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창의성검사와 나무그림검사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cores of K-FCTES and the tree-drawing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3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HTP 투사 검사 중 나무그림검사를 이용하여 일반아동과 창의성이 높은 아동들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특성을 찾아보고 나무그림 검사를 통한 창의성의 측정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총점 및 하위 요인 점수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나. 나무그림검사의 총점 및 하위 요인 점수는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광주시내에 위치한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3개 반 76명을 대상으로 나무그림검사와 초등도형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개방성에 대한 나무그림검사 점수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창의성 총점은 나무그림검사 총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개방성과 나무그림검사 총점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창의성 총점이 높을수록 나무그림검사 총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그림검사의 점수가 낮다는 것은 정서적으로 안정상태를 의미한다.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 하위요소와의 관계에서는 개방성, 민감성, 총점은 가지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개방성, 민감성, 총점이 높을수록 나무그림검사 중 가지의 점수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그림의 점수수준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일상생활에서나 또는 각 개인 내적으로 정서적 불안정성이 높거나 부적응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HTP 투사 검사 중 나무그림검사를 이용하여 일반아동과 창의성이 높은 아동들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특성을 찾아보고 나무그림 검사를 통한 창의성의 측정 여부를 살펴...

      본 연구는 HTP 투사 검사 중 나무그림검사를 이용하여 일반아동과 창의성이 높은 아동들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특성을 찾아보고 나무그림 검사를 통한 창의성의 측정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의 총점 및 하위 요인 점수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나. 나무그림검사의 총점 및 하위 요인 점수는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 민감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광주시내에 위치한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3개 반 76명을 대상으로 나무그림검사와 초등도형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의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개방성에 대한 나무그림검사 점수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창의성 총점은 나무그림검사 총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개방성과 나무그림검사 총점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유창성, 독창성, 민감성, 창의성 총점이 높을수록 나무그림검사 총점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그림검사의 점수가 낮다는 것은 정서적으로 안정상태를 의미한다.
      창의성 검사와 나무그림검사 하위요소와의 관계에서는 개방성, 민감성, 총점은 가지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개방성, 민감성, 총점이 높을수록 나무그림검사 중 가지의 점수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그림의 점수수준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일상생활에서나 또는 각 개인 내적으로 정서적 불안정성이 높거나 부적응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highly creative and average creative children using Koch(1952) tree-draw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K-FCTES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Jeon & Jeon, 2008) and the tree-drawing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cores of K-FCTES and the tree-drawing te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factor scores of K-FCTES (i.e., fluency, originality, openness and sensitivity scores) and the subfactor scores of the tree drawing test?
      76 first grade students from the two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area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a serie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fluency, originality, sensitivity scores and the total score of K-FCT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the tree-drawing test.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score and the total score of the tree-drawing test.
      Other major finding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K-FCTES and the tree-drawing test are also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with respects to the potential uses of the tree-drawing test for the assessment of creative potential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highly creative and average creative children using Koch(1952) tree-draw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K-FCTES ...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fin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highly creative and average creative children using Koch(1952) tree-draw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K-FCTES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Jeon & Jeon, 2008) and the tree-drawing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cores of K-FCTES and the tree-drawing test?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factor scores of K-FCTES (i.e., fluency, originality, openness and sensitivity scores) and the subfactor scores of the tree drawing test?
      76 first grade students from the two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area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nd a serie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fluency, originality, sensitivity scores and the total score of K-FCT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the tree-drawing test.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score and the total score of the tree-drawing test.
      Other major finding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and subfactor scores of K-FCTES and the tree-drawing test are also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with respects to the potential uses of the tree-drawing test for the assessment of creative potential a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연집, "한국 정상아동의 H․T․P 검사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8

      2 최성희, "초등학교아동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3 전경원,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 학지사 2008

      4 홍자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5 손미복, "유아미술에 나타난 유아의 성격과 창의성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황승영, "아동들의 성격에 따른 나무그림의 특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학문사 2000

      8 이희경, "나무그림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Koch, C., "The tree drawing test as aid in psychodiagnosis" Grune & Stratton Inc 1952

      10 Hammer, E. F., "The clinical application on projective drawing spring field" Charles C. Thomas, Co 1958

      1 장연집, "한국 정상아동의 H․T․P 검사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8

      2 최성희, "초등학교아동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3 전경원,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 학지사 2008

      4 홍자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5 손미복, "유아미술에 나타난 유아의 성격과 창의성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황승영, "아동들의 성격에 따른 나무그림의 특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전경원,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학문사 2000

      8 이희경, "나무그림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Koch, C., "The tree drawing test as aid in psychodiagnosis" Grune & Stratton Inc 1952

      10 Hammer, E. F., "The clinical application on projective drawing spring field" Charles C. Thomas, Co 1958

      11 Jellen, H., "The TCP-DP: An instrument that can be applied to most age and ability groups" 3 : 138-155, 1986

      12 Buck, J. N., "The H・T・P technique: a qualitative and qualitative scoring manual" 4 : 317-396, 1948

      13 Torrance, E. P., "Norms-technical manual: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in: Bensenville"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1966

      14 김선애, "HTP투사그림기법의 정서장애아동 판별기능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3

      15 Marzolf, S. S., "Characteristics of House-Tree-Person Drawings by College Men and Women" 34 (34): 138-145,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reativity Education Association ->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64 2.057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