌 기반 교수-학습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2 (42): 83-106, 2004
24 임채성,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 뇌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 심채적, 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86-101, 2005
25 김영진, "뇌 기능 특성에 기초한 수업체제 개발 및 적용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4
26 안경숙 ; 김소향, "그림책과 요리 활동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85-107, 2011
27 최윤례 ; 김성원, "그림책과 연계한 협력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2 (12): 1423-1438, 2021
28 박고운 ; 김선영, "구성주의 접근의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2 (32): 141-156, 2011
29 김선영 ; 박미라, "구성주의 접근의 요리 활동에 기초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29-42, 2009
30 임철일,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교육과학사 2012
31 정재삼, "결정지향적인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13 (13): 286-302, 1997
32 Jensen, E., "Teaching with poverty in mind: What being poor does to kids' brains and what schools can do about it" AScD 2009
33 Delaveau, J., "Smart Pool: The Mind Game" Merrimack Pub 1998
34 Jones, R., "Smart Brains" 182 (182): 22-26, 1995
35 Hildebrand, V.,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millan Pub. Co Inc 1981
36 Frick, T. W.,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2" 633-652, 1999
37 Kovalik, S., "How emotions run us, our students, and our classrooms" 82 (82): 29-37, 1998
38 DeVries, R., "Developing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Curriculum: Practical Principles and Activ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ies"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9 McCarthy, J., "Circumscription—a form of non-monotonic reasoning" 13 (13): 27-39, 1980
40 Wolfe, P., "Brain Matters: Translating Research in to Classroom Practic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1
41 Slegers, B., "Brain Development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초등학생의 우정에 관한 암묵적 이론과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유아 부모의 아동기 학대 경험과 자녀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훈육유형의 다중매개효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머신러닝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 변수 및 예측모형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9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4 | 1.91 | 2.283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