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65546
201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659-684(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 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 고찰과 10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른 활 동안을 작성하였고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경기도내 인문계 고등 학교 학생 24명을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프로그램 전후 자기표현능력 검사(Self-Expression Scale: SES)를 실시하고 독립표 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능력의 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등학생 의 자기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자기표현 능력을 향 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elf-express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signed program.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as done in five steps-investigation,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elf-expression skill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signed program.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as done in five steps-investiga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pplication- of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Park, 1995). In the research step, various previous studies were investigated and research of demand was conducted with 105 students. In the analysis step, objectives of programs, session-specific goals, and the number of sess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phase.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ep, activities were made based on the objectives and goals, and the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consultation process by experts and practitioners, and finally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application phase, Gyeonggi 24 students were placed and tre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12 students and in the control group 12 students. They were conducted self-expression scales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hon & Ju, 2014), and it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refor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xpress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in high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김신동, "호모 텔레포니구니스의 등장: 이동전화 확산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46 (46): 62-85, 2001
3 박금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김미정,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배려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옥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표현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자기표현·자아개념·불안감소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오현서, "초등학교 고학년의 한부모가정 아동에 대한 배려증진 반편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오창석, "청소년의 통신 언어 사용실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5 (25): 75-108, 2010
8 이장호,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상담" 서울청소년지도육성회 & 서울청소년회관 1992
9 홍경자, "청소년의 인성교육" 학지사 2004
10 유민정,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김신동, "호모 텔레포니구니스의 등장: 이동전화 확산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46 (46): 62-85, 2001
3 박금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김미정,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배려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옥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표현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자기표현·자아개념·불안감소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오현서, "초등학교 고학년의 한부모가정 아동에 대한 배려증진 반편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오창석, "청소년의 통신 언어 사용실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5 (25): 75-108, 2010
8 이장호,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상담" 서울청소년지도육성회 & 서울청소년회관 1992
9 홍경자, "청소년의 인성교육" 학지사 2004
10 유민정,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11 손강숙, "청소년 자기표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77-104, 2014
12 장경희, "청소년 언어실태 언어의식 전국 조사" 국립국어원 2011
13 국립국어원,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서울, 대구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국립국어원 2005
14 Corey, M. S.,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Cengage Learning 2014
15 박성규, "집단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출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2001
16 김미정, "중학생의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교육연구원 29 (29): 111-131, 2013
17 서진원,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변창진, "주장훈련 프로그램" 13 : 51-85, 1980
19 김성회, "주장행동의 요소" 17 (17): 11-23, 1984
20 유태영,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1 한금선, "자기표현훈련이 지역사회 거주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장행동, 대인관계 및 대처행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7 (17): 332-341, 2008
22 황임란, "자기표현훈련이 중학생의 자기표현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2 : 172-182, 1991
23 장유정,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구관계 질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4 고운숙,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5 이미옥,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표현능력, 사회성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145-162, 2010
26 임영옥,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7 김은진, "자기표현의 집중훈련과 분산훈련 효과 비교." 13 (13): 163-185, 2001
28 홍경자, "자기표현력 및 주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6 : 147-169, 1988
29 김소희, "자기표현-타인배려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0 송은일, "자기표현 훈련이 우울수준 감소 및 자기표현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31 이낙숙,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2 권성민, "자기표출훈련과 자기주장훈련이 불안신경증 환자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17-33, 2003
33 유정연, "자기주장훈련이 대학생의 분노표현과 자기의식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4 김애자,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주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5 玄惠琇, "자기노출훈련이 자기주장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36 손정락, "자기 주장훈련이 대학생의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4 (34): 116-133, 2010
37 강혜경,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도탈락 유경험학생의 교사와의 의사소통, 학교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8 최은연, "의사소통 기술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9 서기원, "설득력 1" 현대 미디어 2012
40 홍경자, "비행청소년에 있어서 공격성과 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주장훈련의 효과" 4 (4): 19-31, 1983
41 황정은, "부모와 함께하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113-133, 2009
42 송소원, "대학생의 자기표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우울, 대인관계,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43 임정희, "놀이중심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29 : 23-50, 2006
44 김민정,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에 따른 청소년 언어 특성의 고찰"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4 (34): 7-25, 2013
45 하영석, "공격적‧소극적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 (16): 1-50, 1983
46 김시연, "공격성 감소와 자기표현증진을 위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효과검증-보호관찰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 (3): 141-157, 2001
47 金晟會, "高等學生들을 對象으로 한 주장훈련의 效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48 金晟會, "非主張行動 原因別 主張訓練 方法이 主張行動에 미치는 效果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1
49 朴成來, "自己表現 訓練이 高等學生의 不安과 自我尊重感에 미치는 影響"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50 Janda, L. H., "Type of situation and sex of counselor in assertive training" 24 (24): 444-447, 1977
51 Brodsky, S. L., "Therapy with coerced and reluctant cli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52 Clement, R., "The new handbook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Wiley 2001
53 Galassi, J. P., "The college Self-Expression Scale : A measure of assertiveness" 5 (5): 165-171, 1974
54 Gardner, R. C., "Social psycholog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Edward Arnold 1985
55 Rakos, R. F.,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Bio Monitoring Application 1980
56 Morony, S, "Predicting achievement : confidence vs. self-efficacy, anxiety, and self-concept in Confucian and European countries" 58 (58): 79-96, 2013
57 Mantle-Bromley, C., "Positive attitudes and realistic beliefs : Links to proficiency" 79 (79): 372-386, 1995
58 Twentyman, C. T., "Multimodal assesment of rehearsal treatments in an assertion training program" 26 (26): 384-389, 1979
59 Horwitz, E., "Language anxiety and achievement" 21 : 112-126, 2001
60 Choi, J. S., "Language Attitud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Macquarie University 2002
61 Paulhus, D. L.,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Guilford Press 492-517, 2008
62 Kosnik, C., "Everyone is a V. I. P. in this class" 49 (49): 32-37, 1993
63 Adams, L., "Effectiveness training for women" Random House 1989
64 Stagich, T., "Cultural context and meaning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36 (36): 71-79, 1998
65 Woodrow, L., "College English writing affect self-efficacy and anxiety" 39 (39): 510-522, 2011
66 Maclntyre, P., "Affect in second language learning; Creating a low-anxiety classroom atmosphere" McGraw-Hill 24-45, 1999
67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28 (28): 563-575, 1975
68 한국교육개발원, "2014년 제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분석결과발표" 2014
69 국립국어원, "2005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국립국어원 2005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자아존중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실습 경험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인식 조사
체육과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 교육의 개념 정립 및 핵심 역량 요소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