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체 근로자의 학습조직과 결과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2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various dependant variables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ffects and compare their effect sizes to those of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trictly analyz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9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nd 9 individual-related variables resulting from learning organiz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dependant variables. Second, among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the biggest effect size was job satisfaction which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organization. Third, the biggest effect size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as identified as knowledge creation which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set by the learning organization’s sub-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meta analysis should be required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ther dependant variabl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employees should be needed by using meta analysis that synthesize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rd,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at can identify the overall research flow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nominates the dependant variab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dditional statistical method to perform publication bias verification even if there are less than three advance researches that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 variables.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various dependant variables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ffects and compare their effect sizes to those of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various dependant variables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ffects and compare their effect sizes to those of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trictly analyz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9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nd 9 individual-related variables resulting from learning organiz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dependant variables. Second, among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the biggest effect size was job satisfaction which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organization. Third, the biggest effect size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as identified as knowledge creation which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set by the learning organization’s sub-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meta analysis should be required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ther dependant variabl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employees should be needed by using meta analysis that synthesize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rd,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at can identify the overall research flow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nominates the dependant variab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dditional statistical method to perform publication bias verification even if there are less than three advance researches that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 variab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호익, "환경의 불확실성과 전략적 선택이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20, 2008

      2 윤성길, "호텔기업의 학습조직이 자원기반관점과 경쟁우위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3 서상원, "호텔 조리사의 학습조직이 창의성 및 혁신행동, 조직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4 나은숙, "학습조직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지능과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2 (12): 29-59, 2017

      5 김은지, "학습조직이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21 (21): 89-113, 2018

      6 천학도, "학습조직과 조직학습역량" 2 (2): 39-74, 2009

      7 공은화,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대학원 2015

      8 최동국,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직무임베디드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선규,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13-121, 2014

      10 이재영,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81-105, 2013

      1 기호익, "환경의 불확실성과 전략적 선택이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 (15): 1-20, 2008

      2 윤성길, "호텔기업의 학습조직이 자원기반관점과 경쟁우위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3 서상원, "호텔 조리사의 학습조직이 창의성 및 혁신행동, 조직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4 나은숙, "학습조직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지능과 T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2 (12): 29-59, 2017

      5 김은지, "학습조직이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21 (21): 89-113, 2018

      6 천학도, "학습조직과 조직학습역량" 2 (2): 39-74, 2009

      7 공은화,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대학원 2015

      8 최동국,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직무임베디드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2

      9 이선규,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13-121, 2014

      10 이재영,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조절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81-105, 2013

      11 신형재,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어 지식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457-479, 2013

      12 이영광,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1 (51): 21-41, 2019

      13 김정현,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1 (11): 25-54, 2016

      14 남미리, "진성리더십이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5 (45): 65-86, 2014

      15 최백연, "중소기업의 학습조직화 활동이 조직유효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16 전화익,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수준이 인적자본,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29, 2014

      17 권동호,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수련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eter Senge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18 김응민,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3 (13): 25-54, 2018

      19 전혜금,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구축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20 전화익,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이 인적자본,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4

      21 송영선, "중소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학습조직 사람수준과 구조수준의 매개효과"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1 (11): 77-103, 2016

      22 박수용, "중소기업에서 경영자의 배려와 용서가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과학회 13 (13): 105-118, 2015

      23 임몽택, "중소기업 학습조직 구축과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29-238, 2016

      24 정준재, "중소기업 구성원들의 조직지원인식이 학습조직 구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109-131, 2017

      25 박수용, "중소기업 경영자의 긍정적 리더십, 구성원의 긍정적 삶의태도, 학습조직 활동, 직무열의, 조직성과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26 강명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멘토링, 학습조직, 조직몰입의 영향력"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83-204, 2013

      27 송영선,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8 구정모, "조직 혁신성의 발현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창의적 조직풍토,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 혁신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0 (10): 255-274, 2019

      29 김철영,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녕: 리뷰와 메타분석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5 (25): 15-67, 2017

      30 이진영,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 추정: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제도∙경제학회 12 (12): 145-163, 2018

      31 DBR, "자기들끼리 지지고볶는 ‘FUN학습조직’ 쑥쑥 자라도록 물을 줘라, 정원사처럼"

      32 강영환, "이러닝 기업 CEO의 윤리적 리더십, 과업지향 조직문화, 학습조직 수준,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33 강영환, "이러닝 기업 CEO의 윤리적 리더십, 과업지향 조직문화, 학습조직 수준,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13-142, 2014

      34 유진혁, "융복합시대에 지식서비스기업 최고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47-161, 2015

      35 이강석, "융복합사업서비스기업의 학습조직구축활동이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 효과를 고려하여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71-84, 2015

      36 임동일, "생산직 근로자의 학습조직 수준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교육학회 19 (19): 31-53, 2016

      37 정선화, "리더의 임파워링 행동이 혁신행동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상사신뢰 및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6 (26): 533-553, 2013

      38 박현주,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20 (20): 25-49, 2018

      39 박재진,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 및 조직유효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1-28, 2013

      40 박재진,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문제해결능력 및 조직유효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41 진규동, "기업의 학습조직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42 권중생,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심리적 자본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05-115, 2014

      43 문세연, "국내 무형식학습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기업교육학회 21 (21): 71-95, 2019

      44 배을규, "공공도서관의 학습조직화 수준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1-22, 2011

      45 박지성, "고령화-조직성과 관계에 있어 지식 전파 HR 제도의 역할- 지식경영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1 (21): 173-196, 2014

      46 김도균, "건설업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형 학습조직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47 조태준, "개인적 차원의 학습조직 구축이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유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3 (13): 171-200, 2017

      48 안종대,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관련 변수들과의 관계: 메타분석(Meta-Analysis)"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32 (32): 107-134, 2019

      49 Neo, R, "Trainees’ attributes and attitudes :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11 (11): 736-749, 1986

      50 Ellinger, A. D., "The relationship betweenthe learning organization concept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 An empirical assessment" 13 (13): 5-21, 2002

      51 Kools, 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s a learning organisation and staff outcomes: A case study of Wales" 54 (54): 426-442, 2019

      52 Wong, C. A.,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leadership and patient outcomes : A systematic review" 15 : 508-521, 2007

      53 Davis, D.,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its dimensions as key factors in firms’ performance" 11 (11): 51-66, 2008

      54 Thomas, K., "The learning organisation : a meta-analysis of themes in literature" 13 (13): 123-139, 2006

      55 Pedler, M., "The learning company : A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cGraw-Hill 1991

      56 Senge, P. M., "The fifth discipline field book : Strategics and tools for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Doubleday 1990

      57 Yang, B., "The construct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15 (15): 31-55, 2004

      58 Edmonson, A. C., "The Fearless Organization : Creating Psychological Safety in the Workplace For Learning" John Wiley & Sons Inc 2019

      5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60 Watkins, K. E., "Sculp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Lessons in the art andscience of systemic change" Jossey-Bass 1993

      61 StatsDirect, "Prospective vs Retrospective Studies"

      62 Argyris, C., "Organizational learning :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Addison-Wesley 1978

      63 Kalyar, M. N.,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 An Ingenious Device for Promoting Firm’s Innovativeness" 33 (33): 1135-1147, 2013

      64 Örtenblad, A., "On differences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8 (8): 125-133, 2001

      65 Voolaid, K., "Management Change Impact on Organizational Learning in a Business School" 17 (17): 131-143, 2019

      66 Dobbs, K., "Mail and internet survey : The tailored design method" Wiley & Sons, Inc 2000

      67 Gilley, J. W., "Learning transfer: For the society of industrial psychology" Jossey Bass 2871-2393, 2003

      68 Calantone, R. J., "Learning organization,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31 (31): 515-524, 2002

      69 Eagan, T. M., "Learning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and turnover intention" 15 (15): 279-301, 2004

      70 Decius, J., "Informal workplace learning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30 (30): 495-535, 2019

      71 Marsick, V.,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Routledge 1990

      72 Watkins, K. E., "In action : Creat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Alexandri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996

      73 Dewey, J., "How we think :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D. C. Health 1933

      74 Ramsawami, A., "Expatriation and career success : A human capital perspective" Human Relations 1-29, 2016

      75 Blau, P. M.,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John Wiley and Sons 1964

      76 Rosenberg, M. J., "E-learning :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McGraw-Hill 2001

      77 Maneeton, B., "Cognitive deficit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ery thematosus" 28 (28): 77-83, 2010

      78 Garvin, D.,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s" 71 (71): 78-91, 1993

      79 Egger, M.,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simple, graphic test" 315 : 629-634, 1997

      80 Watkins, K. E., "A Meta-Analysis of the Dimensions of a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 : Looking Across Cultures, Ranks, and Industries" 15 (15): 148-16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